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사위 결정 방법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Method of Decided to Sediment Water Level of Dam Reservoir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고찰)

  • Joo, Hong-Jun;Lee, Myeong-Jin;Kim, Jong-Seo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91-3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고 국외 여러나라에서의 퇴사위 결정 방법과의 비교를 통한 결과, 퇴사위 결정 방법에서는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좀 더 논리적으로 기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댐 계획 및 설계시 구조적인 차원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일 것으로 판단되며, 설계기준 재정립시 이러한 사항을 수정 및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ediment Water Level in Dam Reservoir against the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응한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고찰)

  • Joo, Hong Jun;Han, Dae Gun;Lee, Myung Ji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3-2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와 가뭄 등을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기존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고 국외 여러나라에서의 퇴사위 결정 방법과의 비교를 통한 결과, 퇴사위 결정 방법에서는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좀 더 논리적으로 기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댐 계획 및 설계시 구조적인 차원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일 것으로 판단되며, 설계기준 재정립시 이러한 사항을 수정 및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in dam reservoir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Joo, Hong Jun;Kim, Hung Soo;Cho, Woon ki;Kwak, Jae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
    • /
    • pp.61-7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how to determine the optimal sediment level in dam reservoir for efficient plan and operation of dam. Currently, Korea is applying a horizontally accumulated method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for the safety design of dam and so the method estimated relatively higher level than others. However, the sediment level of dam reservoir should be accurately estimated becaus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assessing life cycle of a dam. The sediment level in dam reservoir can be determined by SED-2D model linked with RMA-2, horizontally accumulated method, area increment method, and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The estimated sediment level from each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sediment level measured in 2007 in Imha dam reservoir, Korea and then the optimal method was determined. Also, the future sediment level was predicted by each method for the future trend analysis of sediment level. As the results, the most accurate sediment level was estimated by the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and the future trend of sediment level variation followed the past trend. Therefore, we have found that the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is a proper one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sediment level and it can be validated by the results from a numerical model of SED-2D linked with RMA-2 model.

Simulation of Long-term River Bed Variation on the Medium and Small Scale Reservoir (중.소규모 저류시설의 장기간 하상변동 모의)

  • Park, Young-Jin;Park, Yong-Soo;Lee, Jin-Eun;Kim, Sang-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8-592
    • /
    • 2012
  • 저수지에서 퇴사가 저수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저수용량의 감소로 인한 용수공급량 저하, 상류하천 수위 상승에 따른 홍수소통능력 감소로 인한 배수위 상승, 퇴적토의 용출에 의한 부영양화 촉진 및 중금속 퇴적 등의 수질변화, 퇴사로 인한 어류서식처 환경의 변화 등이 있다. 또한,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사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댐의 계획 및 운영과 관련된 저수지 퇴사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 요소이다. 즉, 저수지 퇴사에 관한 예측 자료는 댐 설계시에 장래 50년 및 100년 후의 저수위-저수용량 관계곡선을 결정하고, 댐의 사수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본자료이며, 또한 댐 건설후의 저수지내로 유입되는 유사의 공간적 퇴적분포를 예측하고, 기능별 저수지 용량배분, 본체 및 취수구 등 각종 수리구조물의 안정, 저수지 상류 퇴사로 인한 홍수위의 상승 등 저수지 제 기능의 적정 관리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본자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내에서의 2차원적 하상변동을 해석하기 위한 퇴사 모델링 방법으로 2차원 정상 및 동수역학적인 유사이송과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으며, 침식과 포착 및 이송 그리고 퇴적의 각 단계에 따라 세부모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RMA2와 SMS 프로그램과 상호 연계가 자유로운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댐 축조로 인한 저수지내의 퇴사거동을 모의한 후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Flood Inflow Estimation at Large Multipurpose Dam using Distributed Model with Measured Flow Boundary Condition at Direct Upstream Channels (직상류 계측유량경계조건과 분포형모델을 이용한 대규모 다목적댐 홍수유입량 산정)

  • Hong, Sug-Hyeon;Kang, Boo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5
    • /
    • pp.1039-1049
    • /
    • 2015
  • The inflow estimation at large multipurpose dam reservoir i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water balance among the discharge, the storage change during unit time interval obtained from the observed water level near dam structure and area-volume curve. This method can be ideal for level pool reservoir but include potential errors when the inflow is influenced by the water level slope due to backwater effects from upstream flood inflows and strong wind induced by typhoon. In addition, the other uncertainties arisen from the storage reduction due to sedimentation after the dam construction and water level noise due to mechanical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power generator. These uncertainties impedes the accurate hydraulic inflow measurement requiring exquisite hydrometric data arrangement for reservoir waterbody. In this study, th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using UBC-3P boundary setting was applied and its feasibility was evaluated. Finally, the modeling performance has been verified since the calculated determination coefficient has been in between 0.96 to 0.99 after comparing with observed peak inflow and total inflow at Namgang dam reservo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