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성 추출

Search Result 7,574,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Most Appropriate Image Selection method for Color Extraction in Immersive modeling (실감 모델링을 위한 색 추출 기법에서 적합한 이미지 선정 방법 연구)

  • Park, Joung-Wook;Lee, Kwan-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4-49
    • /
    • 2007
  • 반짝이는 특성의 물체에 대해 이미지를 기반으로 색을 추출하는 경우 반짝이는 특성을 포함하면서 내재되어 있는 색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색 곡선(color line)을 이용한다. 이 경우 추출하려는 색이 왜곡되지 않은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선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실감모델링을 위해 색 곡선을 기반으로 색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을 위해 색을 추출하기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선정하는 기준을 색포화율(color saturation ratio)을 통해 제안한다. 색포화율이란 색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색이 포화된 픽셀들을 최대 색거리를 가진 픽셀들로 간주하여 계산된 색거리의 총합에 대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색이 포화된 픽셀들의 색거리 총합의 비율를 의미한다. 이상적으로 이 비율이 최소가 되면 하이라이트를 제외한 어떤 픽셀도 포화되지 않기 때문에 반짝이는 특성을 가진 물체의 색을 추출하기 위해 촬영된 이미지는 하이라이트를 제외한 모든 색이 왜곡되지 않은 가장 적합한 이미지가 생성된다. 또한, 이렇게 선정된 이미지에서 추출된 색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해 색 공간과 이미지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응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Extraction of Temporal and Spectral Features based on Spikegram for Music Genre Classification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스파이크그램 기반의 시간 및 주파수 특성 추출 기술)

  • Jang, Won;Cho, Hyo-Jin;Shin, Seong-Hyeo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49-5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시간 및 주파수 기반 스파이크그램 특성 추출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악 장르 분류 시스템에서는 푸리에 변환 기반의 입력 특성을 주로 사용해 왔다. 푸리에 변환은 시간 축에서 프레임 단위로 평균적인 주파수 정보를 취하므로 낮은 시간 해상도를 갖지만, 스파이크그램은 샘플 단위의 주파수 정보를 갖고 있어 고해상도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제안하는 기술은 이러한 시간 기반 특성을 추출하여 주파수 기반 특성 및 SNR 특성과 함께 심층 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제안하는 특성을 사용하여 시간 기반 특성을 사용하지 않은 기존 스파이크그램 특성 기반 분류기의 성능을 개선하였으며, 다른 특성 및 분류기에 비해 적은 수의 특성 입력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얻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splendens Extracts on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Conditions (수증기증류조건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의 품질특성)

  • Youn, Kwang-Sup;Hong, Joo-Heon;Choi, Yong-H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5
    • /
    • pp.623-628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extract materials from Elsholtzia splendens by analyzing the functionality and aroma profile by th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The qualities of extracts such as total yield, total phenolic compound and electron donation ability were affected by extraction temperature than time. The main flavor compounds were analyzed as estragole, thymol and beta-caryophyllene. The response variables had significant with extraction temperature than tim. The established model was suitable to predict calculated value in experimental ranges. The optimum extinction conditions, which were limited of maximum value for dependent variables were $108^{\circ}C$ and 2.1 hr in th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 Study on Auto-extract of Land Character of Public Land Price by GIS (GIS를 이용한 공시지가 토지특성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 박수홍;홍성언;김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6-492
    • /
    • 2003
  • 개별공시지가는 현재 자동화 산정 프로그램인 ALPA(Automatic Land Price Appraisal System)에 의해 지가를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 시스템은 지가를 자동적으로 산출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가의 계산만이 가능하고, 토지특성의 자동 추출에 관한 기능의 부재와 비교 표준지에 대한 취사 선택기능이 없는 등 정확도나 효율성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현재 개별공시지가를 조사ㆍ산정하는데 1년에 약 400억 소요되어 엄청난 국가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실무자들의 현장 조사와 수작업에 의한 토지특성 조사ㆍ기재로 인하여 개별공시지가 검증과정에서 발견되는 오류 필지의 상당 부분이 토지특성조사 착오로 나타나고 있어 토지특성 조사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결여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토지 특성조사와 효율적으로 공시지가를 자동 산정하기 위해서는 토지특성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특성 조사 중 객관성과 정확도 측면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필지의 형상특성과 항(방위)특성에 대해 GIS 소프트웨어인 ArcGIS와 Window기반의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토지특성을 자동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자동 추출된 토지특성을 현행 토지특성과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정확도와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uto-extraction of Land Characterictics Using a GSIS (GSIS를 이용한 토지 특성의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 Park, Sung-Kyu;Lim, Seoung-Hyeon;Park, Jung-Nam;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6 no.2 s.12
    • /
    • pp.59-67
    • /
    • 1998
  • This study deals with a auto-extraction of land characteristics using a GSIS. Major algorithm and a evalu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automate the entire Process of land characteristics survey Through the automatic extraction of land information. To establish such a process, a method was provided to automatically extract detailed land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height, direction, road contact conditions, which could not be available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ption of such a automated process could lead the whole works related to the official land-value evaluation and securing residential complex to be more efficient and cost-saving in a scientific way comparing with existing process.

