• Title/Summary/Keyword: 특질구조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이중언어 통로 형성을 위한 청음특성 보강학습 원리

  • 진용옥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4-166
    • /
    • 2003
  • 모국어와 영어의 2중 언어 통로 모국어 통로, 4-6개월 태아의 내이 형성에서 시작, 탯줄과 수도청음 주파수 8khz로 학습됨, 모국어=어머니 언어특질에 맞춰진 처음 인지구조 이중언어통로와 영어학습 원리, 모국어 기반의 새로운 언어 통로 형성, 모국어와 원 어민 언어 특질의 정합 (중략)

  • PDF

공장자동화를 위한 컴퓨터 구조

  • 박규호
    • 전기의세계
    • /
    • v.37 no.4
    • /
    • pp.4-11
    • /
    • 1988
  • 본 고에서는 우선 공장자동화를 위한 컴퓨터와 기본적인 특질인 실시간성에 대하여 정의하기로 하고 그 다음으로 컴퓨터 구조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 PDF

The Semantic Structure and Argument Realization of Korean Passive Verbs (한국어 피동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실현)

  • 김윤신;이정민;강범모;남승호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1
    • /
    • pp.25-32
    • /
    • 2000
  • Korean passive verbs are derived from their corresponding active verbs by suffixation or by adding endings and auxiliaries to their stems. Therefore. we assume p passive verbs share some lexical informations with their active counterparts. This paper extending the Generative Lexicon theory of Pustejovsky (995). aims to characterize the argument realization patterns of Korean passive verbs focusing on the case alternation a and to propose their lexical semantic structures which account for the syntactic behavior.

  • PDF

The Change of toxical Structure by Causativization in Korean: a generative lexicon approach (한국어 사동화와 어휘의미구조의 변화: 생성어휘부(Generative Lexicon) 이론에 의한 접근)

  • 김윤신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6 no.2
    • /
    • pp.57-82
    • /
    • 2002
  • This study explores the lexical-semantic structure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 Korean based on Pustejovsky(1995)'s Generative Lexicon Theory (GL). Morphological causative verbs are derived from their root stems by affixing ‘-i, -hi, -li, -gi’ in Korean and the meanings of derived predica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s of their root verbs. In particular, the change of the ARGUMENT STRUCTURE by morphological derivation leads to the change of the EVENT STRUCTURE. The ARGUMENT STRUCTURES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clude a causer argument, which is added to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ir root verbs by means of the causative derivation. Their EVENT STRUCTURE has a headed process related to a causer and its result is the event which their root verbs denote. This approach can also suggest that the (in)directness of causative is dependent on is the semantics of its root verb.

  • PDF

A study of Growth motif realization on Digital game (디지털 게임의 성장 모티프 구현 연구 -MMORPG를 중심으로-)

  • Lee, Jin;Jang, Jeong-W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527-533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 RPG에서 주요한 재미 요소로 기능하던 성장 모티프가 MMORPG(Massive Multi-user Online Role Palying Game)에서 어떤 식으로 변형되어 나타나는 지 살펴본다. 성장과 역할 수행을 통해 재미를 얻는 게임인 MMORPG는 성장 서사에서 많이 나타나는 구조인 여정형 혹은 탐색형의 구조를 보편적으로 차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서사물에서 성장 모티프가 정체성 찾기와 같은 내면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구조를 차용하는 반면, 게임에서는 위의 구조를 통해 얻은 성장의 결과물을 수치의 증가나 외적 형태의 변화를 통해 나타낸다. 즉, 경험치나 아이템을 통해 성장이 수치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여정형 탐색담이라는 성장 서사의 보편적 구조에서 게임적인 특수성이 더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성장 소설만의 서사적 유형이란 바로 주인공의 변화 양상이 미숙에서 성숙으로, 불완전에서 완전으로, 결핍에서 충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담고 있는 이야기적 특질을 의미한다. 그러한 미숙하고 불완전한 존재가 변화하게 되는 계기와 과정, 그리고 그 결과로 구조화된 유형적 특질을 갖고 있는 소설 양식이 성장소설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화된 유형적 특질은 신화나 민담에서는 탐색담이나 여행담으로 나타난다. 게임에서의 성장은 캐릭터의 성장과 직결된다. 본격적으로 플레이어와 동일시되어 성장을 대리 경험적으로 체험하는 것은 D&D 온라인을 거쳐, 현재 MMORPG의 형태를 구현해낸 울티마 온라인이 이후부터이다. 세부적으로 구현된 세계와 온라인을 통해 생성된 방대한 네트워크 안에서 플레이어는 자신과 동일화된 캐릭터를 플레이하면서 대리경험을 하게 된다. 즉,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성장에 작용하는 여러 가지 변수를 선택하고, 조작해가면서 자신만의 캐릭터를 생성해 나가면서, MMORPG가 구현하는 게임 세계에 구성원이자 일원이 되는 것이다. MORPG는 기존의 RPG의 선형적인 성장에 비해 복합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문화에서의 성장 서사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여정형의 탐색담은 개발자 서사인 배경 스토리에서 나타나며, 레벨시스템과 이에 따른 공간의 배치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영속적인 세계와 플레이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나는 사용자 서사는 완결된 형태의 캐릭터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플레이어는 비선형적인 성장을 끊임없이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 PDF

