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퇴사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3초

밴드비를 이용한 저수지 토사의 탁도 관계식 추정 (Estimation of Turbidity Relationship of Reservoir Sediment Using Band-ratio)

  • 신형섭;박종화;이규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63-1068
    • /
    • 2010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의 영향 등 기후변화에 따라 호우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여 홍수피해가 확대되고 토사재해, 댐과 저수지의 퇴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농업용저수지의 경우 제체가 노후화되고 유입토사에 의한 퇴사는 심각한 수준에 있다. 또한 도심중심의 다양한 공사 등은 토지 이용과 피복을 변화시켜 많은 토사 유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노출된 토사는 탁수발생원이 되고, 토사와 부유물로 형성된 탁수환경은 수중의 태양복사에너지 전달을 방해하여 수중생태계의 먹이사슬과 저서생물의 서식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반폐쇄성 수역으로써 탁수환경에 노출되기 쉬우며, 수질회복에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탁수환경의 변화는 시 공간적으로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탁수환경에 미치는 토사에 대한 연구는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토사 정보의 추출 및 분석에 RS기법의 활용은 증대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하여, 이에 대한 기초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1단계는 탁도계(2100P turbidimeter)를 이용하여 토사농도 변화에 따른 탁도를 측정하여 탁도 관계식을 추정하였다. 2단계는 분광복사계(LI-1800)를 이용하여 토사농도 변화에 따른 분광반사율을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는 도함수와 적분의 수치해석 방법으로 토사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최적밴드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각 밴드간의 비를 계산하여 탁수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밴드 조합식을 구하였다. 얻어진 밴드 조합식은 1단계에서 추정한 토사농도에 따른 탁도 관계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광복사계를 이용한 탁도 관계식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6개의 탁도 관계식이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 $R^2$는 0.67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일유량 분석을 이용한 대규모 저수지의 퇴사량 추정 (Sediment Estimation of Large Reservoir Using Daily Flowrate Analysis)

  • 정재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417-423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large reservoir sedimentation research In future and make suggestions to maintain and opera능 the reservoir more of efficiently. At first, previous studios about the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rate were reviewed in Korea. And the discharge rating curves of upstream stage gauging sta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dam Inflow and stage discharge were analyzed.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spec유c sediment rate of Soyanggang dam was estimated as 608 m3/km2/yr. It was similar to that of Soyanggang dam feasibility study and 1994's field surveys of the reservoir than that of 1983's field surveys. Because the sediment rating curves were derived under the low discharge conditions, It needs to be checked under the flood conditions. However, the suggested methods such as flowrate analysis and sediment estimation will be useful to the sediment studios In future. Key words . reservoir sediment, sediment yield rate, rating curve, flowrate analysis.

  • PDF

하도준설에 따른 수위 및 하상 변동 분석 (Impact of the Dredging on Water Level and Riverbed)

  • 성충현;이은정;박승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38-9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하류부 하도준설에 따른 하천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준설에 따른 수위 하강 및 이로 인한 침수피해 저감효과를 추정하였다. 하도 준설에 따른 홍수위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1차원 하천수리모형인 HEC-RAS을 적용하였으며, 홍수위 변화에 따른 침수면적 및 침수심 산정을 위해 수치지도와 GIS를 이용하였다. 하도준설에 따른 수위 변동은 계획홍수량 및 유황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침수모의는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침수면적 및 침수심을 산정하였다. 또한 준설에 따른 하상변동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준설후 5년, 10년, 20년의 퇴사분포를 모의하였다. 1차원 유사이동 모형인 HEC-6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Yang공식, Toffaleti공식, 그리고 Laursen공식 등 세가지 유사이송 공식을 적용하였다. 모의구간은 진위천 상류부 궁안교 지점부터 안성천과 합류된 이후 팽성대교 지점까지이다. 경계자료로는 궁안교 상류부에 위치한 동연교 지점에서의 1987년$\sim$2006년까지 20년 동안의 수위자료와 환경부 유사량 실측자료를 이용하였다.

  • PDF

저수지 장기운영을 위한 퇴적토사의 효율적 관리(1) - 저수지 퇴사량 산정 (An Efficient Management of Sediment Deposit for Reservoir Long-Term Operation (1) - Reservoir Sediment Estimation)

  • 안재현;장수형;최원석;윤용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88-1093
    • /
    • 2006
  • In this study, the method of annual sediment estimation for reservoir long-term operation is proposed. Long-term daily precipitation and evaporation are predicted by Markov Chain. Using these values, reservoir inflow is simulated by NWS-PC model. Reservoir sediment load is estimated by sediment rating relation curve which is observ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each simulated value by Markov Chain and NWS-PC was well compared to the observed ones and also estimated reservoir sediment was appropriate to the compared values using empirical equations. It is thought that the proposed method for estimation of reservoir sediment can be useful used to operate the reservoir.

남강댐에 대한 EFDC 모델의 수리학적 적용성 검토 (Evaluation for Hydraulic Application of EFDC model in Namgang Dam Reservoir)

  • 안기홍;이규탁;반양진;손병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724-728
    • /
    • 2010
  • 강우강도의 증가와 식생대의 변화 등 기후변화로 인한 저수지내 대형탁수와 조류대발생으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유역대책 평가와 저수지내 유체거동 및 영향평가를 위한 수단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저수지에 대한 3차원 수리해석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의 주요지류 중 하나인 남강에 위치한 남강댐에 대해 미 EPA의 오염총량지원도구인 EFDC 모델을 적용하였다. 저수지내 퇴사량 조사시 측정된 실측치와의 지형 재현성 검토, 실측수위와 모의결과의 비교를 그래프와 통계지표를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염료 추적 모의를 통해 도달시간 등을 산정하였다.

