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과광

Search Result 1,17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l Transmittance Homogeneity of the Ocular Lens (안경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균일도 비교 연구)

  • Park, Sang-Kook;Ri, Hyeong-Cheol;Jang, Yun-Seog;Sung, Duk-Yong;Kang, Sung-Soo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20 no.4
    • /
    • pp.471-476
    • /
    • 2015
  • Purpose: We have analyzed the transmittance distribution of various ocular lenses using local transmittance microscope to investigate the optical homogeneity of the lens. Methods: The local transmittance of the laser which is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spectacle lens was measured by using the photo-detector, lock-in amplifier and motorized-stage. 25 multi-coated lenses with non-tinted of 5 groups and 45 multicoated lenses with tinted of 9 groups were analyzed as a sample respectively. Results: Average and deviation of local transmittance for nontinted lenses were measured almost uniformly with various refractive index and coating. However, deviation of transmittance of for tinted lenses was analyzed as about 3.7 times larger than that of non-tinted lenses. Inhomogeneity of local transmittance of for tinted lenses was also analyzed as about 3.1 times larger than that of non-tinted lenses. Conclusions: We could analyze that standard deviation of transmittance and inhomogeneity of local transmittance of for tinted lenses is larger than that of non-tinted lenses using the local transmittance microscope. These analysis using local transmittance microscope can be utilized as a way to evaluate lens performance and improve optical homogeneity.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Local Transmittance Measurements of the Ocular Lens (안경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측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Sang-Kook;Ri, Hyeong-Cheol;Youk, Do-Jin;Sung, Duk-Yong;Kang, Sung-Soo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4
    • /
    • pp.471-477
    • /
    • 2014
  • Purpose: We have analyzed the transmittance distribution of the ocular lens using local transmittance microscope to investigate the optical homogeneity of the lens. Methods: The transmittance of the laser which is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ocular lens was measured by using the photo-detector and lock-in amplifier and analyzed. Multi-coated, uncoated, and progressive lenses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measurement of the progressive lens and a physical stimulated lens, local transmittance microscopy analysis showed a high degree of match with the measurement results through the optical microscope.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transmittance is reduced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optical defects. In unstimulated lens, there are a large impact on transmittance whether the anti-reflective coating is presence or absence in both the local transmittance microscopy and general transmittance analysis. Conclusions: Th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measured by local transmission microscopy were changed when the various stimulus is applied to the lenses. These analyzes by local transmission microscopy can be utilized as a way to evaluate or determine the uniformity of the coating film or lens.

Fabrication of High-transparent and Self-cleaning Solar Cell Protection Film (고투과성 및 자정기능을 가지는 태양전지 보호필름의 제작)

  • Lee, Seong-Hwan;Han, Kang-Soo;Shin, Ju-Hyeon;Hwang, Seon-Yong;Lee,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5.1-75.1
    • /
    • 2011
  • 화석연료의 고갈과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로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 요구되는 가운데, 태양광 발전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너지 생산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 직사광을 이용한 발전 방법 때문에 실외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태양전지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보호층에 의한 입사광의 반사 및 먼지나 황사에 의한 보호층의 오염 등은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 필름에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및 핫 엠보싱 공정을 이용하여 moth-eye 반사방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층에서의 입사광 반사를 억제하였다. 또한, 이러한 반사방지 패턴에 초소수성 자기조립단분자막을 코팅하여 표면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먼지 및 황사에 의해 오염되었을 경우에도 빗물에 의해 오염 물질이 쉽게 씻겨 내릴 수 있는 자정기능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반사방지를 통한 입사광 투과량의 향상 및 초소수성 표면에 의한 자정작용에 의하여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이 증가되었다.

  • PDF

Optical bistability in the Fabry-Perot etalon which contains $As_2S_3$ space layer (비정질 $As_2S_3$를 중간층으로 Fabry-Perot 에탈론에서의 광쌍안정에 관한 연구)

  • 김강호;김석원;한성홍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8 no.6
    • /
    • pp.466-470
    • /
    • 1997
  • We fabricated the asymmetric Fabry-Perot etalon which contains amorphous $As_2S_3$ as a spacer layer by using the method of optical multilayer coating and observed the optical bistability with the polarization. Optical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is 2$\lambda$ at $Ar^+$ ($\lambda $=514.5 nm) laser wavelength. Optical bistability was observed at the intensities between 80~100 mW and the experiment shows us that the trends of bistable loop of the reflected and the transmitted lights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e of polarization. This phenomena can be explained as the phase differences of each polarizations are different in the nonlinear Fabry-Perot etalon.

