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이 mRNA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2초

뉴캣슬병 바이러스의 특성

  • 김순재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41
    • /
    • 1981
  • 뉴캣슬병 바이러스가 발견된지 50여년이 지난 오늘에도 그 발생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다. NDV가 분리됨으로 백신개발이 이루어져 1930년대말부터 완전하지는 못했으나 그런대로 방역을 맡았으며 그후 개량발전된 백신으로 각국에서 예방접종하고 있으나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NDV는 Paramyxovirus로서 RNA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100\~600{\mu}m$ 범위의 크기와 lipoprotein envelope로 쌓여 있다. 분리동정에 이용되는 혈구응집소, neuraminidase의 작용, 용혈성 등 모두 envelope와 관련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NDV가 세포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특이한 receptor에 부착하여 envelope의 용해 및 nucleocapsid의 세포속에 침투 등이 밝혀지고 있으며 NDV의 Virion은 RNA의존 RNA 복합체를 가지고 있고 보족 RNA는 바이러스 단백질 및 RNA를 산생하기 위해서 숙주에 의하여 전환을 한다. 1 일령추의 뇌내접종, 정맥내 접종 및 계태 아치사시간 등의 방법으로 Velogenic, Mesogenic Lentogenic type으로 분류하고 감염력에 따라 Virulent 또는 avirulent로 구분된다. 국내에서 분리된 NDV는 현재 Velogenic형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앞으로 지역별, 계절별, 감염된 숙주별로 광범위하게 분리하여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NDV의 성상조사와 특성을 파악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 PDF

In situ hybridization법과 면역조직화학적법을 이용한 성숙한 흰쥐고환에서의 pituitary adenylate cyclase activating polypeptide의 발현 (Expression of pituitary adenylate cyclase activating polypeptide in the adult rat testis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 고필옥;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
    • /
    • 2001
  • Pituitary adenylate cyclase activating polypeptide (PACAP)는 양의 뇌하수체에서 처음 분리 되었고,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cAMP의 생성을 자극하며, 흰쥐고환의 정자형성과 steroid 호르몬 형성에 관련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성숙한 흰쥐의 고환에서 PACAP mRNA와 그 단백질의 분포를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PACAP mRNA와 그 단백질은 흰쥐의 정세관에서 정자세포의 생성단계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되었다. 이들은 정세관의 발달단계 중 III~VII 기의 정자세포에서 발현되었고, 특히 V 기에서 초기 VII 기의 원형의 정자세포에서 가장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고환의 발달단계에 있는 정자세포에서 합성된 PACAP이 정자형성에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PACAP이 고환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암시한다.

  • PDF

K562 백혈구암 세포의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에 의한 대핵세포로의 분화과정에서 Heat Shock Proteins와 Glucose-Regulated Proteins의 발현 (Expression of the Heat Shock Proteins and Glucose-Regulated Proteins during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Induced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of K562 Erythroleukemia Cells)

  • 이창훈;김우진;김종묵;한송이;김정락;한규형;임운기;유미애;강호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3
    • /
    • 1996
  • K562 백혈구암 세포의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에 의한 대핵세포로의 분화과정에서 heat shock proteins(HSPs)와 glucose-regulated proteins(GRPs)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PMA에 의한 K562 세포의 분화 특징은 세포성장의 억제, 형태학적 변화, gpllIa의 발현 증가, c-myc 발현의 감소 등으로 나타난다. PMA에 의한 대핵세포 분화과정에서, HSP90A, HSP90B 그리고 HSP28 mRNA와 단백질 합성은 현저히 감소하는 반면, GRP78/BiP와 GRP94의 mRNA 합성은 증가하였다. 한편 HSP7OA와 HSP7OB의 mRNA 합성은 감소하였지만, HSP70 단백질의 합성은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HSPs와 GRPs가 K562 세포의 증식 또는 대핵세포 분화 과정에서 특이한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질에 기반한 베이지안 네트웍을 이용한 microRNA의 예측 (cmicroRNA prediction using Bayesian network with biologically relevant feature set)

