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Flooding Characteristic Value of Urban Basin (도시유역의 침수특성치에 관한 연구)

  • Kwon, Yong-Chan;Ahn, Jeong-Hwan;Kim, Ho-Soung;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14-918
    • /
    • 2012
  • 본 연구는 유역의 침수특성치를 기준으로 하여 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9월 21일 광화문 일대에 발생한 침수피해를 이용하여 XP-SWMM 2010 모형을 검증한 후 침수예상도를 산정하였다. 확률강우량은 Huff의 4분위법으로 분포시켰으며, 침수특성치(관로첨두유출량, 평균침수심,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최대침수면적, 침수총량, 특정지점의 침수지속시간)를 기준한 유역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의 결과 출구점에서의 첨두유출량은 각 빈도별 최대값/최소값이 1.11~1.22로 거의 동일하게 구해지는 반면, 평균침수심,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최대침수면적, 침수총량, 특정지점의 침수지속시간 등의 침수특성치는 1.59~7.44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유역 내에 발생하는 침수피해규모를 통한 임계지속시간이 계획규모설정에 더욱 적합하다 판단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allowable flooding scale in urban basin in response to extreme precipit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의 극단화에 대응한 도시유역의 허용침수규모 설정)

  • Cho, Woncheol C.;Ahn, Jeonghwan 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5-75
    • /
    • 2021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현상의 극한화에 대응한 도시치수규모 설정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발생가능한 모든 강우상태를 강우지속시간과 강우량 매트릭스로 구성하고 모든 강우상태에 대한 침수규모를 사전에 산정한 후 도시침수 상태를 추정하는 2변수(강우량, 강우지속시간)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치수규모 결정을 위해서 지금까지 사용해 오던 "발생빈도" 기준의 극치통계의 개념적, 공학적 의미를 재해석하여 물리적으로 의미가 있는 "침수 특성치" 기준으로 대전환하자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도시유역의 침수를 정량적(침수심, 침수면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침수상태의 기준이 될 침수특성치로는 관로첨두유출량, 최대침수면적, 침수총량, 평균침수심,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특정지점의 침수지속시간 등 6가지를 선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발생가능한 모든 강우상태에 대한 침수 발생 가능성을 점검하여 침수특성치를 분석하고 해당 유역의 "물리적/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합의"에 의해 "감당할 수 있는 피해의 정도"에 맞춘 도시유역 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 방안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 결과로 구해지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유역별 침수특성치 산정식(2변수 회귀식)을 각 유역별로 구해 놓으면 기상예보(강우지속시간-강우량)에 따라 유역의 침수 특성치를 쉽게 추정하여 사전에 확립해둔 방재대책을 시행할 수 있게 한다.

  • PDF

A Study on Flooding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Decision Method of an Urban Basin Design Magnitude (도시유역의 치수계획규모 결정을 위한 침수특성치에 관한 연구)

  • Ahn, Jeonghwan;Cho, Woncheol;Kim, Hos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0
    • /
    • pp.1035-1041
    • /
    • 2012
  • This paper is on the decision of design magnitude for flood control of urban basin, based on flooding characteristic values. In Korea, a design magnitude for flood control is established based on peak discharge of the outlet of basin. However, this method is inappropriate in an urban basin because sewerage only can flow out as much as it could and other discharge overflow to basin. In order to calculate a design magnitude for flood control of an urban basin, flooding characteristic values (peak discharge of pipe, average flooded depth, maximum flooded depths of an important point, flooded area, flooded volume, flooded time) were used as a tool. Using the Gwanghwamun Square as an example, a methodology was proposed that used XP-SWMM 2010 model as a platform to predict urban flood disaster. It can help other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to better understand, prepare for and manage a flood in urban environments.

The Analysis of Flooding by Virtual Flood Scenario (가상 홍수시나리오에 의한 홍수범람 해석)

  • 윤희천;엄대용;이용욱;김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2
    • /
    • pp.181-189
    • /
    • 2003
  • A virtual flood scenario has been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overflowing process in the flooding area. The topography is constructed using the airborne LIDAR data. In addition, the frequency and scale of the flooding and the destruction condition of the flooding defensive structure are used as input to the scenarios. Through the scenario, the inundation depth with respect to time and maximum depth has been analyzed. This analysis shows the water level variation with time which show the flooding process. Moreover, a flooding map is drawn using the results from the scenario, distribution of the defensive structure, vulnerable area, and expected destruction points in the study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to examine the flooding process and flood disaster management. Furthermore, it could provid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the land development and the city planning of a possible flooding area.

Estimation of the Probable Wave Height considering Storm Surge in the Ocean near the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 인근 바다에서 폭풍해일을 고려한 가능 최대 파고 높이 추정)

  • Kim, Beom-Jin;Kim, Minkyu;Hahm, Daegi;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1-211
    • /
    • 2021
  •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에 내습하는 태풍에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0년도 8월 26일 태풍 '바비', 9월 2일 태풍 '마이삭', 9월 7일 태풍 '하이선'은 일주일 내의 간격으로 한반도를 내습하였다.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 중에서 마이삭과 하이선은 동쪽 해역을 지나가면서 강풍과 많은 강우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특정 원전은 자동 가동중지가 발생되는 사태를 야기 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 해역에서 폭풍해일에 의한 가능최대파고 높이를 추정함으로써 발전소 안전성에 대한 검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2019 전국 심해 설계파 산출 보고서'를 바탕으로 원전 인근 해역 심해 설계파 지점에 대해 파고, 주기, 해상풍과 같은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100년부터 1000만년까지의 변수들을 예측하였다. 두 번째로 해도자료를 바탕으로 GIS를 통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형자료를 바탕으로 SWAN 모델의 기초자료를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추정된 변수들과 구축된 지형자료를 바탕으로 100년부터 1000만년까지의 시나리오별 SWAN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원전 인근 해역에 대한 가능 최대 파고 높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원전인근 해역에서의 평균적인 파고 높이에 대한 재해도 곡선을 추정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확률론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재해도 곡선 추정 과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EurOtop을 적용하여 파고 높이에 따른 원전부지의 Overtopping을 추정하고, 최종적으로 폭풍해일에 의한 원전부지의 2차원 침수해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홍수 방지 및 예방과 관련한 홍수저감 활동과 관련된 통제실 외부 시설물에 대한 수동 조작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