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자정책

Search Result 1,9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and Korea's Social Problem Solving Innovation Policy: a Case Study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정책 - '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 사례 분석 -)

  • Song, Wichin;Seong, Jie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7 no.4
    • /
    • pp.85-110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To this end, we analyzed the 'second science and technology-based social problem solving plan' in terms of civil society's participation, securing the government's dynamic capabilities, and government's risk investments. The plan introduces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civic participation for social problem-solving innovation, strengthening R&D program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and new innovation ecosystem formation.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concrete program to overcome a path dependency of existing activities. Otherwise new institutions are likely to be formalized. In addition, in order to derive risk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innovation policy with social policy fields such as community care and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policy process that combines the agenda of social policy beyond with R & D policy, and to forms a platform for problem solving, integrates various technologies, industries and resources.

역사적으로 본 군사강국들의 국방과학기술 정책 (3)

  • Kim, Chung-Ye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254
    • /
    • pp.44-53
    • /
    • 2000
  • 미국은 자유민주공화정치 체제하에서 과학자들이 자유로이 연구하고 그 연구결과로 이익을 추구할 수 있어서 민간인 연구가 활발하였다. 여기에 미국 정부는 군사적 필요에 의해 군사과학에 투자하여 여기서 얻은 기술을 민간산업으로 확산하였다. 미국은 첨단과학기술이 유럽, 일본 그리고 러시아에 도전 받을 때마다 즉각 정부에서 연구소의 전문가와 대학교 교수들의 자문을 받아서 대응책을 마련하여 교육과 연구분야에 집중투자해 뒤진 분야를 추격하고 있다. 민간인의 자율연구와 정부의 지원연구가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 미국의 과학기술 정책이다.

  • PDF

방위산업의 필요성과 육성과제

  • Chu, Ho-Se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227
    • /
    • pp.60-67
    • /
    • 1998
  • 과감한 국방과학기술 연구비의 투자증가, 방산시설 유휴화 대책 마련, 업체주도 연구개발의 권장, 방산물자의 수출 지향적 정책 추진, 첨단무기 개발정책의 선행, 그리고 정부와 방산업체간의 지속적인 정책논의를 통한 방위산업 육성 정책을 정부 차원에서 강력히 시행해야 한다.

  • PDF

엔젤투자자의 위험 회피 성향이 투자 행동 및 관심에 미치는영향

  • 조수연;임한규;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85-89
    • /
    • 2023
  • 최근 급변하는 세계 경제 환경에서 창업기업은 혁신, 고용 및 경제 활력의 핵심 동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초기 창업 기업이 성장하는 여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이 과정에서 엔젤투자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초기 창업 시장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엔젤투자자는 필요한 자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영 노하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창업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신생 기업 중 엔젤 투자의 혜택을 받는 기업은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창업기업의 잠재력과 지원 사이에는 분명한 공백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 창업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인 엔젤투자자의 위험회피 성향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투자 행동,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위험회피가 엔젤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엔젤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에 대한 관심도와 실제 투자 활동 간의 관계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엔젤투자자의 행동과 관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여 진행한다. 연구 표본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일반 성인과 엔젤투자자로 설문조사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연구는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 결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Policy for International Co-Production Investment Policy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공동제작투자 활용을 위한 정책연구)

  • Hwang, Kil-Nam;Kim, Jae-Woo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26
    • /
    • pp.157-172
    • /
    • 2012
  •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domestic image content market, entering the global market is inevitable and expanding our market volume in foreign market as in domestic marke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future of Korea image content industry. Suggestions and discussions on policy for investments on domestic image content should be carried out to resolve such situation. Specially, the reason why cooperative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in dire need is beca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support measures of central government is unsatisfactory and local government is not adequate enough to respond to the global environment because investment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cultural content is insufficient. This paper intends to study cases of policy promoted by domestic local government and support cases of foreign countries when domestic image content industry is expanding into the global market, and to search for solutions from integrated functional perspective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or international co-production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political connection in terms of central government strengthening assistance policy on dispersed policy of local government who operates 11 cultural industry promotion districts throughout the country. First,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ed international co-production by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investment(fund).

국내 항만배후단지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 심민섭;하도연;김율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55-56
    • /
    • 2023
  •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과 인접한 배후공간으로 항만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국내 항만배후단지는 단순한 항만물류지원기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인프라 시설, 정책 및 지원, 투자 미흡 등으로 인하여 항만배후단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항만배후단지 업체별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DEA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항만배후단지의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DEA 분석결과 창고업의 경우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의 경우 인천항 북항, 울산항 1공구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규모별 생산성의 경우 광양항 서측, 평택당진항 1단계 항만배후단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투자규모별 생산성은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동생산성은 인천항 북항, 부산항 웅동 항만배후단지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 시 취급품목이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외국인 투자규모, 시설 투자규모, 종업원 수가 항만배후단지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n Foreign-invested Firms in the SEZ (경제특구 입주 외국인투자기업의 성과 분석)

