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자모델

Search Result 82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R&D on Business Performance; Comparative Study by Empirical Analysis of SMEs and Venture Enterprises of Electronics & Electricity Industry (R&D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기$\cdot$전자산업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비교)

  • 김정환;이부형;유왕진;이철규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8a
    • /
    • pp.168-188
    • /
    • 2005
  • 본 연구는 R&D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기$\cdot$전자산업에 속한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패널 데이터 (2001$\~$2003년)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고,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비교분석하였다. 실증분석 모델은 기업의 총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고, R&D 투자액, 연구원 수, 자본금 총액, 종업원 수, 연구원 수를 제외한 종업원 수를 독립변수로 한 1차 선형함수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모델로는 패널분석 (임의효과모델, Random Effect Model)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공통점은 첫째, R&D 인력과 그것을 제외한 종업원수가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이 긍정적이라는 점 둘째, R&D 투자액 및 자본금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증분석 곁과의 차이점은 첫째, 중소기업의 경우 연구소 설립 연수와 기업 설립 연수가 기업의 경영성과와 무상관으로 나타났으나, 벤처기업의 경우 추정결과 1을 제외하면 모두 긍정적이고 유효했으며 둘째, 중소기업의 경우 자산효과와 자본금 효과가 긍정적이고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벤처기업은 자산효과가 유효한 부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은 인적자원의 확보, 육성, 활용 등의 전락에 의해 기업 경영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고,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의 경우 자산의 팽창보다는 시장 경쟁력 향상을 위한 R&D투자에 좀 더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Investment Decision Making Criterion based on Crowd Funding (크라우드펀딩의 투자의사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 Lee, Eui-Bang;Lee, Jae-Beom;Yang, Chang-Gyu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6 no.2
    • /
    • pp.25-41
    • /
    • 2014
  • While previous studies on Crowd funding mainly focused on the plan and policy of the introduction of Crowd funding, this study classified Investment Decision Making criterion and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each factor, leading to results that can help investors practic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1) physical resource in business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to be considered as the way for investor to objectively make decisions on business model, (2) although people pay attention to the managerial capabilities of business, the creativity of business model is not being paid much at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objectively determine investment decision making on business model thought a quantitative standard of judgment. Moreover, an environment should be built for healthy decision making which is based on business model instead of only product, and it is necessary to have institutional framework to enable new companies to have healthy competition with existing companies through creative business model.

Price Prediction of Fractional Investment Products Using LSTM Algorithm: Focusing on Musicow (LSTM 모델을 이용한 조각투자 상품의 가격 예측: 뮤직카우를 중심으로)

  • Jung, Hyunjo;Lee, Jaehwan;Suh, Jihae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4
    • /
    • pp.81-94
    • /
    • 2022
  • Real estate and artworks were considered challenging investment targets for individual investor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high average transaction price despite their long investment history. Recently, the so-called fractional investment, generally known as investing in a share of the ownership right for real-life assets, etc., and most investors perceive that they actually own a piece (fraction) of the ownership right through their investments, is gaining popularity. Founded in 2016, Musicow started the first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invest in copyright fees related to music distribution. Using the LSTM algorithm, one of the deep learning algorithms, this research predict the price of right to participate in copyright fees traded in Musicow. In addition to variables related to claims such as transfer price, transaction volume of claims, and copyright fees, comprehensive indicators indicating the market conditions for music copyright fees participation, exchange rates reflecting economic conditions, KTB interest rates, and Korea Composite Stock Index were also used as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STM algorithm accurately predicts the transaction price even in the case of fractional investment which has a relatively low transaction volume.

