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 및 침식

Search Result 36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position and Erosion Relief of Riverfront by Vegetation (식생에 의한 하안 퇴적과 침식 경감)

  • Kim, Jin-H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2
    • /
    • pp.154-160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field investigation of deposition and erosion relief of a riverfront using veget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Phragmites japonica showed 0.2 m of deposition and 0.3 m-0.4 m of erosion relief of river front by the critical velocity of 1.0 m/s-1.2 m/s. P. communis showed 0.1 m-0.4 m of deposition and 0.2 m-0.3 m of erosion relief by the critical velocity of 0.6 m/s-0.7 m/s. Salix gracilistyla showed 0.1 m-0.2 m of deposition and 0.4 m-0.5 m of erosion relief by the critical velocity of 1.2 m/s-1.4 m/s. Miscanthus sacchariflorus showed 0.1 m-0.4 m of deposition and 0.1 m-0.2 m of erosion relief by the critical velocity of 0.6 m/s-0.7 m/s. S. gracilistyla had the greatest role, while M. sacchariflorus had the lowest role for erosion relief. These results showed that aquatic plants had an effective role in sustaining a stable channel.

Analysis of Liquefied Layer Activities Considering Erosion and Sedimentation of Debris Flow (토석류의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한 유동층의 거동 분석)

  • Kim, Sungduk;Lee, H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4
    • /
    • pp.23-29
    • /
    • 2019
  • Heavy rainfall is in causing debris flow by recent climate change and causes much damage in the downstream. The debris flow from the mountainous area runs to the downstream, repeating sedimentation and erosion, and appears as a fluidized soil-water mixture. Continuity equation and momentum equation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ebris flow with strong mobility, and the sedimentation and erosion velocity with fine particle fractions were also applied.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 of debris flow at the downstream end for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sediments can occur in the upstream of the mountain. Analysis of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channel due to the variance of the length of pavement of the granulated soils resulted in the higher the supply flow discharge and the longer the length of pavement,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e earlier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inflection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good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erosion-sedimentation velocity rate which can detect erosion and sedimentation on steep slopes.

An Experimental Study on Erosion and Deposition of Estuarial Cohesive Sediment (하구점성토의 침식 및 퇴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안수한;김재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 no.1
    • /
    • pp.44-49
    • /
    • 1989
  • Cohesive sedimentation mechanism is affected by various physico-chemical factors. Thus, the field observations and the laboratory experiments for cohesive sediment have been reported for decades. Erosion and deposition test was carried out with cohesive sediment material sampled in the Keum River Estuary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suspended cohesive sediment concentration was measured for various flow conditions, which have the purpose to determine the critical shear stress and the coefficients for erosion and deposition . The critical shear stress and the coefficient for erosion were determined in the flume test. The equilibrium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for each shear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malized equilibrium cocentration with the initial cocentration (Ceq/co) and the equivalent shear stress was obtaine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ther results and showed fairly well agreements with them.

  • PDF

수로특성을 갖는 감조하천의 퇴적환경 수치모의

  • Baek, Dong-Jin;Kim, Gang-Min;Jeong, Dae-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9-190
    • /
    • 2018
  • 금회 연구대상인 아산만 내측에 위치한 배수로는 항만 건설로 인하여 인공적으로 생성된 감조하천의 성격을 띄고 있다. 이러한 인위적으로 설정된 배수로는 일반 하천에 비하여 유속이 크고 단순화된 유로로 인하여 퇴적 또는 침식우세 등의 극단적인 성격이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퇴적환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금회 연구에서는 퇴적환경의 외력조건으로 작용하는 조석, 파랑, 그리고 하천 등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동 및 퇴적환경 현황을 재현하였다. 재현결과 협수로와 곡선부에서 침식이 기타 수로에서는 퇴적이 우세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근거하여 차후 1, 5, 10년에 대한 장기간의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 현재 배수로의 퇴적환경은 평형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배수로로는 대부분 간사지로 대기노출시간의 높은 편으로 지반의 고화현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고려는 거의 불가하기 때문에 결과 보정 시 이를 고려한 결과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Stratigraphy and its Depositional History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Korea (한국 남동해역 대륙붕 후 제4기 해침퇴적층서 및 퇴적역사)

  • Yoo, Dong-Geun;Lee, Chi-Won;Kim, Seong-Pil;Park, Soo-Chul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3 no.4
    • /
    • pp.349-356
    • /
    • 2010
  • Analysis of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acquired from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reveals that the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deposits consist of six seismic units created in response to sea-level rise. These units with different seismic facies and geometry can be grouped into two distinct depositional wedges (paralic and marine) bounded by a ravinement surface. The paralic component underlying the ravinement surface consists of the sediment preserved from shoreface erosion and contains incised-channel fill, ancient beach-shoreface deposit and estuarine deposit. The top of paralic unit is truncated by a ravinement surface and overlain by marine component. The marine component consists of the sediment produced through shoreface erosion during landward transgression and contains mid-shelf sand sheet, mid-shelf sand ridge and inner shelf sand sheet. Such transgressive stratigraphic architecture of six sedimentary units is controlled by a function of lateral changes in the balance among rates of relative sea-level rise, sediment input and marine processes at any given time.

