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층서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Unconformity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Tidal Deposits,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 퇴적분지의 제 4기 퇴적층서와 부정합)

  • 박용안;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4
    • /
    • pp.332-340
    • /
    • 1995
  • To study stratigraphy of tidal basin deposits, related unconformity and source of late Holocene tidal sediments in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total 8 vibracore sediments have been analyzed. The uppermost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late Holocene Namyang intertidal deposit overlies three different stratigraphic sequences (1) oxidized reddish brown muddy deposit (Yongduri Member), (2) oxidized yellow deposit (Kanweoldo Formation) and (3) the pre-Cambrian gneiss complex unconformably. Accordingly, three unconformities between those different sequences are recognized. The Namyang tidal deposits (late Holocene) with several meter thickness are mostly coarsening upward sequence suggesting transgressive phase during a continuous rise of sea level. The tidal deposit vibracored down to 4.5 m in depth contains clastic glauconite sands (2% in average) from 2.5 m to the vibracore bottom. These glauconite sands are considered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of Namyang Bay tidal sedimentation from offshore continental shelf of the Yellow Sea along the course of late Holocene sea-level rise.

  • PDF

Late Quaternary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Stratigraphy and Unconformity in the Kimpo Tidal Deposits, Kyunggi Bay, West Coast of Korea (경기만 김포 조간대 지층의 제 4기 후기 층서)

  • 박용안;최경식;도성재;오재호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3 no.1
    • /
    • pp.79-89
    • /
    • 1999
  • Three deep borings to obtain vertical continuous samples including weathered basement soils (KP-1, KP-2 and KP-3) were carried out in the reclaimed Kimpo tidal flat with purposes to establish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n the basis of detailed observations and descriptions on color, sedimentary structure and textural composition of cored sediments, four lithostratigraphic units are classified. From the stratigraphic top to bottom, they are Holocene tidal sand and muddy deposit (Unit I), early Holocene freshwater marsh muddy deposit (Unit II), late Pleistocene tidal sand and muddy deposit (Unit III) and late Pleistocene basal fluvial gravel deposit (Unit IV). In particular, Unit III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upper part-weathered and cryoturbated par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Unit III-a) and the lower part-unweathered tidal sand and muddy deposit (Unit III-b).

  • PDF

한국 남해 대륙붕 후 제4기 퇴적층의 순차 층서 모델

  • 유동근;이호영;남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7-7
    • /
    • 2004
  • 한국 남동해역 대륙붕에서 취득된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와 퇴적물 시료의 분석에 의하면 후 제4기 퇴적층은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해수면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저해수면계열, 해침계열, 고해수면계열로 구성된다. 시퀀스 경계면 위의 저해수면계열(층서단위 I)은 마지막 빙하기 동안 퇴적된 니질사 혹은 사질니 퇴적물로 구성되며 대륙붕단과 해곡의 외해역에 분포한다. 해침면과 최대 해침면 사이에 위치하는 해침계열(층서단위 II)은 지난 15,000-6,000년 사이에 퇴적되었으며 주로 사질퇴적물로 구성된다. 해침계열은 연구해역 전반에 걸쳐 넓게 분포하지만 저해수면계열과 고해수면계열에 비해 박층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해침계열은 분포특성에 따라 3개의 소퇴적단위로 세분된다. 즉, 대륙붕단의 초기해침계열(Unit IIa), 중간대륙붕의 중기해침계열(Unit IIb), 내대륙붕의 후기해침계열(Unit IIc)등으로 이들은 후배열층서의 특성을 가진다. 최대해침면 상부에 놓이는 고해수면계열(층서단위 III)은 해수면이 현 수준에 도달한 지난 약 6,000년 이후에 퇴적된 현생 니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내대륙붕의 연안을 따라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 PDF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idal Deposits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남해 함평만 조간대 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 연구)

  • Park, Yong-Ahn;Lim, Dhong-Il;Choi, Jin-Yong;Lee, Young-Gi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 no.2
    • /
    • pp.138-150
    • /
    • 1997
  • The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idal deposits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comprises 1) Unit III (nonmarine fluvial coarse-grained sediments), 2) Unit II (late Pleistocene tidal deposits), and 3) Unit I (late Holocene fine-grained tidal deposits) in ascending order. The basements of the Hampyung Bay is composed of granitic rocks and basic dyke rocks. These three units are of unconformally bounded sedimentary sequences. The sequence boundary between Unit I and Unit II, in particular, seems to be significant suggesting erosional surface and exposed to the air under the cold climate during the LGM. The uppermost stratigraphic sequence (Unit I) is a common tidal deposit formed under the transgression to highstand sea-level during the middle to late Holocene.

