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전자투표 프로토콜이 다수 제안되었으나, 선거관리자의 부정 투표, 부정 개표를 투표자 입장에서 막거나 예방할 수 있는 장치들이 부족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단순히 가정(assumption)으로 단정한 후 설계된 프로토콜들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 큰 어려움이 따른다. 어떤 시스템이든 실질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가정에 근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비현실적인 가정에 의존하지 않고 투표서버와 개표서버의 부정행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 기존 암호 라이브러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국내 PKI와의 연동이 쉬워 "주민투표제"와 전자정부 성격에 부합되는 시스템이다. ElGamal암호 알고리즘, Schnorr 은닉암호와 같이 연산량을 많이 요구하고 암호문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아 계산적으로도 효율적이며, 투표자가 개표결과에 자신의 투표 내용이 올바르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안전한 전자투표 시스템이다.자투표 시스템이다.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v.2
no.2
/
pp.209-218
/
1997
본 논문에서는 보안 기반의 전자 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기존의 전자 투표시스템은 유권자 인증과 투표내용의 암호화 전송을 하지 않는 단순한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조사에 불과하여 조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변조나 위조의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이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과 WWW(World Wide Web) 환경에서 공개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투표내용의 암호화 전소와 시스템보안에 역점을 둔 전자 투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같은 전자투표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건 근대적 투표방식에 의한 투표율저조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표에 따른 시간적 , 경제적, 인적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1997.11a
/
pp.195-209
/
1997
본 논문에서는 보안 기반의 전자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전자 투표 시스템은 유권자인증과 투표 내용의 암호화 전송을 하지 않는 단순한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 조사에 불과하여 조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변조나 위조의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이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과 WWW(World Wide Web) 환경에서 공개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투표 내용의 암호화 전송과 시스템 보안에 역점을 둔 전자 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같은 전자 투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전 근대적 투표 방식에 의한 투표율 저조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표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인적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v.10
no.4
/
pp.21-32
/
2000
We have seen a lot of developments on computer application areas with the wide spread use of computers and the rapid growth of communication network. It is necessary to use a cryptographic technique for electronic voting, but, at present, despite of its importance electronic voting protocols so far have many shortcomings. In this paper, with the assumption of a trustable voting centers we propose a large-scale and practical electronic voting protocol satisfying protocol requirements, such as secureness, fairness, privacy of voter and correctness. Voters are able to get a vote without revealing their voted information by using the blinding technique. We can find the injustice between a voter and the tallier by using undeniable challenge and responsible protocol. Also, we proposes a secure protocol that compensates a integrity of electronic voting and protects a privacy of voter from outer attacks as using a anonymity of voter.
블록체인은 분산 원장 기술 중 하나로 여러 개의 노드들이 참여하며, 이 노드들 간의 합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데이터의 위 변조를 막고,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바꿀 수 없는 구조를 장점으로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블록체인은 신뢰성이 중요시되는 플랫폼에 많이 적용이 되며 많은 플랫폼 중 전자투표의 중요한 기술로서 인식되고 있다. 전자투표는 선거의 모든 과정을 전자화 하여 선거를 관리하는 사람이나 투표자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기술적인 보안성이나 시스템의 안정성이 완벽하게 보장되지 않아 유권자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해 현실에서 쉽게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투표의 변조를 막고 유권자들의 신뢰와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전자투표 시스템을 제안한다.
Nowadays various public data have been serviced to the public. Through the opening of public data, the transparency and effectiveness of public policy developed by governments are increased and users can lead to the growth of industry related to public data. Since end-users of using public data are citizens, it is very important for everyone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public data using proper visualization techniques. In this work, to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widespread public data, we consider UN voting record as public data in which many people may be interested. In general, it has high utilization value by diplomatic and educational purposes, and is available in public. If we use proper data mining and visualization algorithms, we can get an insight regarding the voting patterns of UN members. To visualiz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voting similarity values among UN members and then a social graph is created by the similarity values. Next, using a graph layout algorithm, the social graph is rendered on the screen. If we use the existing method for visualizing the social graph,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ocial graph because the graph is usually dense. To improve the weak point of the existing social graph visualization, we propose Friend-Matching, Friend-Rival Matching, and Bubble Heap algorithms in this paper. We also validate that our proposed algorithms can improve the quality of visualizing social graphs displayed by the existing method. Finally, our prototype system has been released in http://datalab.kunsan.ac.kr/politiz/un/. Please, see if it is useful in the aspect of public data utilization.
지금 세계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전자투표에 관심이 높다.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보안기술로, '알고리즘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가상화폐는 물론 선거 같은 사회 시스템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대체 블록체인이 무엇이기메 이처럼 여러 방면에 쓰이는 걸까?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22
no.5
/
pp.394-402
/
2021
Electronic voting systems have been widely us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ince the mid-1990s.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applied blockchain to existing electronic voting systems in order to provide reliability, fairness, and transparency for voters. This approach is highly useful as a technology that promotes decentralized citizen participation. However, the existing electronic voting systems using blockchain hav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anonymity. Lack of anonymity acts as an important constraint in cases of small- and medium-sized voting, which is often required in decentralized citizen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provides anonymity to a voting system using blockchain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master node in Dash cryptocurrency. First, we define the differences in the requirements of the transfer and voting systems in blockchain. We propose a parallel and autonomous model and algorithm to provide anonymity in the blockchain-that is, a decentralized development environment. In addition, a discussion of security and the environment for the proposed model is described.
Blockchain technology prevents tampering of central authorities that manage voting process, enhancing trust in the vote results. This technology enables citizens to participate more directly in the areas where delegation was inevitable due to the difficulties in polling fair and trustworthy public opinions. There are many projects around the world proposing to implement voting system for public decision making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e blockchain voting system is expected to work as a transparent and fair channel for polling public opinions, which will transform the public decision-making process and governance. Korean National Pension Service (NPS) recently introduced stewardship code to better represent the interest of beneficiaries. However, because of the mistrust in governance of NPS, introduction of stewardship code is facing criticism for potential misuse of their voting rights against the interest of beneficiaries and for government's interference with corporate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a voting system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polling the opinions of National Pension Fund's beneficiaries to support public decision-making, and discusses soci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system.
본 연구에서는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중 투표 방법을 이용하여 개체명 인식 모델을 앙상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 모델은 Conditional Random Fields의 변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학습하고, 모델들의 가중치는 다목적 함수 최적화 기법인 NSGA-II 알고리즘으로 학습한다. 실험 결과 제안 시스템은 $F_1Score$ 기준으로 87.62%의 성능을 보여, 단독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방법보다 2.15%p 성능이 향상되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