  • 남진우;박종선;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53-58
    • /
    • 2006
  • MicroRNA (miRNA)는 약 22 nt의 작은 RNA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stem-loop 구조의 precursor 형태에서 최종적으로 만들어 진다. miRNA는 mRNA의 3‘UTR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mRNA의 분해를 촉진한다. miRNA를 동정하기 위한 실험적인 방법은 조직 특이적인 발현, 적은 발현양 때문에 방법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miRNA의 서열상의 낮은 보존성은 homology를 기반으로 한 예측을 어렵게 한다. 또한 기계학습 방법인 support vector machine (SVM) 이나 naive bayes가 적용되었지만, 생물학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generative model을 제시해 주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miRNA 예측을 보일 뿐만 아니라 학습된 모델로부터 생물학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Bayesian network을 적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질들의 선택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position weighted matrix (PWM)과 Markov chain probability (MCP), Loop 크기, Bulge 수, spectrum, free energy profile 등을 특질로서 선택한 후 Information gain의 특질 선택법을 통해 예측에 기여도가 높은 특질 25개 와 27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이로부터 Bayesian network을 학습한 후 miRNA의 예측 성능을 10 fold cross-validation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pre-/mature miRNA 각 각에 대한 예측 accuracy가 99.99% 100.00%를 보여, SVM이나 naive bayes 방법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학습된 Bayesian network으로부터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pre-miRNA 상의 의존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쥐 난소에서 난포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Id3 mRNA Expression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 황성수;고응규;임현주;성환후;윤종택;민관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81-186
    • /
    • 2007
  • DNA 결합 단백질 억제(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또는 분화억제(Inhibitor of differentiation) 인자인 Id는 네 종류(Id1-4)가 있으며, 세포의 증식과 분화, 혈관 형성 및 세포자가사멸 등에 정 또는 부의 조절인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번식생리 분야에서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이나 기능에 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쥐 난소에서 난포의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쥐에게 PMSG주사 후, 3, 6, 12, 24, 36 및 48시간째에 난소를 회수하여 고정,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 실험을 위하여 anti-sense와 sense Id3 cRNA 탐침자를 제작한 다음 난소 절편에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난소 절편은 NTB-2 유광제에 노출시킨 후 현상액에 반응시켰다. 모든 처리가 끝난 슬라이드는 H&E 염색을 실시한 다음 현미경하에서 hybridization 감도를 1+에서 4+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난자에서는 Id3 mRNA 감도가 원시와 제1차 난포에서 ${\geq}2+$으로 확인되었으나, 제2차, 우성 및 배란전 난포에서는 1+ 이하로 관찰되었다. 한편, 과립막세포에서는 우성과 배란 전 난포에서 Id3 mRNA가 3+ 또는 4+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d3 mRNA는 난포의 발단 단계 또는 난포세포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난포의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질아메바 병원성 분리주에서 발현되는 항원 단백질을 coding하는 cDNA (cDNAs encoding the antigenic proteins in pathogenic strain of Entamoeba histolytica)

  • 임경일;최종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203-210
    • /
    • 1997
  • 이질아메바 병원성 분리주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mRNA를 동정하고자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DDRT-PCR)을 수행하여 병원성 특이 증폭산물을 확인하였다. 한국인에서 검출한 이질아메바 병원성 분리주 YS-27과 Entamoeba dispar분리주인 S 16으로부터 정제한 mRAN를 주형으로 11개의 arbitrary primer와 3개의 one base anchored $oligo-dT_{11}M$(M: A, C 또는 G)의 조합을 이용, DDRT-PCR을 실시한 결과 31개의 분획이 YS-27주에서만 증폭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331개 DNA 중 21개는 cysteine proteinase 유전자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YS-27주로부터 제작된 cDNA library를 나머지 DNA를 탐침으로 사용, 검색하여 최종 4개의 clone을 얻었다. 이 4개의 clone을 이용, immunoscreening을 수행한 결과, 이 clone들은 이질아메바 감염자 혈청과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근세포 분화 조절에 관련된 특이 유전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pecific Gene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Muscle Cell Differentiation)

  • 강성구;김상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7-294
    • /
    • 1992
  • 배양 중의 골격근 세포는 증식을 거쳐 세포융합을 통해 다핵세포로 분화되므로 세포분화의 연구에 좋은 모델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전 실험에서 근원세포 융합을 억제하는 단일클론항체(MII-3J31)가 제작되었으며(Kim et al., 1992)이 항체에 대한 항원은 분자량이 약 35 kDa인 세포막 단백질로 추정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13일 계배와 성체의 근섬유 mRNA에서 CDNA라이브러리를 제작하여 근원세포 분화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를 추적하였다. 근원세포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대한 CDNA는 계배 13일 째의 근원세포 CDNA라이브러리에서 단일클론항체를 사용한 immunoscreening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 CDNA의 크기는 약 1.5 kb였다. 한편 13일 계배와성체 근섬유 CDNA 라이브러 리를 이용하여 13일 계배에만 특이하게 유전자 발현 이 일어 나고 성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약 0.8 kb의 CDNA플 찾았다.