  • PDF

Study on the method to evaluate performance of Light Collector in Light-collecting System (집광채광 설비 입사부의 성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Yoon, Yongsang;Mun, Sunhy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49.1-49.1
    • /
    • 2011
  • 집광채광 설비는 건축물의 조명에너지 절감 및 자연광의 실내 유입을 위해 적용 가능한 태양에너지설비로써 다른 신 재생 에너지 설비와 다르게 연간에너지생산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가 아직까지 부재하다. 집광채광 설비의 설치효과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집광채광 설비 설치에 따른 연간 에너지생산량 산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구성부분(집광부, 전송부 및 산광부)의 광전송 효율에 대한 데이터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집광채광 설비의 효율 분석에 관한 첫 번째 단계로써 외부광속에 대한 집광부 통과 직후의 내부광속의 비율을 예측하였다. 국내에 보급된 집광채광 설비는 대부분 프리즘형과 광덕트형이며, 우선적으로 집광부 입사면의 경사각과 방위각이 다양하여 내부광속 산출방법론이 매우 복잡한 프리즘형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전일사량, 외부조도 및 집광부 내부조도가 측정되었으며, 외부광속으로부터 내부광속을 산출하는 공식을 유도하기 위해 천공상태에 따라 전일사량 측정치가 직산분리 되었다. Perez model과 Liu and Jordon에 의해 제시된 계산식과 입사면 및 집광부 면적을 고려하여 수평면 외부조도 측정치로부터 외부광속이 그리고 내부조도로부터 내부광속이 산출되었다. 입사면의 투과율이 동일하다는 전제 하에 천공상태에 따른 태양광 투과 비율을 도출한 결과, 담천공(Kt ${\leq}$ 0.3)에서 0.39, 부분담천공(0.3${\geq}$ 0.78)에서 1.0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투과비율을 외부광속에 적용하여 내부광속을 계산한 결과치와 측정치는 약 ${\pm}9%$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연간 기상데이터에 위와 같은 방법론이 적용되면 프리즘형 집광부의 연간 내부광속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발광효율 산출식과 일사 파장에 따른 시감도를 고려하면 매 시간별 외부조도도 산출이 가능하다. 일사량 측정치와 외부조도 측정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 $R^2$이 0.99인데 반해 일사량 측정치와 외부조도 계산치 사이의 상관관계 결정계수는 0.95로 측정치 보다 약간 작은 값을 갖는다. 이렇게 산출된 외부조도는 각 입사면의 면적을 반영하여 외부광속으로 변환되고, 앞서 산출된 천공상태별 투과비율이 적용됨으로써 내부광속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광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전송부와 산광부 효율을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집광채광 설비를 통해 실내에 전달되는 연간 빛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론은 다른 형태의 집광채광 설비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집광채광 설비의 연간 에너지생산량에 대한 폭 넓은 데이터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for Hydrogel Lens Material of Acrylate Monomers Containing Hydroxyl Group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들의 하이드로젤 친수성 렌즈 소재로의 응용 및 특성)

  • Lee, Min-Jae;Kim, Tae-Hun;Sung, 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0 no.3
    • /
    • pp.181-186
    • /
    • 2016
  • The hydrophilic ophthalmic lens with addition of 2-hydroxyethyl acrylate (HEA),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and Ag nanoparticles were manufactured. And also, the cross-linker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nd the initiator azobisisobutyronitrile (AIBN) were used for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of the hydrogel lens material was conducted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in 100 ℃ for 1h. The opt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ydrogel len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water content, refractive index and optical transmittance. The water content of sample containing HEA, HEMA and HPMA was in the average of 82.12%, 37.06% and 21.57%, respectively. And also, refractive index of the sample containing HEA, HEMA and HPMA was in the average of 1.3540, 1.4330 and 1.4649, respectively. In case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ar-UV transmittance was 82.67%, 80.32% and 79.83%, and the visible transmittance was 89.72%, 88.24% and 86.89%, respectively. And also,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sample containing Ag nanoparticles showed that the near-UV transmittance of 10.59% and visible transmittance of 43.74%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s, the molecular length influenced on the water content and refractive index of the polymerized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