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성조사

Search Result 30,029, Processing Time 0.074 seconds

Statistical Analysis o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Miscanthus sinensis Cultivars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재배품종의 양적형질에 대한 통계적 분석)

  • An, Mi-Yun;Ryu, Sung-Ryul;Kwon, Yong-Rak;Jang,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85-85
    • /
    • 2018
  • 식물의 특성조사요령에서 조사항목을 정하는 것은 특정한 식물의 고유특성을 표현하고 새로운 품종에 대한 DUS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참억새(Miscanthus sienesis) 품종들의 양적형질에 대한 조사결과를 각각의 특성조사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각 특성조사 항목의 측정값이 여러 품종에서 균일하게 나타날 경우 식물의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사항목으로 채택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조사항목이 품종의 특성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채택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참억새(M. sienesis) 재배종을 대상으로 양적형질의 측정값에 대해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이용하여 균일한 정도를 확인하고 조사항목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해보았다. 조사대상은 참억새 15개 재배종으로 양적특성 16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식물체 높이, 줄기 길이, 마디의 수, 까락 길이는 변이계수가 5%이하로 작아 양적형질을 표현하는데 있어 문제가 없으나, 마디길이와 엽초길이는 변이계수 22%에서 68% 사이로 높아 형질의 특성이라고 설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조사항목에 대한 변이계수가 다른 특성들에 비해 높은 경우 변이의 범위가 넓어 품종의 형질이라고 판정하기 모호하기 때문에 조사항목으로의 채택은 고려해야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특성조사요령의 양적형질에 대한 특성조사항목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Review of Site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론 해외 사례 연구)

  • Park, Kyung-Woo;Kim, Kyung-Su;Koh, Yong-Kwon;Jo, Yeonguk;Ji, Sung-Ho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5 no.3
    • /
    • pp.239-256
    • /
    • 2017
  • In the process of site selection for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characterization must be carried out to obtain input parameters to assess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deep geological repository. In this paper, methodologies of site characterization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in Korea were suggested based on foreign cases of site characterization. The IAEA recommends that site characterization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should be performed through stepwise processes, in which the site characterization period is divided into preliminary and detailed stages, in sequence. This methodology was followed by several foreign countries for their geological disposal programs. General properties related to geological environments were obtained at the preliminary site characterization stage; more detailed sit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detailed site characterization stage.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geology, hydro-geology, geochemistry, rock mechanics, solute transport and thermal properties at a site have to be combined and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ite descriptive model. Based on this site descriptive model, the site characteristics can be evaluated to assess suitability of site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According to foreign site characterization cases, 7 or 8 years are expected to be needed for site characterization; however, the time required may increase if the no proper national strategy is provided.

A Study on Auto-extract of Land Character of Public Land Price by GIS (GIS를 이용한 공시지가 토지특성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 박수홍;홍성언;김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6-492
    • /
    • 2003
  • 개별공시지가는 현재 자동화 산정 프로그램인 ALPA(Automatic Land Price Appraisal System)에 의해 지가를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 시스템은 지가를 자동적으로 산출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가의 계산만이 가능하고, 토지특성의 자동 추출에 관한 기능의 부재와 비교 표준지에 대한 취사 선택기능이 없는 등 정확도나 효율성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현재 개별공시지가를 조사ㆍ산정하는데 1년에 약 400억 소요되어 엄청난 국가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실무자들의 현장 조사와 수작업에 의한 토지특성 조사ㆍ기재로 인하여 개별공시지가 검증과정에서 발견되는 오류 필지의 상당 부분이 토지특성조사 착오로 나타나고 있어 토지특성 조사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결여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토지 특성조사와 효율적으로 공시지가를 자동 산정하기 위해서는 토지특성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특성 조사 중 객관성과 정확도 측면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필지의 형상특성과 항(방위)특성에 대해 GIS 소프트웨어인 ArcGIS와 Window기반의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토지특성을 자동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자동 추출된 토지특성을 현행 토지특성과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정확도와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Usability questionnaire items suitable to online user survey (온라인 사용자 조사에 적합한 사용성 설문 항목의 특성 정의)