  • PDF

Jet flow 발생지역에서의 퇴사 거동 (A Study on the Movement of Sediment in Jet Flow Zone)

  • 정병건;이관수;이영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5-111
    • /
    • 1997
  • Taken from the entrance of Juam Dam to 11km long as survey, this study predicted the bed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sediment in jet flow zone. The result of applying compound model and jet model turned out to be satisfactory, though the latter was the better. The jet constant of Juam Dam could be controlled between 0.5 and 0.65. In the jet flow zone of the dam, the prediction of the bed change by the numerical motel showed almost the same to the observed data.

  • PDF

파키스탄 파트린드댐의 저수지 퇴사관리를 위한 배사효과 분석 (Analysis of Sediment Flushing Effect for Reservoir Sedimentation Management of the Patrind Dam in Pakistan)

  • 노준우;박진혁;허영택;김상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99-807
    • /
    • 2013
  • Reservoir sedimentation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for sustainable reservoir operation. Since sediment concentration of the rivers in the Himalayan Mountain is very high, a proper sediment management scheme is necessary. This paper presents long-term reservoir sedimentation and sediment flushing based on the gate operation. Focused on the reservoir to be constructed for the Patrind hydropower project in Pakistan, 4 different flushing scenarios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o prevent successive sedimentation. By extending flushing period and by increasing the flushing discharge for 2 times, the flushing rate increases up to 53.2% and 43.6% in proportion to flushing period and discharge, respectively. Based on the simulation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o establish efficient sediment management plan to increase hydro power generation and sediment flushing simultaneously.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어떻게 자영업자가 되었을까?

  • 김종성;박선영;신지만;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9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은행-N사의 SME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자영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경로를 규명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자영업자의 노동시장 및 노동경험 등에 따라 자영업 진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심층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연구참여자의 선정에 있어 이론적 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선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영업자가 자영업에 진입하게 된 동기는 ① 전 직장의 근로조건 불만족과 본인 사업을 향한 꿈의 실현을 위해 자영업에 진입하였고 ② 취업에 대한 대안으로 자영업을 선택하였으며 ③ 가족과 지인의 창업에 대한 권유와 도움으로 자영업을 선택하게 되었다. 둘째, 자영업자가 진입하게 된 유형은 ① 임금노동자 경험 후 자영업자 창업 ② 임금노동자 경험 후 경력을 활용하여 유관분야 자영업 창업 ③ 임금노동자 퇴사 후 자영업 승계 ④ 본인의 자영업 창업 경험 이후 가업 승계 과정에서의 자영업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홍수조절댐에서의 배사관 설치에 따른 상류 하천의 하상변동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Bed Changes in the Upstream Channel due to the Installation of Sediment Release Openings in the Flood Control Dam)

  • 지운;손광익;김문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4호
    • /
    • pp.319-329
    • /
    • 2009
  •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고 홍수조절을 목적으로 계획되는 홍수조절용댐의 경우 홍수 발생 기간 외에는 상류와 하류 하천간의 흐름 차단을 억제하고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댐 상류 부분에 퇴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댐에 상시 개방되어 있는 배사관을 설치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임진강 유역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해 건설되는 한탄강홍수조절댐에 배사관과 생태통로를 설치하도록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HEC-6 모형을 이용하여 한탄강홍수조절댐 건설로 인한 댐 상류의 퇴사현상을 댐 건설 전의 현상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평균유량 조건뿐만 아니라 연간 유량변동을 고려한 대표유량수문곡선을 적용하여 퇴사현상을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댐 건설로 인한 하류단 수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하상변동의 영향은 댐에서 상류 2 km 구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댐 건설 후 배사관의 설치 유무에 따른 배사관 주변과 댐 상류 하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2차원 RMA2 및 SED2D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한탄강홍수조절용댐의 댐 저부에 설치된 배사관의 배사효과는 저수지 내의 퇴적고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iDAR와 MBES를 이용한 댐 저수지 3차원 공간영상정보 구축 (The Construction of 3D Spatial Imagery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 이근상;최연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11
    • /
    • 2010
  • 최근 댐 저수지 주변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퇴사량 조사와 같은 댐 관리 업무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기존에는 지형측량을 위해 토탈스테이션과 단빔음향측심기(SBES)를 사용한 관계로 정밀한 지형자료 취득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LiDAR와 멀티빔음향측심기(MBES)를 이용하여 댐 저수지 주변의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육상부에 대해 LiDAR 측량을 수행한 후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건물이나 수목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육상부의 DEM 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LiDAR DEM을 GPS 지형측량과 검측한 결과 표준오차는 0.108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LiDAR 허용오차를 만족하는 3차원 지형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에 대해서는 MBES를 수행한 후 지형측량과의 검측과정을 통해 IHO의 수심측량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하는 지형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LiDAR와 MBES 측량자료를 통합한 후 고해상도 정사영상지도와의 연계를 통해 퇴사량 예측 및 지형변화 모니터링 등과 같은 댐 관리 업무에 활용 가능한 3차원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