  • PDF

간흡충 tropomyosin: PCR로 일부분 증폭된 cDNA의 cloning 및 염기서열 (Clonorchis sinensis tropomyosin: Cloning and sequence of partial cDNA amplified by PCR)

  • 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85-292
    • /
    • 1993
  • 간흡충 total RNk에는 많은 량의 185 rRNA가 함유되어 있었지만 285 rRNA는 그 양이 매우 적었다. 약 $8{\;}{\mu\textrm{g}}의{\;}poly{\;}(A)^{+}$ mRNAS부터 합성된 double-stranded CDNA는 대부분이 0.4-4.2 kb 크기이었으며 9.5 kb에 달하는 것도 있었다. 이미 보고되어 있는 tropomyosin의 amino산 서열을 기준하여 5개의 degenerated oligonucleotide (sense primer 2개와 antisense primer 3개)를 합성하였다. TotalcDNA를 template로 하고 sense primer와 antisense primer를 조합하여 실시한 PCR 산물 중에서 580 bp 크기의 특이 유전자가 나타났다. 만손주혈흡충의 tropomyosin CDNA를 탐색자로 써서 Southern hybridization했을 때 이 유전자만이 검출되어서. 이 유전자는 간횹충 tropomyosin (CSTM) CDNA의 일부분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sequencing vector인 POEM-3Zf(-)에 cloning한 다음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nRf 증폭된 CSTM CDNA는 크기가 575 bp이었으며 191개의 predicted amino산 서열은 한 개의 open reading frame을 갖고 있었다 CSTM CDNA의 amino산 서열은 만손주혈흡충 tropomyosln과 86.3%. Trichosoonvk: colhnfornis tropomyosin과 51.1% 의 유사성을 갖고 있었다. 이 CSTM cDNA fragment는 앞으로 간흡충 cDNA library를 screening하여 완전한 CnM CDNA를 cloning하기에 좋은 probe로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생쥐 난소의 발생단계에 따른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의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 in the Mouse Ovari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윤세진;이경아;고정재;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95-100
    • /
    • 1999
  • Growth/differentiation factor-9 (GDF-9)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superfamily의 member로서 난소의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정상적인 난포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성숙인자로 최근에 알려졌다. 본 연구는 RT-PCR을 통해 생쥐의 원시난포에서의 GDF-9 mRNA의 발현 여부와 함께 난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는 ICR 생쥐를 사용하여 질전 (vaginal plug)이 확인된 날을 1일로 하여 임신 19일의 태아와 태어난 날을 1일로 하여 생후 1일, 10일, 21일, 28일된 생쥐 난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발달단계의 난소조직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GDF-9 유전자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들을 $\beta$-actin에 대해 상대적인 정량분석을 하였다. GDF-9 유전자 발현은 아직은 성장을 시작하지 않은 임신 19일의 태아의 난소, 대부분이 원시난포로 이루어진 태어난 날의 생쥐 난소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성장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난포 즉, antrum 형성 이전의 growing follicles이 주를 이루는 생후 10일째의 난소에서 가장 높은 GDF-9 유전자 발현이 관찰되었다. 나머지 단계의 난소에서는 거의 비슷한 정도로 발현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쥐의 원시난포에도 GDF-9 transcript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증명하였으며, GDF-9이 생쥐의 초기 난포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생쥐 태아 및 성체 조직에서의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Gene during Fetal Development and Adult in Mice)

  • 손태종;김남근;이숙환;한세열;고정재;박찬;이우식;이찬;이용희;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101-105
    • /
    • 1999
  •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MPG)는 DNA에서 N-methylpurine과 다른 손상된 purine기를 제거하는 DNA 회복 효소이다. 생쥐의 임신 8일 후의 태아조직부터 생후 400일까지의 조직들로부터 RT-PCR 방법으로 MPG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MPG mRNA는 태아 형성기동안 많은 양이 발현되었으며, 특히 15일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태반에서의 MPG mRNA는 8 p.c. (post coitum)부터 18 p.c. 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태아 형성기의 뇌와 간 조직에서 높은 mRNA 발현을 보였으나, 400일 되는 성체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부정소, 정낭, 정소, 정관, 난소, 난관 그리고 자궁 등의 생식기관에서의 MPG mRNA는 비교적 높게 발현되었고, 그들 중 부정소에서의 발현 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MPG 유전자는 태아 발생단계 및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