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성정보 파일

Search Result 54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FAT 호환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을 위한 성능 최적화 기법

  • Kim Sung-Kwan;Lee Dong-Hee;Min Sa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96-798
    • /
    • 2005
  • 최근 휴대용 단말기 및 임베디드 시스템 등을 위한 저장 장치로서 플래시 메모리가 각광받고 있다. 이때 저장 장치 관리를 위한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전용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산업계에서는 사실상의 표준으로 FAT 파일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FAT 파일 시스템은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기에 성능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FAT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 특성을 고려한 성능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되는 기법은 파일 삭제 시 FAT 파일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확장한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 위에서 동작하는 FAT 파일 시스템의 쓰기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여 준다. 실험 결과 약 $29\%$의 쓰기 성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ICC Monitor Profiles (색 관리용 모니터 프로파일의 비교 분석)

  • 김홍석;박승옥;정연우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2a
    • /
    • pp.274-275
    • /
    • 2001
  • 컬러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특성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며 또한 프린터로 출력된 인쇄물의 컬러 또한 장치의 특성과 잉크의 재질에 따라 색이 다르게 출력된다. 이에 장치 독립적인 색을 재현하고자 ICC (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 )에서는 영상 입출력 장치들 간의 장치 독립적인 색을 표현하기 위한 ICC 프로파일을 제시하였으며, 현재 많은 색 보정 프로그램들이 이것을 따른다. 이로 인해 현재 출시되는 입출력 장치들은 ICC 프로파일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현재 배포되는 ICC 프로파일이 담고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IC 프로파일들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ICC 프로파일을 해독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프로파일을 읽어 데이터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EXT4 Filesystem Accesses for Android Web Browser (안드로이드 웹 브라우저의 EXT4에 대한 파일시스템의 접근 특성 분석)

  • Lee, Joon-Woo;Kim,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89-91
    • /
    • 2012
  • 플래시 저장장치는 순차 쓰기패턴에 높은 성능을 보이고, 랜덤 쓰기패턴에 낮은 성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응용 프로그램은 동작 방식에 따라 복합적인 패턴을 보일 수 있다. 본 논문은 대표적인 모바일 응용으로서 웹 브라우저 응용의 파일시스템 접근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에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에 채택된 Ext4 파일시스템을 기준으로 웹 브라우저 응용의 파일시스템 요청들을 성능개선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A Design of Framework for Effective Management of Ubiquitous Profile (유비쿼터스 프로파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의 설계)

  • Kim Jin-Sung;Kim Kyung-Sik;Lee J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3-496
    • /
    • 2006
  • 유비쿼터스 프로파일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해 CC/PP를 확장한 프로파일로서,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정보들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존재하며, 생성 시 게이트웨이의 프로파일 관리 저장소에서 통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들이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통합 및 관리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유비쿼터스 프로파일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프로파일 운영 아키텍쳐와 프로파일 처리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하였으며, 통합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워크는 운영되는 장소에 따라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CF), 유비쿼터스 프레임워크(UF), 저장소 프레임워크(RF)로 구분되며, 특성에 맞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프로파일 생성, 전송, 통합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유비쿼터스 프로파일 운용 시스템 구축에 효율적이다.

  • PDF

Cluster Sizing for Embedded Audio File Systems (임베디드 오디오 파일시스템의 클러스터 크기 연구)

  • Lim, Chang-Kyu;Lee,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523-15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들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파일시스템에서의 클러스터 크기들이 파일시스템의 입출력 처리시간 및 공간 사용률 등의 성능 요소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고 이를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특성에 맞게 개선함으로써, 임베디드 오디오 파일시스템의 클러스터 크기에 관한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ISO-9660 File System for Embedded System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ISO-9660 파일 시스템 구현)

  • 이호송;성영락;이철훈;권택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78-180
    • /
    • 2003
  • 최근에 PDA 나 디지털 TV 셋탑박스, 디지털 카메라, DVD 플레이어, IA(Internet Appliance)제품 등 일반 소비자 제품에도 임베디드 시스템이 탑재되면서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런 임베디드 시스템의 핵심은 실시간 운영체제(RTOS)와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파일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스 시스템에 탑재된 실시간 운영체제에서 동작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 중에서 가상 파일 시스템과 통합하여 동작하는 ISO-9660 파일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ISO-9660 파일 시스템은 ISO-9660과 RRIP(Rock Ridge Interchange Protocol), Joliet 표준을 지원한다.

  • PDF

Record extraction from database pages without columns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 포렌식에서 칼럼 정보 없이 삭제된 레코드 복구를 위한 분석)

  • Kim, Sunkyung;Park, Ji Su;Shon, Jin 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9-352
    • /
    • 2017
  • 파일시스템 포렌식으로 삭제된 파일을 복구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한 데이터 파일의 경우 레코드는 복구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포렌식이 연구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포렌식은 각 데이터베이스 고유 저장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파일에서 삭제된 레코드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칼럼 정보를 얻지 못할 경우 기존 데이터베이스 포렌식으로는 레코드 복구가 불가능하다. 데이터 파일의 구성단위인 페이지를 읽어 칼럼구조를 유추하면 레코드를 복원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칼럼 정보 없이 데이터 파일에 레코드가 저장된 형태를 분석하여 삭제된 레코드를 포함한 파일에 잔존하는 레코드를 복구를 위한 분석과 실험을 하였다.

File System Optimization Implement for I/O Efficient Performance of NEC System (NEC 시스템의 I/O 성능 향상을 위한 파일 시스템 최적화 구성)

  • Lee Young-Joo;Sung Jin-Woo;Jang Ji-Hoon;Lee Sang-Dong;Kim Jo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47-1350
    • /
    • 2006
  • 최근 인터넷과 같은 개방된 네트워크의 발달로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단위 크기도 커지고 있다. NEC 시스템에서 이러한 크고 많은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하여 파일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그 성능을 시험하고 분석하였다. 전체 컴퓨터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는 CPU와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러한 각각의 부분적인 시스템 중에서 사용자가 수행할 프로그램 특성에 맞게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은 파일 시스템이다. 파일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의 특성과 사용자의 프로그램 용도를 고려하여 알맞게 설계되면 시스템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NEC 시스템에서의 파일 시스템을 시스템의 특성과 용도에 맞게 설계하고 테스트하여 그 성능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Digital Forensic Analysis for New File System (신규 파일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분석 필요성 연구)

  • Lee, Keun-Gi;Lee, Changhoon;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08-1110
    • /
    • 2012
  •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존에는 Windows에 사용되는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 시스템과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Unix/Linux 등에서 주로 활용되는 ext계열 파일 시스템 등이 주된 분석 대상이었으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 등 다양한 IT기기가 보급되면서 이들 기기에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을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으로 분석해야할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나열하고 각각의 특성을 서술하여 향후 추가 분석의 지침으로 활용하고자한다.

Applicable Profile Model for UML-based Modeling Tool (UML 기반 설계도구에서의 프로파일 지원을 위한 모델)

  • 김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313-315
    • /
    • 2004
  • UML은 범용의 목적으로 설계된 모델링 언어이지만 않은 도메인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UML을 각 도메인의 특성에 맞게 확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라는 메커니즘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UML 표준 명세에 기술되어 있는 확장 메커니즘과 프로파일은 그 자체로 매우 잘 설계된 모델이나 그대로 설계 도구에 도입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않다. 본 논문에서는 UML 기반의 설계 도구에서 프로파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확장 메커니즘 모델을 개선하고 프로파일을 정의할 수 있는 정형적인 방법들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