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정수질유해물질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시설 관리체계 개선

  • 이지호;황화선;김균;김용화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5
    • /
    • 2003
  • 산업의 발달정도, 업종, 규모 등에 따라 수역으로 배출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은 해마다 그 수, 양, 독성이 증가하여 인간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서 이를 예측하고 관리해야하는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특정수질유해물질과 관련된 산업폐수관리법 및 수질기준법의 국가별 현황을 조사하여보고, 궁극적인 수 환경보전목표와의 연관성을 검토해봄으로써, 국내 특정수질유해물질관리의 문제점을 확인한 후에 배출시설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국내 배출허용기준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업종별 산업폐수중 수질오염물질 배출 특성 및 개연성 평가 연구 (Study on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Water Pollutants among Industrial Wastewater per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Probability Evaluation)

  • 안태웅;김원기;손대희;염익태;김재훈;유순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24
    • /
    • 2016
  • 업종별 수질오염물질 배출 목록은 산업폐수 배출시설을 인허가할 때, 해당 시설 또는 업종에서 관리해야 하는 배출 가능한 수질오염물질을 정확히 검토하기 위함은 물론이고, 오염방지시설의 설계에도 필수적인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수배출시설 3개 업종을 대상으로 수질오염물질 배출목록을 작성하기 위하여 해당 사업장의 일반현황 및 처리시설 운영 등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과 해당 사업장에서 배출하고 있는 산업폐수중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비롯한 수질오염물질에 대한 수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업종별 수질오염물질 배출목록을 확정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시설운영 과정에서 해당물질이 폐수중으로 실제 배출될 수 있는 개연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원폐수 및 최종 배출수의 시료 분석에서 검출된 모든 수질오염물질을 평가대상으로 하고, 검출되지 않은 물질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다음으로 이들 평가대상 수질오염물질에 대하여 제조공정상에서 사용하는 각종 원료, 부원료, 불순물 등에서 포함될 가능성을 확인하고, 여기에서 확인될 경우 수질오염물질 배출목록으로 확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3개 업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석유화학계 기초화합물 제조시설은 조사대상 물질 42종 중 특정수질유해물질 16종을 포함한 31종, 기타 기초유기화합물 제조시설은 특정수질유해물질 14종을 포함한 30종, 화력발전시설은 특정수질유해물질 8종을 포함한 20종의 수질오염물질이 배출목록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분석과 개연성 평가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업종별 수질오염물질 배출목록을 작성하였다.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유입 및 방류 현황조사 (Sampling Survey of Hazardous Water Pollutants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박수형;정진영;김재훈;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590-595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의 유입수 및 방류수에 존재하는 특정수질유해물질 농도분포 현황을 조사하여 폐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수계로 배출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태조사는 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실제 처리 및 방류량 기준 $2,000m^3$/일 이상 규모인 27개 폐수종말처리장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시료채취는 2012년 7~9월에 걸쳐 각 처리장별로 3회(월 1회) 실시하였고, 관리대상 특정수질유해물질 28개 항목 중 22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유입수에서는 수은, 비소, 1,1-디클로로에틸렌, 벤젠 등이 특례지역기준대비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고, 방류수에서는 수은, 비소 등이 청정지역기준대비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폐수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평균 제거율(상전이 포함)은 셀레늄(30%), 1,4-다이옥산(18%)을 제외하고는 60%이상을 나타냈다.

비음용 지하수 오염물질 기준설정체계 구축 연구: (1) 특정유해물질 (Establishment of Non-Drinking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1) Specific Harmful Substances)

  • 안윤주;남선화;이우미;윤성지;윤진열;정승우;김혜진;김현구;김태승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630-635
    • /
    • 2013
  • 비음용 목적의 지하수에 대한 국내 수질기준은 기준항목 및 기준치설정에 근거가 명시되지 않아 체계적인 기준설정체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음용 목적의 특정유해물질에 대한 위해성기반 한국 지하수 수질기준 설정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흡입 및 피부접촉 노출경로를 고려한 위해성을 반영하고 있는 선진국의 지하수기준 설정근거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타 수질 관련 매체의 기준 설정 체계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지하수기준의 설정체계를 제안하였다 모니터링 우선항목 선정, 모니터링 수행, 위해성평가, 지하수 수질기준 후보물질 선정, 특정유해물질 지하수 수질기준 신규항목 선정 및 항목별 기준치 설정 단계로 제안하였다.

환경정보 - 2009년부터 달라지는 환경행정

  • 한국기술사회
    • 환경정보
    • /
    • 통권379호
    • /
    • pp.30-35
    • /
    • 2009
  • '09년 1월부터 환경영향이 비교적 적은 사업은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의견수렴과 평가서에 대한 협의를 동시에 실시하는 간이평가절차가 시행되고, 수질오염물질 신규지정 및 특정수질유해물질 관리가 강화되며, 제품과 서비스의 원료, 생산, 유통, 사용 등 전과정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이를 통한 저탄소 소비문화 확산을 유도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도모하는 탄소성적표지제도가 새롭게 시행된다. 2009년부터 달라지거나 새롭게 시행되는 환경행정 내용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영산강수계 주요 산업단지 폐수배출시설과 배수로에 대한 수질오염물질 배출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ater Pollutants in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and Drainpipes of Yeongsangang)

