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성에 근거한 모형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56초

임의시간 환산계수에 대한 Weiss 모형의 확장 : Ⅱ. 강우 시간분포의 고려 (Theoretical Expansion of Weiss Model on the Conversion Factor of Fixed- to True-Interval Rainfall: Ⅱ. Consideration on the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 유철상;전창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3-40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임의시간 환산계수(Conversion Factor, CF)와 관련하여 거의 유일한 이론적 연구인 Weiss 모형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한 수정 Weiss 모형을 제안하였다. 특히, 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이론적인 방법을 통해 산정하는 과정에서 강우 지속기간과 강우 시간분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의 하나로서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CF를 결정하였다. 이를 실제 관측 자료에 근거한 국내 외 CF값들과 비교해본 결과, 수정 Weiss 모형을 근거로 산정한 CF값은 강우 시간분포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값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공백역 지진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산정 (Computation of Hypothetical Tsunamis on the East Coast in Korea)

  • 최병호;홍성진;이제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73-8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동해에서의 가상해저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의 예단적 특성에 대해 논하였는데 재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지진해일의 근원역은 공백역이론으로부터 선택되었다. 선형장파이론에 근거한 수치모형과 구면좌표계상의 파향선방정식에 근거한 파향선추적산정모형을 채택하여 28개의 선정된 가상지진(4 경우 실제지진 포함)에 의한 지진해일 전파를 산정하는 데 적용되었다. 결과로서 동해안에 전파되는 지진해일 특성과 동해안의 해안역위치에서의 지진해일 분포가 산정되어 지진해일 재해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리적 위치를 구획화하였다.

임의시간 환산계수에 대한 Weiss 모형의 개선 (Improvement of Weiss Model on the Conversion Factor of Fixed- to True-Interval Rainfall)

  • 유철상;전창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B호
    • /
    • pp.315-3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임의시간 환산계수(Conversion Factor, CF)와 관련하여 거의 유일한 이론적 연구인 Weiss 모형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한 수정 Weiss 모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강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이들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의 하나로서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을 고려허여 CF를 추정하고 이를 실제 관측 자료에 근거한 CF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정 Weiss 모형을 근거로 산정한 CF 값은 강우 시간분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으로 집중된 강우 시간분포 형태에 대한 이론적인 CF 값이 실측 자료에 근거한 국내 외 CF 값들과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ype-2 Gumbel과 Erlang 분포의 형상모수를 따르는 수명분포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모형에 관한 특성 연구 (A characteristic study on the software development cost model based on the lifetime distribution following the shape parameter of Type-2 Gumbel and Erlang distribution)

  • 양태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60-466
    • /
    • 2018
  • 정보기술의 발달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규모는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신뢰성 및 비용은 소프트웨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고장 간격시간 자료를 바탕으로 NHPP 모형에서 Type-2 Gumbel과 Erlang 분포의 형상모수를 따르는 수명분포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모형에 관한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Go-Okumoto 모형 및 제시한 모형인 Erlang 모형과 Type-2 Gumble 모형에 대한 비용곡선의 추세는 모두 초기단계에서 감소하다가, 고장시간이 지나는 후반부에 가서는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Erlang 모형과 Type-2 Gumble 모형을 비교한 결과, Erlang 모형이 소프트웨어 출시시기가 빠르고, 출시시점의 비용도 경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운용자들은 소프트웨어 출시시기 이후에 결함이 감소되도록 운영단계보다 테스팅 단계에서 결함들을 제거해야 하며,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사전정보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전교차로의 통행특성에 근거한 용량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apacity Models Based 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at Roundabout)

  • 김태영;백태헌;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51-661
    • /
    • 2014
  • 최근 국내 회전교차로의 도입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회전교차로의 용량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실 자료를 바탕으로 용량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한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에 근거한 미국 HCM 용량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회전교차로의 용량이 분석되었다. 국내의 진입용량은 회전교통류율($Q_c$)이 적을 경우에는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회전교통류율($Q_c$)이 많아지면 미국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실 교통량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회전교차로의 기본용량모형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셋째, 기본용량모형을 근거로 기하구조를 고려한 모형이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개발된 모든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의 투자 행태 분석 :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근거 (THEORETICAL BACKGROUND AND EMPIRICAL EVIDENCE FOR R&D AND ADVERTISING INVESTMENTS IN KOREA)

