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자성과평가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83 seconds

주식을 과연 투자대상으로 고려해도 좋은가?

  • Park, Jeon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145-161
    • /
    • 2003
  • 본 연구는 1980년부터 1999년까지 20년간 주식을 비롯하여 회사채, 국채, 정기예금, 그리고 부동산의 투자성과를 먼저 포트포리오 선택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분산 기준, 기하평균수익률 기준, 그리고 안전제일기준으로 각 투자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첫째, 평균-분산 기준에 따른 투자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주식의 연평균수익률이 18.6%로 가장 높았으나 위험이 35.7%로 수익률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다. 위험 한 단위당 수익률을 평가했을 때에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한 투자대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채와 국채가 그 다음이었다. 주식은 가장 열등한 성과를 보였다. 둘째, 기하평균수익률에 의해 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는 회사채와 국채의 수익률이 15.4%와 14.4%로 주식의 수익률, 13.6%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주식을 규모별로 나누어 수익률을 측정했을 때 소형주의 기하평균수익률이 25.3%가 되어 다른 투자대상의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정기예금의 기하평균수익률(10.5%)은 주식보다 낮았고 부동산(7.5%)이 가장 열등하였다. 셋째, Roy의 기준으로 투자자산의 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도 회사채와 국채가 각각 1위와 2위를 보였고 정기예금이 3위를 나타냈다. 주식은 정기예금보다 못한 4위에 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기준에 의한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회사채와 국채가 가장 뛰어난 투자대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정기예금이 그 다음으로 투자성과가 좋았고 주식은 정기예금보다도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먼저 Sharp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Cas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IT Investment Performance (IT 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의 상관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Lee, Jae-Beom;Hong, Yu-Jin;Chang, Yun-Hi;Kim,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83-692
    • /
    • 2006
  • IT투자 성과의 정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학계와 연구단체에서 IT투자 성과의 화폐가치 전환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다양한 측정방법들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기법을 활용하여 IT투자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IT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 기법을 도입한 기업의 실무자들은 화폐가치로 전환되어 도출된 결과들이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IT가 제공하는 실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여 평가되었는지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IT투자 성과의 정량적 평가 결과를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 IT투자 성과의 정성적인 평가로 입증된 사용자 만족도로써 설명이 가능한지를 사례 기업의 정량적 평가결과와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화 효과금액은 사용자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합리적인 정보화효과금액의 도출을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시스템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화폐전환데이터의 관리가 중요하다. 셋째, IT ROI는 시스템간의 성과를 비교하는 것에는 부적절하며 개별시스템의 성과 및 효율성 측정 기준으로 사용한다. 넷째, 정량적 평가가 여전히 시스템의 전략적인 부분 등에 대한 평가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만족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 PDF

한국벤처캐피탈 투자평가모형의 타당성 분석

  • 나중덕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 no.2
    • /
    • pp.115-129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의 벤처캐피탈회사들이 투자안이 투자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평가모형이 실제의 성과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갖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두가지 투자모형을 도출하여 그 내용을 비교하였다. 실제심사모형(Current Evaluation Model)은 심사과정을 거친 168개 투자안을 coxorehlse 그룹과 기각된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판별분석을 통해 투자여부에 영향을 미친 평가요인의 우선순위를 규명하여 도출하였다. 한편, 성과모형(Performance-based model)은 앞 모형에서 채택된 투자안을 다시 성공과 실패의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를 종속변수로 한 판별분석을 통해 성과에 대한 평가요인의 영향도를 파악하여 개발하였다. 이 두 모형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벤쳐캐피탈이 적용하는 투자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등 선진국과 달리 다양한 투자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투자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현 평가 모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 with Reference to BTO (Build-Transfer-Operate) Road Projects - (민간투자사업 성과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 - 도로 부문 사업을 중심으로 -)

  • Park, Hyeon;Park, Inseok;Lee, Sh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2
    • /
    • pp.83-95
    • /
    • 201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 important traits that are unique to PPP projects. To this end, 1) it defines a set of distinct perspectives involved in the PPP projects and their associated success factors that might differ amongst the perspectives; 2) it identifies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sugges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indicator; and 3) it builds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y matching the success factors from each perspective with performance measure criteria as well as applies the model to the two selected BTO road projects in Korea. The process of model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confirm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in stakeholder perspectives typically involved in PPP projects,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an evaluation model tailored for PPP projec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stinct perspectives. The results from the PPP evaluation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is compared against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ex-post evaluation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general. The former shows a closer match with the results from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This new evaluation framework and the performance indicators entailed in it permits a balanced evaluation of PPP projects as it takes into account different perspectives involved in PPP projects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PPP projects. Whi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l is based on transport projects, it is applicable to different types of PPP projects through variation with the weight allocation amongst different success factors and/or additions or other adjustments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as required.