  • 이재영;민화인;최경축;주현진;김경수;윤설희;이재춘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86-599
    • /
    • 2018
  • 산업단지의 배출시설관리와 배수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남산업단지와 첨단과학산업단지의 배출업체 16개 업체와 산업단지 배수로 4개를 포함한 11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배출업체 16개 업체 중 12개(75 %)의 업체에서 폐수배출시설 설치 허가 및 신고 시 등록한 항목이외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이 검출되었고, 기타오염물질은 16개 업체 중 11개(약 69 %)의 업체에서 허가 및 신고 항목과 다른 오염항목이 검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Formaldehyde, Mn, Zn, Ba 항목이 16개 업체 중 11개 업체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정수질유해물질 중 Cu는 0.029 ~ 0.929 mg/L로 모든 배출시설에서 검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산강수계 주요 산단 배수로 및 본류에서도 As, Dichloromethane, Chloroform 등이 검출되었으나, 제한적인 범위(1종 ~ 3종)에서 수행되어 배출업체에서 배출되었다고 개연성을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배출업체의 범위를 확대 조사하여 수질오염물질 DB를 구축하고, 허가 및 신고사항을 배출물질에 맞게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달말을 이용한 생태독성 관리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toxicological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Algae(Closterium))

  • 류제하;김상길;김선홍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79-579
    • /
    • 2015
  • 최근의 환경부의 환경관리정책은 기존의 BOD나 COD로 대표되는 이화학적인 분석으로 수질항목을 측정 분석하여 환경규제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용량 기반의 수용체 중심의 통합관리방안을 추가하여 규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수질관리부분에서도 2006년 "물환경관리 기본계획('06-'09)"을 수립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물환경조성 목표하에 오염원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 즉, 통합적인 수질관리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하 폐수에 함유된 모든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는 "생태독성 통합관리제도(WET : Whole Effluent Toxicity)"를 도입, 2007년 상기법의 시행규칙 개정을 통하여 배출허용기준에 생태독성기준을 추가하여 관리하고 있다. 생태독성을 평가하는 생물군에는 박테리아, 조류, 물벼룩, 어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물벼룩을 이용하여 TU라는 생태독성단위를 이용하여 규제 및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단일 생물종으로만 관리할 경우 생물의 내성 및 특정 유해물질에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여러 가지 복합적인 화합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종에 대한 관리 및 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달말(조류)를 이용한 WEMS(Water Enviroment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하여 하천 호소 및 정수장, 하 폐수처리장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여 화학물질군에 대한 독성의 특성을 파악과 더불어 통계학적 처리를 이용하여 수질관리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과학적이고 현장 특성에 맞는 경보 수준을 통해 수생태관리에 관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과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지하수 수질 평가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and Eastern Mountain Area of Jeollabuk-do)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218-224
    • /
    • 2011
  • 전라북도 서부해안지역(부안군)과 동부 산악지역(진안군, 장수군, 순창군)을 대상으로 328 지점의 농업용 지하수 수질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조사항목은 지하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농업용수 관리항목인 일반오염물질 4개 항목과 특정유해물질 10개 항목이었다.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에서 일반오염물질의 일종인 염소이온이 기준치를 초과한 지점이 나타났으나, 모든 조사지점에서 농업용 지하수 수질기준을 충족하였다. 특정유해 물질은 거의 모든 조사지점에서 검출한계미만 또는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검출되어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농업활동이 활발하고 논과 밭의 경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해안 인접 평야지가 중 산간지대 보다 농업용 지하수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의 사회적 편익추정 (Estimation of the Social Benefits from the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Artificial Flood by Dam)

  • 최한주;류문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78-78
    • /
    • 2016
  • 다이옥산, 페놀 등의 오염물질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사건 유형에 따라 단수로 인하여 국민들이 불편 겪거나 및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수질 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데 기여하여 단수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겪을 수 있는 불편을 방지하여 소비자효용의 감소를 줄이고, 안전성측면에서 수자원에 대한 소비자효용을 증가시키는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 제외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한 일대일 개별면접 방식의 설문조사 수행하여 자료를 얻었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가구당 WTP의 대푯값을 추정하기 위해 KDI의 CVM 분석지침(2012)을 적용하였다.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에 대한 대푯값 WTP는 2,132.7(원/년/가구)로 추정되었다. 또한 추정결과 상수항 및 제시금액 항의 추정계수는 1.1451(t-값 5.83)와 -0.7286(t-값-5.54)로 모두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설문조사가 제대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에는 수질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댐 추가방류를 통한 수질오염사고 해소 편익 등과 특정사안에 대한 연구들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수질 오염 사고로 인한 댐 추가방류의 가치에 대한 선제적인 연구로서 방법론적인 지침과 향후 수자원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정량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화학적 등급화기법을 적용한 농공단지 입주제한업종의 환경유해성 평가 (The Environmental Hazard Assessment of Siting Restricted Industries from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 Applied by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6호
    • /
    • pp.549-560
    • /
    • 2015
  • 농공단지에 입주제한된 31개 업종의 업종별 배출특성에 따른 화학적 유해성을 근거로 업종별 환경영향을 계량화하여 입지규제 우선순위을 도출하였다. 농공단지에 입주제한된 31개 업종의 환경상의 악영향과 환경기술발전에 따른 환경유해성 저감을 동시에 고려한 합리적 토지이용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업종별로 수계, 토양 및 대기의 매체별 배출량 및 배출물질 $LC_{50}$ 자료에 의해 산정된 인체위해성과 생태위해성을 노출평가와 독성평가로 분석하는 화학적 등급화기법(CRS :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에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자료를 활용하였다. 농공단지 폐수배출관련 31개 업종에 대한 환경유해성을 도출한 결과에 의하면 2012년 기준으로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동 제련정련 및 합금 제조업, 솜 및 실 염색가공업, 그외 기타 1차철강 제조업, 기타 비철금속 압연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등 6개 업종은 환경영향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산출되어 제조공정상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배출된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농공단지 입주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업종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