Analysis of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Change around the Halmi-island, Anmyeondo in West Coast of Korea (안면도 할미섬 주변의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 KIM, Jang-soo;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123-132
    • /
    • 2012
  • In this study, we analyzed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around Halmiseom on Anmyeon Island us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data, gain size analysis data and datum-point measured values. To observe changes in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around Halmiseon, we installed datum points at 12 locations around Halmiseom and carried out at total of 32 field measurements from May 16th, 2010 to May 8th, 2012. The field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H-3, H-4, H-5 and H-9 points are dominated by sedimentation environment, and H-7, H-8, H-10, H-11 and H-12 points are dominated by erosion environment. Meanwhile, sedimentation and erosion appeared alternately at H-2 and H-6 poi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bank installed in the southwest side of Halmiseom prevented sand of the beach from moving to the northeast side, leaving the sand of the beach being deposited at the sites, and the northeast side, where sand was not provided from beach ridge of Halmiseon was dominated by sedimentation. That is, the southwest side of Halmiseom was dominated by sedimentation, but the northeast side was dominated by erosion in general. However, the opposite trends were observed at H-9 point of the northeast side and H-12 point of the southwest side. According to analysis, since H-9 point is located at the end of sand spit connected to Halmiseom, the supply of sediments by a tidal current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analyze the cause of erosion in case of H-12 point located at the sand dune due to the short measurement period.

A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two-dimensional model in river flood plain (2차원 모형 기반 하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연구)

  • Ku, Tae Geom;Song, Chang Geun;Park, Yong S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2-112
    • /
    • 2017
  • 하천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대하천 및 중 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을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터는 여름철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되다가, 강우 사상이 종료된 이후에는 유사가 퇴적되어 복구비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홍수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홍수터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계산된 수리적 인자들을 이용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국내와 다르게 하천 홍수터 공간을 거의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사례는 드문 실정이며, 도시침수로 인한 제내지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내지 홍수위험도 지수를 국내 홍수터에 도입하여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에는 침식 및 퇴적을 올바르게 고려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홍수터 내에서 침식과 퇴적을 고려할 수 있는 홍수터 수리적 안정성 지수를 산정하고 과거 연구된 실내 수리실험 자료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자연하천에서의 실제 태풍 사상에 의한 침식 및 퇴적의 상대적 공간분포를 산정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Soil Erosion in Agricultural Lands using Physics-based Erosion Model (물리기반 침식모형을 활용한 필지의 토양침식 분석)

  • Yeon, Min Ho;Van, Linh Nguyen;Lee, Seul Chan;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4-84
    • /
    • 2021
  •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세계 곳곳은 이례적인 홍수와 가뭄 등으로 많은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 강도가 크고 단기간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토는 약 7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경사가 험준한 지형을 지니고 있어 강우 시 유출이 급격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후 패턴과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토양침식이 가중되고 있으며, 그중 강원도의 경우 산지 곳곳에 위치한 고랭지 밭으로 인해 강우 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실되어 농경지가 감소하고 있으며, 유실된 토사의 하천 유입으로 인한 하천 통수능력의 저하와 수질 악화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 모형인 SSEM (SSORii Erosion Model)을 이용하여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유역의 필지를 중심으로 침식과 퇴적의 양상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SSEM은 단기 강우 사상을 모의할 수 있고, 침식과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할 수 있어 침식이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식별이 가능한 모형이다. 연구분석 결과, 대부분의 필지에서 침식과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그중 도심지 주변에 위치한 필지에서 많은 토양침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본 유역의 현장 조사 당시 육안으로 확인한 침식의 실태와 상당 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Laboratory Study on Erosional Properties of the Deposit Bed of Saemankeum Sediments (새만금 점착성 퇴적물의 퇴적저면 침식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ang, Su-Hyun;Lee, Seung-Jong;Hwang, Kyu-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7 no.2
    • /
    • pp.105-112
    • /
    • 2015
  • In this study, the erosional properties of deposit bed for the natural sediments are quantitatively estimated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using annular flume. Four erosion tests for Saemankeum sediments have been carried out on different consolidation time. Experimental results of erosional tests show that shear strength ${\tau}_s$ increases with the increases of consolidation time and bed depth. The erosion rate increases logarithmically with the increases of exceed shear strength ${\tau}_b-{\tau}_s$. But, the erosion rate decreases rapidly with the decreases of exceed shear strength under the $0.2N/m^2$.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are found to be remarkably different in quantity as compared with those for results of previous study.

Experimental study of bed transport on slope by characteristics of solitary wave (고립파의 특성에 따른 경사면의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 Jae Nam;Kim, Dong Hyun;Hwang, Gyu-Nam;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31
    • /
    • 2016
  • 국내 해안선을 따라 발생되는 침식 및 퇴적현상으로 인하여 해안구조물의 안정성과 같은 안전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현상을 대비하여 연안지역 특성에 맞는 침식 저감 대책 마련에 대한 연구가 되고 있다. 침식현상은 다양한 외력조건과 지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고립파로 인한 침식 발생 현상에 대한 국외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어 왔으며, 국내에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고립파는 파고의 특성에 따라 파형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침식현상과 지진해일의 실험적 연구에 있어 입사파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sluice gate를 순간적으로 개방하여 고립파를 재현하는 방식으로 파랑을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 0.80 m, 높이 0.75 m, 수로연장 12.00 m의 강화유리로 설계된 직사각형 단면 수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측면에 두 대의 카메라(Model No. : Sony, HDR-XR550)를 고정설치하여 경사면 하상변화를 촬영하였고, 영상분석을 통하여 하상변동을 측정하였다. 유사특성에 따른 하상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사면에 포설된 유사로는 주문진 표준사($d_{50}=0.6268mm$, $c_u=1.68$)와 안트라사이트($d_{50}=1.547mm$, $c_u=1.387$)를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함께 사용하였다. 경사면에서 고립파의 처오름, 처내림을 추적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였다. 하상의 침식 및 퇴적구간 길이, 침식, 퇴적의 높이 및 깊이와 같은 형상분석을 통한 영향인자를 함께 무차원화 하여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Sluice gate를 이용한 고립파 수리실험으로 경사면 하상의 침식 및 퇴적 현상에 관한 기초적인 실험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