A Study on the IT Investment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IT 투자성과평가 모델 적용방안에 대한 고찰)

  • Jeong, Sun-Ho;Son, Yoon-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584-585
    • /
    • 2008
  • 기업은 구성원의 업무능률 향상과 가치 증대 등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IT 투자를 꾸준히 늘리고 있지만 이를 통해 실제기업의 조직 및 구성원의 성과향상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경영에서 점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IT에 대한 투자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IT-ROI 모델을 이용하여 투자 성과평가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Information Efficiency Measurement (정보화 효율성 측정을 위한 성과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유은숙;정기원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9 no.2
    • /
    • pp.33-50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evaluation model which is included in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ology for evaluation processes of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budget investment and improving conformance of ROI(Return On Investment). That is, the right efficiency targets of information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project to GDOC (Government electronic Document Distribution Center), and KPls(Key Performance Indexes) which enable to evaluate objectively effectiveness in the preliminary and post evaluation phases are developed, and then the results were come out by practical investigation study using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ology.

  • PDF

ITROI Case O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해양수산부 IT투자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

  • Kang, Jea-Hwa;Lee, Mun-Gy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91-96
    • /
    • 2006
  • 최근 몇 년 사이 정부 내의 정보화 사업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정부시절 약 2,400억 규모의 정보화 예산이 참여정부에서는 약 9500억으로 증가한 사실이 이를 반증하는 증거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에 비하여,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진행되는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성과관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현실이다. 오히려 성과관리라는 것이 사업의 추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의 부재는 장기적으로 조직의 전략목표와 정보서비스와의 GAP을 심화시켰고, 결과적으로 막대학 IT 투자 전체에 대한 회의감만을 대두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2006년 IT최대의 화두인 IT거버넌스 개념 역시 IT와 비즈니스의 GAP을 줄여 IT 서비스가 조직의 목표와 전략을 올바르게 지원하도록 IT운영을 하자는 것이 핵심사상이다. 이러한 IT거버넌스 실현의 중심에 IT 투자성과관리체계가 있다. 해양수산부는 IT투자성과관리체계구축을 통하여 정보화사업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각 단계별 이력관리를 통해 매년 사업 담당자가 바뀌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사업에 대한 평가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사업계획, 시행, 종료 단계에서 과학적인 정보화 사업의 투자성과평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IT투자성과관리체계는 기 구축된 ITA, ITAMS, IT자산관리체계와 연동하여 해양수산부 IT거버넌스 실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n the Apartment Investment Performance (지역별 아파트 투자성과에 관한 분석)

  • Kang, Won-Chul;Kim, Wo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2
    • /
    • pp.431-43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artment investment performance including the risk and to ver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n the apartment investment performance by dividing it into long and short-term basis. Data collection period is 10 years from 2002 to 2012 and target area includes Gangnam and Gangbuk (southern and northern area of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For evaluating the investment performance, this study used the earning rate of 5 year 1st class national housing bond as the risk-free rate of return and 1~2 year interest rate of fixed deposit for calculating lease profi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reynor's Index was used in long investment performance evaluation because of regional characters non-existing in Seoul and Incheon whereas Jensen's Index was used in evaluating because of regional characters existing in 5 metropolitan cities. And Jensen's Index was used in short-term evaluation of all districts as existing regional characters in all districts. Short-term performanc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yielded different results of simple evaluation. Therefore, in case of simple rate of retur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he recognition of that can be distorted.

The Analysis on Evaluation Model for Efficiency of GDOC (정부문서유통시스템의 효율성 측면에 대한 성과평가모델 분석)

  • 유은숙;도경화;정기원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1
    • /
    • pp.111-121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s of evaluating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informatization budget investment for e-Government, through the preliminary evaluation. the progress evaluation and the Post evaluation of the investment,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which improves conformance of IT ROI (Return On Investment) using the evaluation results. the right evaluation targets of informatization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project to GDOC(Government electronic Document Distribution Center), and KPIs(Key Performance Indexes) which is enable to evaluate objectively effectiveness in the preliminary and the post evaluation phases are developed, and according to using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 improved effectiveness evaluation results for each index in the point of view of usage and innovation are come out.

  • PDF

개인정보보호 투자 성과측정 방안 선정에 관한 연구

  • Park, Dae-Ha;Lee, Jae-Hoon
    • Review of KIISC
    • /
    • v.22 no.6
    • /
    • pp.15-21
    • /
    • 2012
  • 정보기술(IT) 인프라가 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으면서 기업은 고객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서비스 및 재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의존도 및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더불어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투자 요구도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조직은 개인정보의 보호에 대한 측정 및 평가 방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정보보호 투자의 성과측정 방법 및 IT 성과측정 방법의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개인정보보호 투자에 따른 성과측정에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 경제효율성평가(WiBe) 프레임워크를 선정하고, 그 타당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