Manufacturing Progress with Embodied Technological Change

  • Shin, Dong-Wook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 no.1
    • /
    • pp.84-99
    • /
    • 1993
  • 오래도록 생산성향상곡선 (또는 학습곡선), 생산함수, 그리고 대체곡선 등은, 서로 관련이 없는 별개의, 그리고 순전히 경험적인 (empirical) 현상들인 것들로서 이해되어 왔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발표된 Muth 교수의 탐색이론 (Search Theory)의 생산성향상곡선에서 관찰된 제반현상들을 모두 설명함으로써 이들 현상은 하나의 통합이론체계에 의하여 일관되게 설명되게 되었다. 이 이론의 초기형태는 그 보편성을 구속하는 네 가지 가설 위에 설립되었었으나 점차적으로 이들 가설들이 완화되면서 (relaxed) 이 이론은 또한 해독 력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성에 있어서도 계속 강화되어 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들 네 가지 가설들 중 유일하게 아직 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제 현상과 다분히 유리된, 두 번째 가설, 즉$\ulcorner$생산성향상을 위한 탐색과정에서 새로이 발견된 개량 신기술 (또는 생산방식) 은 즉각적으로 채택될 것$\lrcorner$이라는 가설을 완화함으로써, 보다 현실에 대한 해석력과 일반성 면에서 개선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시된 모델은 Muth 교수의 탐색이론모델에 두가지 변수를 더함으로써 확장하여 만든 모델이다. 이 두 변수는 신기술의 채택 (또는 획득)을 위하여 지불하여야 하는 투자비변수와 탐색과정을 통하여 발견은 되었으나 아직 채택은 되지 않은, 유보상태 신기술의 운영비용 변수(또는 수익성변수)등이다. 이 모델의 내용은, 생산성향상은 신기술이 구현된 (embodied) 장비 (equipment)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며, 따라서 창의적 활동의 이득은 이들 장비에 대한 투자행위로서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 모델은 보다 나은 신기술이 또 발견될 것이라는 기대 하에, 현재 발견된 최신기술을 채택하지 않는 투자지연현상을 예측.설명해 주며 따라서 이로 인한 기술적 비효율성의 존재이유를 제시한다. 또한 이 모델은 생산성 향상곡선의 초기굴곡현상, 정체현상, 그리고 도약현상 등을 모두 설명해 준다.

  • PDF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and Implications of Korean Logistics Companies into Vietnam -The Case of Northern Vietnam- (국내 물류기업의 베트남 진출 비즈니스 모델과 시사점 - 베트남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 Chung, Tae-W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5 no.4
    • /
    • pp.17-30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business models of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in Hanoi and Hai Phong, Vietnam, and suggests implications. We introduced business models (coastal shipping, distribution center and ICD transportation, cold chain, border crossing, port development, etc.) that provide logistics services through cooperation with existing logistics companies (shippers, logistics companies, local companies, etc.). If we propose a partnership plan in the short and medium term, short-term projects include warehouse, ICD, trucking business, and it is feasible to not only collaborate with Korean companies that have already entered the market, but to also invest in joint ventures with local companies (up to 51% of local companies). In the long term, we can consider coastal transportation, cross-border transportation, trucking, and investment in new deep sea ports. All of these businesses require local partnerships, so local companies require a 51% stake.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sm Model for Determining an Optimal Capital Structure of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s (민간투자사업의 최적 자본구조 결정을 위한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 모델에 관한 연구)

  • Yun, Sungmin;Han, Seung Heon;Kim, Du Y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D
    • /
    • pp.107-117
    • /
    • 2008
  • Private financing is playing an increasing role in public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worldwide. However, private investors/operators are exposed to the financial risk of low profitability due to the inaccurate estimation of facility demand, operation income, maintenance costs, etc. From the operator's perspective, a sound and thorough financial feasibility study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capital structure of a project. Operators tend to reduce the equity amount to minimize the level of risk exposure, while creditors persist to raise it, in an attempt to secure a sufficient level of financial involvement from the operat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reditors and operators to reach an agreement for a balanced capital structure that synthetically considers both profitability and repayment capacity. This paper presents an optimal capital structure model for successful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This model finds the optimized point where the profitability is balanced with the repayment capacity, with the use of the concept of utility function and multi-objective GA (Generic Algorithm)-based optimization. A case study is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its verification. The research conclusions provide a proper capital structure for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s through a proposed multi-objective model.