  • Park, Sang-Hyun;Heo, Jeo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08-312
    • /
    • 2006
  • 온라인 사용자 조사는 전통적인 사용자 조사 기법의 단점인 높은 사용자 평가 비용, 긴 조사 기간, 평가 장소의 제약 및 사용자 대표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온라인 특성 상 동시에 수백명의 응답자가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조사 기간을 단축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많은 응답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응답자가 편리한 공간에서 응답자 스스로 질문을 읽고 응답하기 때문에 생각할 여유를 더 많이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전통적 사용자 조사 기법의 대안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의 발전으로 실제 제품 사용 사례를 사진으로 보여주거나 사용자가 직접 조사 시스템상의 에뮬레이터 활용을 통해 직접 제품사용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어 평가 영역 또한 기존 직접 평가와 거의 유사하게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에 대한 신원확인 및 온라인 상에서 성실과 활동 수행 등 온라인 사용자 조사시의 신뢰도를 보장한 수 없다는 점과 온 라인 사용자 조사의 수행 결과가 기존의 직접 평가수행 결과와 동일한지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것이 온라인조사시스템 활용의 가장 큰 제약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사용자 조사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온라인 설문 조사에 적합한 휴대폰의 사용성 문제 특성을 정의하고, 특성에 대해 효과적인 조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고려 요소들을 기술하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설문 조사가 기존 전통적 조사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효용을 가진 조사 기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주기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사용자 조사에 적합한 설문 항목의 특성을 정의 및 확장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SMS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LSMS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

  • Han Yong Lee;Jong Woo Jung;Hye Won Jeong;Chung De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8-408
    • /
    • 2023
  • 하천공간은 하도, 사주, 식생, 하천구조물 등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하천공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생산한다. 기존에는 현장에서 육안조사나 지상에서 사진촬영, 스케치방법으로 하천공간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나, 지상에서 조사한 자료은 하천특성에 대한 물리적·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자료의 활용성이 낮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IS 및 RS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된 첨단조사 기술 및 장비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으로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와 분류 항목에 따른 공간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대상지역은 섬진강권역의 지석천 유역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석천 친수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역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수집 및 정합한 후 QGIS에서 제공하는 Orfeo ToolBox(OTB)의 LSMS(Large Scale Mean-Shift) 기법으로 정합한 항공영상의 객체지향 영상분할을 실시하여 벡터 레이어를 생성하였고, 하천공간특성에 따른 항목을 선정하여 각 항목의 영역에 대한 선별을 통해 훈련데이터를 생성하였다. 훈련데이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각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를 확인하였으며, 하천공간특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분류된 각 항목별 공간분석을 통해 면적, 위치정보(위도, 경도, 표고)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의 벡터 레이어와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하천공간의 DB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공간 DB 구축을 통해 전국 하천관리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Forest Fuel Quality by Forest Fire Damage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Myung-Woog;Lee, Hae-Py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6-196
    • /
    • 2011
  •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숲구조가 유령림인 활엽수림이 2개소, 칩엽수림 1개소, 장령림인 활엽수림 2개소로 총 5개소, 양양군은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장령림 침엽수림 2개소 총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외 대조구 장령림 침엽수림 1개소, 강릉시의 경우 숲구조가 장령림인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지 규모는 $10m{\times}10m$로 하였으며, 현장 조사 항목은 조사지내의 산불피해 상태, 조사지 지형특성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상태는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고사여부, 편면연소, 밀도,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지의 지형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사면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조사장비로는 조사지의 지형도, 야장, 디지털 카메라, GPS, 수고측정기, 직경테이프, 캘리퍼, 50m 줄자 2개, 2m 폴대, 클리노메타, 바인더끈 등을 사용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특성별 유령림과 장령림의 편면연소율은 유령림은 97.3%, 장령림은 16.5%로 유령림의 편면연소율이 장령림보다 80.8%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유령림은 95.4%, 장령림은 19.9%로 유령림의 수관피해율이 장령림보다 75.5%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유령림은 73.8%, 장령림은 24.5%로 유령림의 임목고사율이 장령림보다 49.3%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ng Basin Characteristics at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에 대한 유역특성 분석)

