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트레드 컴파운드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와 고무 시멘트 계면의 점착과 접착 특성 (Interfacial Tacky and Adhesive Characteristics between Tire Tread Compounds and Rubber Cement)

  • 송요순;김건옥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399-404
    • /
    • 2018
  •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와 천연 및 합성 고무 접착제 종류에 따른 가황 전/후의 점착력과 접착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가황 전 점착력은 모든 트레드에서 천연고무 시멘트가 가장 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착력 감소도 천연고무 시멘트가 합성고무 시멘트보다 낮았다. 가황 전 점착력은 시멘트에 사용된 고무의 유리전이온도에 영향을 받았으며, 천연고무가 합성고무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착력 감소도 적었다. 가황 후 접착력은 천연고무 시멘트가 천연고무가 주성분인 트레드에 강하게 접착하지만 합성고무가 주성분인 트레드에는 약하게 접착했다. 반면 유화중합 SBR, 용액중합 SBR 시멘트는 모든 트레드 컴파운드에 강하게 접착하였고, 시멘트 고무의 가황 속도가 느릴수록 강한 접착력을 보였다.

가교제 증량이 트레드용 실리카 컴파운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al Properties of the Silica-Reinforced Tire Tread Compounds by the Increased Amount of Vulcanization Agents)

  • 서병호;김기현;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201-208
    • /
    • 2013
  • 본 연구는 황과 가교 촉진제의 함량이 달리 적용된 acrylonitrile styrene-butadiene rubber (AN-SBR)/silica 컴파운드가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교 반응성이 증대되어 가교속도 및 컴파운드의 가교도가 상승하였다. 또한 내마모 특성 뿐만 아니라 경도, 모듈러스와 같은 컴파운드의 기계적 특성은 높은 가교도에 기인하여 향상되었다. 동적 점탄 특성에서는 가교도의 증가와 함께 유리전이온도 ($T_g$)가 상승하여 $0^{\circ}C$ 영역에서의 tan ${\delta}$ 값이 향상되었고, $60^{\circ}C$ 영역에서의 tan ${\delta}$ 값이 감소되었다. 초기 가교 속도 ($t_1$)는 $60^{\circ}C$의 tan ${\delta}$ 값과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가교제의 증량으로 초기 가교 속도 ($t_1$)가 빨라져 조기에 가교가 시작됨으로써 filler network 의 발달을 억제시킨 결과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AFM (atomic force microscopy)을 통하여 열처리된 컴파운드의 표면 관찰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빠른 초기 가황 반응에 기인한 실리카의 re-agglomeration 감소는 $60^{\circ}C$에서의 tan ${\delta}$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자기-아핀 표면 특성을 고려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 마찰 이론 및 타이어 트레드/노면 마찰 응용 (Sliding Friction of Elastomer Composites in Contact with Rough Self-affine Surfaces: Theory and Application)

  • 윤범용;장윤진;김백환;서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41-153
    • /
    • 2023
  • 본 리뷰 논문에서는 일반 접촉 역학 이론과 더불어 유기탄성체 마찰에 관한 이론 및 배경을 소개한다. 특히 Greenwood & Williamson 접촉 역학 이론을 확장하여 거친 표면을 자기-아핀(self-affine) 특성으로 고려한 접촉 역학 및 마찰의 수학적 모델을 제시한 Klüppel & Heinrich 이론을 중심으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의 마찰 거동에 대해 살펴본다. 자기-아핀 특성에 의한 노면의 멀티스케일 거칠기로 인해 미끄러짐 마찰 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는 다양한 주파수에 따른 동적 변형이 가해지며 이때 재료가 나타내는 점탄성이 마찰 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의 비선형 점탄성을 고려하여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점탄성 거동인 마스터커브를 구축하는 원리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 마찰 이론을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와 노면 간의 마찰에 응용한 실험적 결과와 그 물리적 의미를 이론과 접목하여 설명하였다.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 구조에 따른 배합고무 물성 변화 (Change of Physical Property of Rubber Compound by Terpene Modified Phenolic Resin Structure)

  • 김건옥;김도형;송요순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310-316
    • /
    • 2020
  •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는 타이어의 주행 안전성과 관련 있는 웨트 트랙션과 연비와 관련된 구름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시험은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의 기본 구조가 각각 알파 피넨, 베타 피넨, 델타 리모넨으로 달리한 수지를 타이어 트레드 배합물에 첨가하여 알킬 페놀 수지의 배합물과 물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알킬 페놀 수지는 웨트 트랙션과 관련 있는 0 ℃에서 탄젠트 델타가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와 큰 차이가 없지만 구름저항과 관련 있는 80℃에서 탄젠트 델타가 높게 나타나 연비 개선 효과가 적었다.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 중 베타 피넨은 웨트 트랙션과 연비 개선 효과가 다른 수지에 비해 고르게 나타났으며, 델타 리모넨 수지는 웨트 트랙션 개선효과가 가장 좋았고, 인장강도 및 마모 성능은 알킬 페놀 수지가 비교적 높게 나왔다. 모든 테르펜 개질 수지는 구름저항에서 알킬 페놀수지보다 우수하여 연비 개선효과 좋다고 할 수 있으며, 블랭크에 비해 다른 특성도 나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이 시험에서 사용된 페놀 수지의 특성을 참고하여 타이어 컴파운드를 배합할 때 개질된 테르펜 페놀 수지를 선택하면 웨트 트랙션, 구름저항 등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컴파운드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