  • PDF

석회석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유인창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0a
    • /
    • pp.69-92
    • /
    • 2002
  •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의 탐사는 국가경영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반산업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왔던 자원 탐사사업의 대부분은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천부 광상들에 집중되어 왔으며, 천부 광상들의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자원탐사의 범위가 점차 심부화 되고있는 실정이다.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효율적으로 탐사해 내기 위해서는 분지 내 심부 퇴적층들에 대한 정밀한 대비와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 천부 광상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왔던 기재적 층서 원리들로는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도출해 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분지 내 퇴적층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새로운 고해상도의 층서틀 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에 대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통합 층서적 접근은 퇴적 분지의 지체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분지 내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한 퇴적층들에 대한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은 분지 내에 부존 되어 있는 모든 형태의 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에 있어서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층서적 규범으로 강조되어 져야 한다.

  • PDF

석회석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유인창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10a
    • /
    • pp.69-92
    • /
    • 2002
  •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의 탐사는 국가경영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반산업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왔던 자원 탐사사업의 대부분은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천부 광상들에 집중되어 왔으며, 천부 광상들의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자원탐사의 범위가 점차 심부화 되고있는 실정이다.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효율적으로 탐사해 내기 위해서는 분지 내 심부 퇴적층들에 대한 정밀한 대비와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 천부 광상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왔던 기재적 층서 원리들로는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도출해 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분지 내 퇴적층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새로운 고해상도의 층서틀 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에 대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통합 층서적 접근은 퇴적 분지의 지체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분지 내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한 퇴적층들에 대한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은 분지 내에 부존 되어 있는 모든 형태의 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에 있어서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층서적 규범으로 강조되어져야 한다.

  • PDF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the Heavy Minerals from Deep Cored Sediments along the Coastal Deposits, Songji Lagoon, Eastern Coast, Korea (강원도 동해안(송지호) 해안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와 중광물)

  • 박용안;박영후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2
    • /
    • pp.111-117
    • /
    • 2001
  • The deep cored sediments of the beach spit deposit in the inlet of the Songji lagoon(lake)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the late Quarternary stratigraphy and relationship of the Holocene sea-level curve. Furthermore, the total content of heavy mineral sands from the established stratigraphic units(Unit I, II and III) varies due to the change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from continental to marine condition.

  • PDF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 최동림;현상민;이태희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1
    • /
    • pp.35-43
    • /
    • 2003
  •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s of Gwangyang Bay are studied based on bathymetric maps, surface sediments, and seismic profiles. As a result of the reclamation of coastal area for an industrial complex construction, the coastline of Gwangyang Bay has rapidly been changed and the area of it has now been reduced by about 25 % in the last 30 years. In addition, the bottom topography is actively modified by dredging for navigation channels. In surfical sediment distribution, the western part of Gwangyang Bay is dominated by mud facies, whereas the eastern part of the Bay is dominated by sand-mud mixing facies. Depositional sequences above the basement are divided into two units: Unit I in upper layer and Unit II in lower one. These depositional units are unconformably bounded by middle reflector-M. Unit II, mostly occupying the channel areas, is interpreted as fluvial-origin deposits during sea-level lowstand. Unit I typically shows a progradational pattern from the Seomjin River mouth to the Yeosu Strait, which is interpreted as deltaic deposits supplied from the Seomjin River during the Holocene sea-level highstand. The shallow gas within the sediments Is widely distributed in most area, and locally exposed onto the sea-bed due to dredging.

Stratigraph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n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천부퇴적물에 대한 층서$\cdot$퇴적학적 연구)

  • 박명호;류병재;김일수;정태진;이영주;유강민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2
    • /
    • pp.171-177
    • /
    • 2002
  • Two piston-cor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in East Sea, a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Late Quaternary. The cores consist mainly of cuddy sediments with silty sands, lapilli tephra and ash layers. The chronostratigraphic correlation with known eruption ages reveals that the core sediments contain the stratigraphic document over the past 46.1 kyr and the sedimentation rates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were relatively higher (12.1-14.9 cm/kyr) than those in pelagic ocean. Several sedimentary facies, mainly affected by turbidity currents, are commonly present in the core interval accumulated during the oxygen-isotope stage 2. Many of horizontal voids, which are thought to have formed by gas expansion, are observed in fore 00GHP-07. The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s of the core sediments are noticeably high (average 1 .8%). Particularly, these TOC valuers increased during Termination I, suggesting that dering this time interval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was changed to more anox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