A Study of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Based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연구)

  • Jung, Mun-Su;Kim, Eun-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2
    • /
    • pp.65-80
    • /
    • 2022
  • Despite the uncertainty and risky factors of startups, the special and critical role of accelerators in carrying out professional nurturing and investment for them is becoming increasingly significant in the startup social-system.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investment determinants that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survival of accelerators is lacking, and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of factors, and they do not enjoy the benefits of theoretical studies. This study proposes a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based on the business model innovation theory that reflects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tartups that are investment targets of accelerators and derives 12 investment decision factors. The framework defines that the target, direction, and performable force of startup innovation are a business model, strategy, and dynamic capability. Besides, the framework analyzes the investment decision factors of the existing accelerators based on the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to verify the suitability and sufficiency of the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most of the items were faithfully composed from a static point of view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re activities to evaluate the activity and customer relationship were insufficient. Second, from the strategic point of view, the necessity of developing factors that can encompass the definition and content of core resources, which are internal strategic factors, was raised. Third, from the dynamic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many of the investment determinants of accelerators were concentrated on the lower level of dynamic competencies. This can be judge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tartup that needs to develop a solution with few resources and a small number of team members. In addition, the roles and interrelationships between each factor are not clear, thus it was found as a limiting point for startups to view and evaluate the direction and process in which startups dynamically innovate their business models. This study is considerably differentiated in that it provides a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and offers a theoretical basis for investment determinants by deriving the investment determinants of accelerators based on the framework and design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The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has great implications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startups, accelerators, and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실물옵션을 이용한 대규모 단계적 투자프로젝트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최성호;김규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12-619
    • /
    • 2003
  • 실물옵션은 전통적인 경제성 평가기준의 하나인 순현재가치 분석법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영의 유연성을 무시함으로써 투자 혹은 자산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단점을 제거하고 이를 평가에 적절히 포함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어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IT)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전통적인 현금흐름할인 방법이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 (1) 우선, 정보통신 분야에서 대부분의 정보기술 기반 투자 프로젝트는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를 피하기 위하여 단계적인 투자계획을 세우는 경우가 많다. (2) 또한, 초기 기반에 대한 투자의 주요한 혜택이 대부분 그 이후 단계의 투자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성급한 초기투자에 대한 경제성 평가는 이후의 혜택을 무시할 가능성이 많아진다. (3) 마지막으로 초기의 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하면, 이 후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래의 혜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이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실물옵션 평가방법이 선호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분야의 투자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특징을 평가방법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실물옵션 개념을 응용하여 이러한 투자 형태의 평가를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방법을 생각해본다.

  • PDF

An Analysis of Return on Investment of Corporate e-Learning Program (기업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ROI) 분석)

  • Lee, Hy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79-48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e-learning program)의 교육투자수익률(ROI)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ROI 모델을 통해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을 산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투자 대비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에 있어서 교육투자수익률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특정 회사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모든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규명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 및 운용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PDF

임팩트투자자의 소셜벤처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Yu, Seong-Ho;Hwang, Bo-Yun;Lee, Seon-H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67-173
    • /
    • 2022
  • 임팩트투자는 재무적인 수익과 더불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만들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기업, 조직, 펀드를 대상으로 하는 투자 방식으로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잔 소셜벤처 기업에 재무적 지원을 위한 초기단계 투자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임팩트투자자는 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추구라는 이중적인 판단 요인 때문에 사회적가치지표(SVI: Social Value Index)를 투자판단에 참고로 활용하고 있으나 투자를 결심하는 판단요인에 있어서는 여전히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임팩트투자자가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투자판단 요인들에 대한 타당도와 상대적 가중치를 객관화 하고, 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의 이중적이 가치판단 중에서 어느 쪽을 더 주요하게 고민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판단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임팩트투자자의 소셜벤처 투자결정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판단문제로 정의하고, 임팩트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투자자로서 재무적 이익과 회수 가능성 판단을 위한 ①초기투자단계에서의 투자의사결정 요인,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파급력, 소셜벤처의 상생과 연대를 위한 ②창업가(팀)의 정치적 기술, 임팩트투자펀드 조성 목적에 부합하는 ③소셜벤처기업의 소셜미션 등 세가지의 분류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