  • Oh, Yeon-Kun;Kim, Moon-Ju;Kim, Ha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2-77
    • /
    • 2006
  • 유역특성조사는 지형도와 원격탐사자료 및 확인조사를 기초로 지리정보시스템(GIS)기법 등 최신기법을 도입하여 유역단위의 특성인자를 도출함으로서 이수 및 치수 등 수자원과 관련된 각종 분석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유역특성 자료는 전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전반에 문헌을 통한 개괄적인 인용, 또는 수작업으로 중소하천의 유역특성인자를 파악함으로서, 일관성 및 정확도에 어느정도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하천 유역별(소유역별) 유역특성 파악 및 특성인자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전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유역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수자원단위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DEM과 하천망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유역특성 및 하천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Outflow System at the Gilan River Basin (길안천 유역의 유출 체계 분석)

  • In Ho Oh;Eun Gyu Wang;Song I Moon;Kwon D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9-389
    • /
    • 2023
  • 우리나라는 농업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사용이 증가하며, 하천에서 직접 물을 취수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용 후 생활용수, 농수로 등을 통해 회귀되는 유량이 많아 하천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하천 유출 체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천에서 사용되는 물의 이용 특성에 대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안천에 운영되고 있는 취수 시설에 대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하천의 물 사용 체계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길안천 유역의 조사 구간은 대사3교 하류에서 구)묵계교 상류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 대상시설은 취입보, 취수장 등이며, 조사대상은 하천의 유출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로 길안천 유역에 영향을 주는 시설에 대해서만 수행을 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여 취⋅배수시설의 위치 등을 조사하였다. 길안천은 농업용수와 생활용수 사용의 증가에 따라 상하류 측정유량의 반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유출체계 분석을 통해 고려한 결과 안정적인 상하류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하천 내 취⋅배수시설 영향에 따른 유출 특성을 고려하여 자료를 검토한 결과 길안천 유역 내의 상하류 유량 반전 시기가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안동시(대사3교)관측소와 안동시(묵계교)관측소 구간의 취⋅배수영향을 고려하여 산정한 유출률을 기존자료와 비교한 결과 일정한 손실고가 유지되는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국내 자연사박물관 전시특성의 과학교육적 분석

  • Ryu Chun-Ryeol;Sin Myeong Gyeong;Lee Chang-Ji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48-15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적인 관점에서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전시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네 곳의 자연사박물관에서 244 종류의 자연사 관련 전시물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조사를 위해 본 연구는 7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했는데 각 항목들은 과학관과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특성을 다루었던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또한 과학교육적인 측면은 Hein(1995)의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국내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조사 결과는 각기 특성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나, 국외의 유명한 자연사박물관에 비교할 때 보다 많은 과학교육적 전시특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Effects of irradiated egg white on the quality of angel food cake (방사선 조사 난백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경애;이윤진;양재승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8 no.1
    • /
    • pp.30-33
    • /
    • 2002
  • The quality of an angel food cake prepared with albumen of irradiated eggs was investigated. Fresh shell eggs were irradiated at various doses up to 3 kGy. Egg white from irradiated eggs decreased the specific gravity and increased the pH of cake batter. The specific volume and expansion ratio of the cake increased by the use of albumen from irradiated eggs. Egg white from irradiated eggs made the crust color of cake darker, more reddish and yellowish.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ke were also affected by irradiation. Irradiation caused a decrease in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and an increase in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egg white from irradiated eggs apeared to make an angel food cake softer than that of non-irradiated egg wh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