  • PDF

옻(Rhus Verniciflua) 추출물을 이용한 육가공 제품의 관능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 변화

  • 강민정;최선영;조현소;신정혜;성낙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4.07a
    • /
    • pp.46-46
    • /
    • 2004
  • 예로부터 옻은 항암성, 항산화성, 혈액순환기계 질환예방, 항균성 및 면역증강 작용 등이 있음이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옻 중의 유독 성분으로 강한 알레르지를 유발하는 urushiol을 불활성화 시킨 기능성 옻 추출물을 첨가시킨 육가공품을 제조하였다. 소세지, 햄, 베이컨 및 족발 시료는 옻 추출물을 0.1% 첨가하여 사육한 돈육 및 일반 돈육에 옻 추출물을 2%, 4%및 8%첨가하여 제조한 시료에 대하여 4$^{\circ}C$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관능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Comparisons of Linear Feature Extraction Methods (선형적 특징추출 방법의 특성 비교)

  • Oh, Sa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4
    • /
    • pp.121-130
    • /
    • 2009
  • In this paper, feature extraction methods, which is one field of reducing dimensions of high-dimensional data,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We selected the traditional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d sNMF(Sparse NMF) for comparisons. ICA has a similar feature with the simple cell of V1. NMF implemented a "parts-based representation in the brain" and sNMF is a improved version of NMF. In order to visually investigate the extracted features, handwritten digits are handled. Also, the extracted features are used to train multi-layer perceptrons for recognition test. The characteristic of each feature extraction method will be useful when applying feature extraction methods to many real-world problems.

유기인산 추출제 CMPO에 의한 Am(III) 추출특성 연구

  • 양한범;임재관;이일희;유재형;박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559-564
    • /
    • 1996
  • 다작용기 유기인산 추출제인 octyl(phenyl)-N, N-diisobutyl carbamoylmethylphosphine oxide(CMPO)의 Am(III)에 대한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0.2M CMPO-1.4M TBP/n-dodecane 추출제, 추출온도 30 $^{\circ}C$, 수용액의 질산농도 2M인 조건에서 Am(III)은 95.8%가 추출되었다. CMPO 추출제에 첨가되는 TBP 농도가 0.5M 까지는 Am(III)의 추출율이 감소시키는 영향을 나타냈으나, 0.5M 이상인 영역에서는 Am(III) 추출율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Am(III) 추출에 미치는 옥살산농도의 영향은 옥살산농도가 증가할수록 Am(III)의 추출율이 감소하였으며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Am(III) 추출율이 감소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CMPO 추출제는 제 3상을 매우 잘 형성하여 특징을 나타냈으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규명하였다.

  • PDF

Effect of Extraction Times with Bones from Hanwoo Bull on Physico-Chemical,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Extract (한우수소뼈의 추출횟수가 용출액의 이화학적 관응적 및 영양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진형;조수현;유영모;채현석;박범영;이종문;안종남;김학균;김용곤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3
    • /
    • pp.236-241
    • /
    • 2000
  • 본 연구는 한우우소뼈로 만든 용출액의 품질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한우뼈의 부가가치 향상 및 소비 확대를 위하여 추출횟수별에 따른 이화학적, 관능적 및 영양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탁도, 점도 및 콘드리이친황산함량에서 추출횟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P<0.05), 콜라겐 함량에서는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에서 명도는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와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관능평가에서 추출 회수가 증가할수록 평가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P<0.05), 총질소, 나트륨, 칼슘 함량 및 칼로리는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2차추출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조직특성에서 추출전 대퇴골의 단면은 골수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나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골수가 추출되어 3차 추출이후의 대퇴골 단면에는 골수 성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우우소뼈로 설렁탕을 가정에서 제조시 3차까지 우려내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Region Based Similar Image Retrieval using Histogram Comparison (히스토그램 비교법을 이용한 영역기반 유사 이미지 검색)

  • 임동혁;김창룡;정진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30-132
    • /
    • 2000
  • 주요 멀티미디어 자료인 이미지는 데이터 특성을 표현하기가 어렵고, 특성추출에서 얻은 데이터가 너무 고차원적이라 이를 저차원의 처리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손실이 있다. 이미지의 특성값을 전체 이미지의 평균값으로 변경하여 저차원 데이터를 얻는 기존의 이미지 전체 특성추출기법이나 고정된 블록의 평균값으로 변경하여 저차원 데이터를 얻는 이미지 블록 특성추출기법은 유사 이미지의 검색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가변적인 영역으로 나누어 특성값을 얻고,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유사 이미지를 찾는 영역기반 유사 이미지 검색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