  • 이종일
    • 기술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85-212
    • /
    • 1995
  • 전통적인 산업조직이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장구조-행동-성과 분석 도구 (The SCP Paradigm)는 시장성과가 가격정책, 기술개발투자(R&D), 광고투자, 생산설비 변경 등 시장행동의 함수라는 암묵적 가정에 근거한다. 최근 시장행동 중에서 기업의 관심이 크게 높아진 R&D 및 광고투자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시장성과를 구성하는 주요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R&D 및 광고 투자의 성격과 행태, 그리고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호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다. 몇 안 되는 연구들도 기업의 행태를 실증적으로 설명하는데 치중함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논리의 전개상 이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수리모형이 먼저 제시된 후에야 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통계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SCP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업이 한정된 재원을 어떤 원칙아래 R&D 및 광고에 분산 투자하는 가를 설명하기 위해 수리모형을 설정한 후, 정태와 동학, 확실성과 불확실성, 단발성과 균등투자전략의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 R&D 및 광고투자 함수를 이론적 근거에 의해 도입하되, 각 모형에 균형이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수리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1) 기업의 투자는 R&D 및 광고투자간에 한계원리(Marginal Principle)가 지켜지도록 분배할 때에 효율적임이 판명되었고, (2) 동학모형이 정학모형을 포함하는 일반모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3) 투자는 확실성이 높을수록, 분산시킬수록 투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모형추정은 앞의 수리모형 및 그 결과에 근거를 두었으며, 한국기업에 적절한 R&D 및 광고투자함수를 추정한 뒤 이를 이용해 업종, 기업규모, 상품유형별로 적합한 모델(Fixed Effects Model)을 결정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결과 (1) 업종 및 기업규모별로 그룹간에 유의한 특성이 발견되었으며, (2) R&D 및 광고투자는 기업의 시장성과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이나, (3) R&D 투자의 경우는 광고에 비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수리모형에서 도출된 한계원리가 통계모형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네트워크 특성과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를 중심으로 한 도시유역 특성 분석 (Analysis of urban catchment characteristics focusing on urban drainage network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s)

  • 김경재;서용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4-154
    • /
    • 2016
  •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 발전과 함께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도시지역 침수에 대한 위험이 야기되고 있다. 배수관망 체계는 지역 내의 강우를 빠르게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2010년, 2011년과 같이 반복적인 침수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과 2011년을 기준으로 침수된 서울시 100개의 유역을 선정하고 깁스모형을 적용하여 침수지역을 중심으로 한 배수관망체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각 유역의 IA(Impervious Area)와 DCIA(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를 근거로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 특성도 분석하였다. 깁스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 특성과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근거로 침수지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지역의 배수관망의 효율성을 판단하고 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배수관망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로그형 특성분포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최적 방출시기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Software Optimal Release Time Based on Log property Distribution)

  • 김희철;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149-1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여 테스팅을 거친 후 사용자에게 인도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방출문제에 대하여 연구되었다. 인도시기에 관한 모형은 무한 고장 수에 의존하는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포아송 과정은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제거하거나 수정 작업 중에도 새로운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을 반영하는 모형이다. 적용모형은 여러 수명 분포들을 적합시키는데 효율적인 특성을 가진 콤페르쯔, 파레토, 로그-로지스틱 모형과 같은 로그형 특성분포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요구 신뢰도를 만족시키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총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방출시간이 최적 소프트웨어 방출 정책이 된다. 본 논문의 수치적인 예에서는 고장 간격 시간 자료를 적용하고 모수추정 방법은 최우추정법을 이용하여 최적 방출시기를 추정하였다.

  • PDF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효저수량의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 안태진;조동호;이상호;최계운;윤용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844-848
    • /
    • 2004
  • 농업용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은 물수지 분석을 근거로 한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하여 결정하고 있다. 유역은 유출량에 관하여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저수지에서 유효저수량의 결정은 유역으로부터의 유출량을 근거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유출량을 근거로 한 추계학적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고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분석하였다. 선형계획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분석에 있어서 선형결정법칙은 Chance-constrained model과 함께 분석년수와 관계없이 제약조건식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하고 있는 금광저수지를 대상지수지로 선정하여 유효지수량을 분석한 결과, 추계학적 선형계획모형에 의한 유효저수량은 물수지 분석에 의한 것 보다 크게 분석되었다. 본 인구에서 제시된 선형계획모형에 의하여 적정한 유효저수량을 결정하고,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결정된 유효저수량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위배분석과정(位陪分析過程)에 근거한 매립지 유해성 평가 모형 (Landfill Hazard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1호
    • /
    • pp.13-2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를 비롯한 매립지의 각종 오염물질 배출로 수자원이 오염되어 피폭체의 피해가 빈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매립지의 상대적 유해성을 평가하여 한정된 환경관리 예산의 합리적 배분을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도구로서 LHR(Landfill Site Hazard Ranking)모형을 개발했다. LHR모형은 다요소의사결정(多要素意思決) 기법에 정성적 위해성(危害性) 평가기법을 접맥시켜 주관적 가중치를 모형에 반영한 가치내재화(價値內在化) 모형이다. LHR모형은 피폭체의 주요 피폭경로를 지하수 이동경로와 지표수 이동경로로 보았으며, 각 이동경로별로 누출 가능성, 폐기물 특성 및 피폭체 특성으로 요소범주를 3종류로 구분하여 폐기물의 독성이나 매립량같은 특성이 매립지의 수리지질학적 요소 및 자연지리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오염물질의 누출 가능성을 통해 매립지 주변의 지역주민과 취약한 수생태계 같은 피폭체에 끼치는 매립지의 유해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했다. 그리고 LHR모형에서는 매립지 유해성을 공기 이동경로 및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도 평가하기 위해 매립지 이격거리별 토지이용 형태의 유해성을 평가했다. 그리고 각 평가요소별 가중치는 위계분석과정(位階分析過程)의 쌍대비교법(雙對比較法)에 의하여 할당했으며, 민감도 분석으로 LHR모형을 검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