cmicroRNA prediction using Bayesian network with biologically relevant feature set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질에 기반한 베이지안 네트웍을 이용한 microRNA의 예측)

  • Nam, Jin-Wu;Park, Jong-Sun;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53-58
    • /
    • 2006
  • MicroRNA (miRNA)는 약 22 nt의 작은 RNA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stem-loop 구조의 precursor 형태에서 최종적으로 만들어 진다. miRNA는 mRNA의 3‘UTR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mRNA의 분해를 촉진한다. miRNA를 동정하기 위한 실험적인 방법은 조직 특이적인 발현, 적은 발현양 때문에 방법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miRNA의 서열상의 낮은 보존성은 homology를 기반으로 한 예측을 어렵게 한다. 또한 기계학습 방법인 support vector machine (SVM) 이나 naive bayes가 적용되었지만, 생물학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generative model을 제시해 주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miRNA 예측을 보일 뿐만 아니라 학습된 모델로부터 생물학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Bayesian network을 적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질들의 선택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position weighted matrix (PWM)과 Markov chain probability (MCP), Loop 크기, Bulge 수, spectrum, free energy profile 등을 특질로서 선택한 후 Information gain의 특질 선택법을 통해 예측에 기여도가 높은 특질 25개 와 27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이로부터 Bayesian network을 학습한 후 miRNA의 예측 성능을 10 fold cross-validation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pre-/mature miRNA 각 각에 대한 예측 accuracy가 99.99% 100.00%를 보여, SVM이나 naive bayes 방법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학습된 Bayesian network으로부터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pre-miRNA 상의 의존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formative featur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pattern (사회적 문화구조에서 본 한국과 일본의 문양 비교)

  • 김복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94-95
    • /
    • 1999
  • 고대부터 문양은 그 민족과 국가의 생활에 깊이 내재해왔으며 특히 풍토, 지형, 종교, 사상, 사회구조와 같은 복잡한 요인들에 의해 성립되었다 그러므로 문양의 조형적 특질은 문양 그 자체에 한정되지 않고 조형전반의 문제로 파급되어 나타난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terminological definitions (전문용어의 정의문 분석)

  • Lee Hae-Yu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7
    • /
    • pp.145-163
    • /
    • 2003
  • In this paper, we examined various definitions of terminological definition for the extraction of terminological information from corpora. After we reviewed researches at the lexicography and at the terminology, we introduced the qualia structure of Generative Lexicon (Pustejovsky 1995)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erminological definitions. By means of the qualia structure, we analyzed the definitions which are presented at the terminological dictionari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erminological definitions can be discomposed into 4 subtypes of qualia structure. Based on this examination, we analyzed terminological definitions of articles at a newspaper and showed the usefulness of the qualia structure at the extraction of terminological definitions from the corpora.

  • PDF

Combination of the Verb ha- ′do′ and Entity Type Nouns in Korean: A Generative Lexicon Approach. (개체유형 명사와 동사 ′하-′의 결합에 관한 생성어휘부 이론적 접근)

  • 임서현;이정민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8 no.1
    • /
    • pp.77-100
    • /
    • 2004
  • This paper aims to account for direct combination of an entity type noun with the verb HA- 'do' (ex. piano-rul ha- 'piano-ACC do') in Korean, based on Generative Lexicon Theory (Pustejovsky, 1995). The verb HA-'do' coerces some entity type nouns (e.g., pap 'boiled rice') into event type ones, by virtue of the qualia of the nouns. Typically, a telic-based type coercion supplies individual predication to the HA- construction and an agentive-based type coercion evokes a stage-level interpretation. Type coercion has certain constraints on the choice of qualia. We further point out that qualia cannot be a warehouse of pragmatic information. Qualia are composed of necessary information to explain the lattice structure of lexical meaning and co-occurrence constraints, distinct from accidental information. Finally, we seriously consider co-composition as an alternative to type coercion for the crucial operation of type shif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