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산나물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Deokhangsan Protected Area in Samcheok-si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 ation in Baekdudaegan, Korea (백두대간 덕항산(삼척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Kim, Se-Chang;Seo, Han-Na;Ahn, Chi-Ho;Park, Wan-G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1 no.1
    • /
    • pp.1-18
    • /
    • 2022
  • In this study, the vascular plants of the Mt. Deokhangsan protected area were surveyed for the purpose of forest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in Gangwon-do, South Korea. The flora on Mt. Deokhangsan were classified as follows 537 taxa, 90 families, 302 genera, 479 species, 4 subspecies, 51 varieties, and 3 forms. Among the taxa, 19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17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Plants as indicators of limestone areas were found in 33 taxa. Naturalized plants were found in 27 taxa and species threatened by climate change were found in 33 taxa, including 11 endemic plant taxa and 22 northern plant taxa. Plants endemic to Korea and northern plants were mainly found at the study site, whereas southern plants were not found. Thus, Mt. Deokhangsan apparently has a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of northern plants.

Growth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stenocephala by Sowing Time in Field Seedlings (곤달비 노지육묘 파종 시기별 생육 특성)

  • Gue-Saeng, Yeom;Jeong-Seob Moon;Song-Hee Ahn;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0-40
    • /
    • 2021
  •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쌍떡잎식물,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에 분포하고, 우리나라는 전남 홍도가 특산 자생지이며 주로 강원도, 경북 경주, 전북 남원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곤달비는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국거리, 튀김, 묵나물로 식용한다. 특수 성분으로는 Isopropenyl, dimethoxybenzofuran, Liguhodgsonal, Ligujapon, Ligularinone A, Ligularinone B 등이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 진통억제, 정기를 보익하고 허약함을 보하는 기능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가 신경통, 유종(乳腫) 등에 쓰인다. 곤달비는 주로 시설하우스나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임간에서 재배되어 생산 단가가 높아 소비활성화를 위한 가공제품을 생산하기가 힘들며, 육묘 또한 시설하우스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곤달비 노지육묘 파종시기별 생육특성을 구명하여 노지재배 생력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해발 500m)에서 수행하였다. 춘파는 2019년 4월 상순, 5월 상순, 6월 상순에 각각 파종하였고 추파는 2019년 9월 상순, 중순, 하순에 파종하였다. 본포 정식은 춘파는 2019년 6월 말에, 추파는 2020년 4월 말에 식재하였으며, 파종시기별 발아율, 활착률, 생육특성, 수량성 등을 조사한 결과 파종시기별 발아율은 춘파가 35.0%로 추파 30.7%보다 높았으며, 발아 소요일수는 추파 육묘에서 8.3일로 춘파 육묘 9.3일보다 빨랐다. 파종시기별 정식시 묘소질은 춘파가 추파보다 좋은 생육상태를 보였고, 정식 후 육묘 활착률은 추파가 99.3%로 춘파 94%보다 높았고, 생존율 또한 추파 육묘에서 99.3%로 춘파 육묘 96.3%보다 높았다. 파종시기별 생육특성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춘파에서 좀 더 좋은 생육을 보였으며, 수확량은 춘파 처리구에서 798.6kg/10a로 추파 처리 621.4kg/10a보다 높았다.

  • PDF

Establishing an Appropriate Ridge Width for Mechanization of Ligularia stenocephala Field Culture Harvesting Work (곤달비 노지재배 수확작업 기계화를 위한 적정 이랑폭 설정)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2-72
    • /
    • 2020
  •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쌍떡잎식물,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전남 홍도가 특산 자생지라고 하며 주로 강원도, 경북 경주, 전북 남원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곤달비는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국거리, 튀김, 묵나물로 식용한다. 특수 성분으로는 Isopropenyl, dimethoxybenzofuran, Liguhodgsonal, Ligujapon, Ligularinone A, Ligularinone B 등이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 진통억제, 정기를 보익하고 허약함을 보하는 기능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가 신경통, 유종(乳腫) 등에 쓰인다. 곤달비는 주로 시설하우스나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임간에서 재배되어 생산 단가가 높아 소비활성화를 위한 가공제품을 생산하기가 힘들다. 본 연구는 곤달비를 저비용 대량 생산을 위한 노지재배 생력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해발 500m)에서 곤달비 노지재배를 대상으로 이랑폭 90cm, 120cm, 180cm 3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생육특성, 수량성, 생리장해 등을 조사하였다. 2019년 4월 정식 후 활착률은 180cm 처리구에서 92.1%로 가장 높았고 120cm 처리에서 90.2%로 가장 낮았으며, 생존율 또한 180cm 처리구에서 87.2%로 가장 높았고 120cm 처리에서 84.4%로 가장 낮았다. 생육특성 결과 1차년도에는 초장, 엽장, 엽폭은 생육 초기부터 후기까지 90cm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엽수는 120cm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2차년에는 180cm 처리구에서 초장 61.2cm, 엽장 32.6cm, 엽폭 31.3cm, 엽수 12.7개/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좋은 생육상태를 보였다. 이랑폭별 수확량은 180cm에서 1,073.7kg/10a로 120cm 955.7kg/10a, 90cm 923.3/kg/10a 비해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생리장해는 2020년 3월 저온으로 인한 냉해를 출현 초기에 모든 처리구에서 받았다. 곤달비 노지재배 발생하는 병해충은 나비·나방류, 노린재류 3종류이며 그 중 점무늬병은 모든 처리구에서 30% 이상 피해가 나타났다.