  • Choi, Yong-Seok;Song, Yeongkwa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7 no.sup
    • /
    • pp.87-121
    • /
    • 2015
  • To attract more FDI inflows,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ated several special economic zones (SEZs), offering various advantages and support to the FDI. There is, however, a shared acknowledgement that those efforts have gained little reward. In this regard,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company-level performances of labor productivity, operating profit ratio, propensity to invest and innovate, etc. and then conducts regression analysis and PSM analysis to see whether these performances are meaningfully different between foreign-invested firm and domestic firm and between foreign-invested firm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s of labor productivity and operating profit ratio, no empirical evidence was found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foreign-invested firm outperforms domestic firm in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Second, in the aspects of propensity to invest, foreign-invested firms in foreign investment zones outperformed domestic firms. Third, in the aspect of R&D investment, overall, foreign-invested firms showed a stronger propensity to invest than domestic firms, bu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high propensity to invest was driven by the policy on special economic zones. In the aspect of investment in educational training, empirical evidences were found that the role of foreign-invested firms outside the special zones turned out to be the strongest and that among firms inside special zones, it was those in the free economic zone that outperformed domestic firms. Lastly, foreign-invested firms showed a stronger propensity to employ than domestic firms, bu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high propensity to employ was driven by the policy on special economic zones.

  • PDF

A Proposal of Alternative Financial Supporting Policy on IT-related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IT분야 중소기업 금융지원방식에 대한 정책 제언)

  • Khoe, Kyung-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279-287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several alternativ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ing policy on IT-relate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irst, this paper considers reforming factors relating to current financial supporting policy and studies foreign government supporting loan programs through benchmarking so as to derive alternative financing supporting policy. Secondly, this paper analyses several investment supporting policies on IT-relate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inally, new Korea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ing policy on IT-relate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is collectively diagnosed by putting comprehensive analyses together in this paper.

정책자금정보 - 2014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안내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49
    • /
    • pp.65-72
    • /
    • 2014
  • 중소기업청이 '2014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정책자금 예산규모는 3조 8200억 원으로, 지난해의 예산규모(3조 8500억 원) 대비 소폭 줄었다. 중소기업의 투자촉진을 위한 시설투자 자금인 신성장자금이 전년 대비 2000억 원 확대된 8350억 원이 배정됐다. 청년창업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전용자금과 재기 중소기업인을 위한 재창업자금 규모도 각각 1500억 원, 5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0억 원, 100억 원 늘었다. 일자리 창출기업에 대한 우대금리도 확대했다. 기존에는 지원업체 중 추가 고용 1인당 0.1%포인트씩 최대 1.0%포인트 금리를 인하했지만, 올해는 금리 인하 한도를 2.0%포인트까지 늘렸다. 10명 이상 고용을 창출한 기업은 개별기업 융자한도(45억원)에 예외를 적용해 70억 원까지 대출 가능하다. 창업촉진을 위해 창업자금 지원기업의 업력을 기존 5년에서 7년으로 확대하고, 청년전용 창업자금의 대출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다. 창업자금의 가산금리 조건부 연대보증 면제 대상 조건도 기존 기업평가등급 4등급 이상에서 5등급 이상으로 완화했다. 또한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구축을 위해 기술 사업성 우수기업의 장기 시설투자지원 전용자금을 신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기업평가 우수기업에게 만기 15년 이내의 장기대출을 지원한다. 글로벌 성장사다리 선정기업에 대해서는 수출금융지원자금 대출 한도를 기존 10억 원에서 30억 원까지 확대한다. 이밖에도 소상공인을 위한 소공인특화자금의 시설자금 대출기간을 5년에서 8년으로 연장하고, 유턴기업의 사업장 신 증설 등을 위한 융자금을 최대 70억원까지 지원한다. 중기청 소관 R&D사업 성공기업을 위한 전용자금을 500억원 규모로 운용해 R&D 기업의 성공률을 제고하기로 했다. 올해 정책자금 금리는 민간 금융권의 저금리 기조를 고려, 1분기 정책자금 기준금리를 전 분기(3.57%) 보다 낮은 3.29%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중소기업인들이 정책자금 신청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지적에 따라, 올해부터 매월 1일부터 20일까지 중진공 홈페이지(www.sbc.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받기로 했다. 제3자의 도움 없이도 손쉽게 자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신청서류를 간소화하고, 중진공 각 지역본(지부)에 융자신청 도우미를 배치할 방침이다.

  • PDF

An Estimation on Development Capacity under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ies: A Case of Maryland in the U.S. (도시성장관리정책 하에서의 개발용량 추정과 정책적 함의: 미국 매릴랜드 주를 사례로)

  • Sohn, Jung-Yul;Knaap, Gerrit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1
    • /
    • pp.52-70
    • /
    • 2008
  • Using MD Property View database on 15 counties in Maryland in the U.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stimation process on the housing development capacity under the Maryland's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known as the Smart Growth Initiatives. This study also seeks to draw the implications of the estimated development capacity by individual counties o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The finding shows that this region has land for residential use enough to accommodate growth for the next 30 years. However, contrary to the goal of the Smart Growth Initiatives, a majority of development capacity is located not only outside the Priority Funding Area designated by the Smart Growth Initiatives but also at counties that are located far away from the major metropolitan area. In addressing this problem, the state does not need to either abolish or immediately expand the Priority Funding Area. Rather, the state requires local governments to include housing elements in their comprehensive planning, to provide periodic estimates on housing and employment capacity, and to establish and manage database on the location and the capacity of developable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