  • PDF

Flora of Mt. Samyeong (Yanggu-gun, Gangwon-do) in DMZ Area of Korea (DMZ 접경지역 인근 사명산(양구군, 강원도) 일대의 식물상)

  • Kim, Sang Jun;Shin, Hyun Tak;An, Jong Bin;Yoon, Jung Won;Lee, Jun Woo;Jung, Su Young;Heo, Tae Im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0 no.2
    • /
    • pp.191-21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value of Mt. Samyeong.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10 times from October 2013 to July 2015 consisted of a total of 538 taxa; 92 families, 308genera, 466 species, 3 subspecies, 62 varieties and 7 forms. The observed rare plant species 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4 taxa. Endemic species were 25 taxa. 28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5.3% and 8.7%. Among the surveyed 538 taxa, edible, medicinal, pasturing, ornamental, timber, dye, fiber and industrial plants included 220 taxa, 195 taxa, 167 taxa, 65 taxa, 25 taxa, 8 taxa, 6 taxa and 3taxa, respectively.

A Study on the Flora Mt. Hyangro-Bong (향로봉지역(香爐峰地域)의 식물상(植物相) 연구(硏究))

  • Park, Wan-Geun;Yoo, Seok-In;Park, Kwang-Se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5 no.1
    • /
    • pp.44-64
    • /
    • 1999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Mt. Hyangro-Bong was 450 taxa belonging to 86 families, 254 genera, 393 species, 2 subspecies, 51 varieties, 4 formae.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Korean endemic plants (Carex okamotoi, Salix koriyanagi, Clematis chisanensis,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Viola diamantiaca, Sanguisorba hakusanensis, Vicia venosissima, Patrinia saniculaefolia, Hanabusaya asiatica, H. asiatica for. alba etc.) were 23 taxa; rare and endangered plants(Disporum ovale, Lilium distichum, Trillium kamtschaticum, Gastrodia elata. Clematis chisanensis, Rodgersia podophylla, Rosa marretii, Viola diamantiaca, Syringa wolfii, Hanabusaya asiatica etc.) were 17 taxa; naturalized plants(Dactylis glomerata. Poa pratensis, Rumex acetosella, Gypsophila oldhamiana, Lepidium apetalum, Oenothera odorata, Aster pilosus, Carduus crispus, Erigeron annuus, Taraxacum officinale etc.) were 14 taxa.

  • PDF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Mt. Cheongok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Byun, Jun-Gi;Shin, Jae-Kwon;Kim, Ju-Yeong;Choi, Seung-ho;Kim, Dong-Ka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6-46
    • /
    • 2018
  • 본 연구는 봉화군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청옥산 보호구역은 산림청에서 '희귀식물자생지' 유형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면적은 약 2,051ha에 달하며 주로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이 우점하고있다. 현지조사는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보호구역내 관속식물은 86과 258속 390종 4아종 54변종 6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가야물봉선, 처녀치마, 할미밀망, 키버들 등 1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주목, 백작약, 꼬리진달래 3분류군, 약관심종(LC)에 등칡, 도깨비부채, 정향나무, 말나리, 나도개감채 등 14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IV등급인 회리바람꽃, 가지괭이눈, 산겨릅나무, 귀박쥐나물 등 10분류군, III등급인 애기감둥사초, 중나리, 토현삼, 선갈퀴, 금강제비꽃, 노랑갈퀴, 분비나무 등 23분류군, II등급 32분류군, I등급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오리새, 털별꽃아재비, 왕포아풀, 주걱개망초, 지느러미엉겅퀴, 족제비싸리 등 18분류군이 임도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81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43분류군, 관상용식물 52분류군, 사료용식물 172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2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 PDF

Genetic and Morphological Relationship among Korean Hylotelephium Species(Crassulaceae) (한국산 꿩의비름속(돌나물과) 식물의 유전적, 형태적 유연관계)

  • Lee, Seung-Hoon;Park, Ki-Ry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6 no.4
    • /
    • pp.293-308
    • /
    • 2006
  • Genetic and morphological studies using morphological and isozymic data from 20 populations of 6 Korea Hylotelephium were conducted to resolve the species relationships and the origin of polyploid species.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studies suggest that triploid H. viviparum is closely related to H. verticillatum, and the high frequency alleles of two species were very similar each other in isozyme analyses. Unique fixation of $PGI-1^b$ in two species supports that H. verticillatum should be the diploid ancestor of H. viviparum. However, a unique $ALD-1^c$ allele is present in H. viviparum, and the lack of the common alleles of H. erythrostictum and H. spectabile in this species eliminated them from the candidates of another tetraploid ancestor of H. viviparum. Based on the high morphological and genetic similarities, our results supported that the Korea endemic H. viridescens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H. erythrostictum or share a common ancestor with it. Besides, H. ussuriense is closely related with H. erythrostictum and H. viridescens.

Floristic Inventory and I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gific Talus Slope in a Specific Area of Forest Biodiversity in South Korea (산림 생물다양성 특정지역 풍혈지의 식물목록 및 그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Jong-Won Lee;Ho-Geun Yun;Tae Young Hwang;Se-Hoon Jeong;Jong Bin 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4-44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 생물다양성 특정 지역인 풍혈지 25개소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식물 등의 현지내·외 보전 대책 수립과 풍혈지의 산림유전자원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풍혈의 바람이 나오는 핵심지역 10m 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각각 50m 범위에서 실시하였고, 2016년 4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수행하였다. 한국의 25개소 풍혈지의 관속식물상은 125과 486속 947종 23아종 75변종 7품종 총 1,05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면적은 최대 0.09km2로 우리나라 산림면적 62,860km2의 0.00014%에 불과하지만, 우리나라 관속식물의 4,724종 중에서 22.27%가 출현하였다. 이는 풍혈지역이 산림생물다양성의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특기할만한 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이 산작약, 으름난초 등 6분류군, 희귀식물과 적색목록은 월귤, 개병풍 등 67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과 고유종이 병꽃나무 등 5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개느삼 등 총 31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북방계식물은 토끼고사리 등 181분류군, 석회암지대 식물은 덕우기름나물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개망초, 달맞이꽃 등 7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 7.13%와 도시화율 12.12%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인 풍혈지 25개소의 식물지리학적 특정식물은 월귤, 흰인가목, 꽃개회나무, 각시괴불나무, 산솜방망이 등으로 파악되었다.

  • PDF

Investiga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연구)

  • Oh, Hyun-Kyung;Shin, Hyun-Tak;Beon, Mu-Sup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2
    • /
    • pp.117-127
    • /
    • 2008
  • The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appeared to be 369 taxa; 84 families, 217 genera, 319 species, 43 varieties and 7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2 taxa existed in the studied areas; Abies koreana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73), Paeonia obovata (No. 97)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2 families, 14 genera, 11 species, 3 varieties, 1 hybrid, 15 taxa existed; Cephalotaxus koreana, Abies koreana (Planted species), Carex okamotoi, Salix hallaisanensis, Salix purpurea var. japonica, Clematis trichotoma, Thalictrum actaefolium, Lespedeza ${\times}$ tomentella, Vicia nipponica, Stewartia koreana, Hypericum attenuatum var. confertissimum,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Planted specie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8 taxa; Paeonia obovata in class V , 13 taxa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Betula costata, Betula davurica, Ulmus davidiana, Spiraea frutschiana, Prunus maackii,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Cynanchum inamoenum, Lonicera subhispida, Cacalia firma, etc.) in class III , 5 taxa (Heloniopsis orientalis, Chrysosplenium pilosum, Acer triflorm,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Teucrium veronicoides, etc.) in Class II . 19 taxa (Dryopteris erythrosora, Arisaema ringens, Veratrum versicolor, Polygonatum inflatum, Salix glandulosa, Betula schmidtii,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Aconitum japuense, Dicentra spectabilis,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Impatiens noli-tangere, Ilex macropoda, Tilia amurensis, Fraxinus mandshurica, Trigonotis icumae, etc.)in class I .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5 families, 13 genera, 15 taxa (Rumex acetocella, Rumex obtusifolius, Trifolium repens, Oenothera odorata, Erigeron annuus, Erigeron philadelphicus, Bidens frondosa, Taraxacum officinal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4.1% of all 369 taxa vascular plants.

Flora Distributed in Mt. Geumgok, Gyeongju-si, Gyeongsangbuk-do (경상북도 경주시 금곡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You, Ju 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2
    • /
    • pp.248-27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plant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of Mt. Geumgok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453 taxa including 91 families, 298 genera, 397 species, 4 subspecies, 46 varieties and 6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3 taxa such as Eranthis byunsanensis B.Y.Sun, Potentilla discolor Bunge and Iris odaesanensis Y.N.Lee.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taxa such as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Eranthis byunsanensis B.Y.Sun, Philadelphus schrenkii Rupr., Lespedeza maritima Nakai, Vicia chosenensis Ohw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6 taxa such as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Salix chaenomeloides Kimura, Anemone raddeana Regel,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Euphorbia pekinensis Rupr., Ilex macropoda Miq., Ajuga multiflora Bunge, Saussurea odontolepis Sch.Bip. ex Herd, 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Betula davurica Pall.,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6 taxa such as Fallopia dumetorum (L.) Holub, Lepidium apetalum Willd., Robinia pseudoacacia L., Trifolium repens L., Euphorbia supina Raf., Ipomoea purpurea Roth, Veronica persica Poir., Bidens pilosa L., Carduus crispus L., Xanthium canadense Mill., Bromus unioloides H.B.K. and Festuca arundinacea Schreb..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The ratios of the urbanized index(UI), the naturalized index(NI) and the disturbed index(DI) were 11.2%, 7.9% and 18.2% 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