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사위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in dam reservoir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Joo, Hong Jun;Kim, Hung Soo;Cho, Woon ki;Kwak, Jae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
    • /
    • pp.61-7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how to determine the optimal sediment level in dam reservoir for efficient plan and operation of dam. Currently, Korea is applying a horizontally accumulated method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for the safety design of dam and so the method estimated relatively higher level than others. However, the sediment level of dam reservoir should be accurately estimated becaus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assessing life cycle of a dam. The sediment level in dam reservoir can be determined by SED-2D model linked with RMA-2, horizontally accumulated method, area increment method, and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The estimated sediment level from each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sediment level measured in 2007 in Imha dam reservoir, Korea and then the optimal method was determined. Also, the future sediment level was predicted by each method for the future trend analysis of sediment level. As the results, the most accurate sediment level was estimated by the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and the future trend of sediment level variation followed the past trend. Therefore, we have found that the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is a proper one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sediment level and it can be validated by the results from a numerical model of SED-2D linked with RMA-2 model.

A Study on the Method of Decided to Sediment Water Level of Dam Reservoir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고찰)

  • Joo, Hong-Jun;Lee, Myeong-Jin;Kim, Jong-Seo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91-3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고 국외 여러나라에서의 퇴사위 결정 방법과의 비교를 통한 결과, 퇴사위 결정 방법에서는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좀 더 논리적으로 기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댐 계획 및 설계시 구조적인 차원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일 것으로 판단되며, 설계기준 재정립시 이러한 사항을 수정 및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ediment Water Level in Dam Reservoir against the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응한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고찰)

  • Joo, Hong Jun;Han, Dae Gun;Lee, Myung Ji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3-2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와 가뭄 등을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기존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고 국외 여러나라에서의 퇴사위 결정 방법과의 비교를 통한 결과, 퇴사위 결정 방법에서는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좀 더 논리적으로 기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댐 계획 및 설계시 구조적인 차원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일 것으로 판단되며, 설계기준 재정립시 이러한 사항을 수정 및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mulation of Long-term River Bed Variation on the Medium and Small Scale Reservoir (중.소규모 저류시설의 장기간 하상변동 모의)

  • Park, Young-Jin;Park, Yong-Soo;Lee, Jin-Eun;Kim, Sang-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8-592
    • /
    • 2012
  • 저수지에서 퇴사가 저수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저수용량의 감소로 인한 용수공급량 저하, 상류하천 수위 상승에 따른 홍수소통능력 감소로 인한 배수위 상승, 퇴적토의 용출에 의한 부영양화 촉진 및 중금속 퇴적 등의 수질변화, 퇴사로 인한 어류서식처 환경의 변화 등이 있다. 또한,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사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댐의 계획 및 운영과 관련된 저수지 퇴사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 요소이다. 즉, 저수지 퇴사에 관한 예측 자료는 댐 설계시에 장래 50년 및 100년 후의 저수위-저수용량 관계곡선을 결정하고, 댐의 사수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본자료이며, 또한 댐 건설후의 저수지내로 유입되는 유사의 공간적 퇴적분포를 예측하고, 기능별 저수지 용량배분, 본체 및 취수구 등 각종 수리구조물의 안정, 저수지 상류 퇴사로 인한 홍수위의 상승 등 저수지 제 기능의 적정 관리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본자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내에서의 2차원적 하상변동을 해석하기 위한 퇴사 모델링 방법으로 2차원 정상 및 동수역학적인 유사이송과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으며, 침식과 포착 및 이송 그리고 퇴적의 각 단계에 따라 세부모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RMA2와 SMS 프로그램과 상호 연계가 자유로운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댐 축조로 인한 저수지내의 퇴사거동을 모의한 후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Long-term Prediction of the Sediment Distribution of Chungju Dam Using Emprical Area Reduction Method (경험적 면적감소법을 이용한 충주댐 퇴사분포의 장기 예측)

  • Lee, Dong-Kyu;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6-536
    • /
    • 2012
  • 댐은 하천의 흐름을 막아 그 저수를 생활 및 공업용수, 농업용수, 발전, 홍수조절, 특정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구조물을 일컫는다. 여러 가지 용도로 만든 댐의 저수지에는 상류에서 들어오는 유사가 저수지 바닥에 가라앉아 쌓이게 되는데 이를 저수지 퇴사(reservoir sedimentation)라 하며, 이는 저수지 유효 용량을 감소시키고 홍수시 유입 하천의 홍수위를 상승 및 저수지 수질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저수지를 관리함에 있어 저수지로 유입되어 바닥에 가라앉는 퇴사량을 분석하고 저수용량과 수면적의 감소율을 예측하는 것은 효율적인 저수지 장기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 향후 저수지로 유입되는 일유출량의 예측을 위해 과거 1987~2011년(25년)의 충주 댐 일유입량($m^3/s$) 자료를 단순반복시켜 향후 50년 동안의 일유량($m^3/s$)을 산정하였고, 일단위 모의가 가능한 유역단위의 분포형 장기 강우-유출모형인 SWAT를 이용하여 산정된 일유량($m^3/s$) 자료를 비교 평가하여 모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기간 동안의 총유사량을 구할 수 있으며, 한강유역조사(2002)에서 유도한 충주댐 상류 정선지점의 유량-유사량 관계식으로부터 향후 50년의 일유량($m^3/s$) 자료를 이용하여 총유사량를 산정하였다. 또한, 경험적 면적감소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기간에 대한 실측치와 모의치 각각에 대한 퇴사분포 및 퇴사량을 산정 및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용수관리를 위한 저수지 퇴사관리 방안의 시기별 도출이 가능하였다.

  • PDF

On Utilization of Inactive Storage in Dam during Drought Period (가뭄 극복을 위한 댐의 비활용용량 활용 방안 연구)

  • Joo, Hongjun;Kim, Deokhwan;Kim, Jungwook;Bae, Younghye;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4
    • /
    • pp.353-36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ucture plan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inactive storage in the dam for overcoming the drought. Inactive storage in the dam is composed of the emergency storage and dead storage. The emergency storage can be used for the case of emergency such as drought. But, in general, the dead storage for sedimentation is not used even for the emergenc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e part of dead storage that the sedimentation is not progressed yet can be used during the severe drought period and is called "drought storage in a dam". The accurate Sediment Level(SL) analysis for the computation of the drought storage should be performed and so the present and future SL in the dam reservoir is estimated using SED-2D linked with RMA-2 model of SMS. After the consideration of additionally available storage capacity based on the estimated SL, the drought storage is finally determined. Present data based on historical data, future predicted future climate factors by Representative Concentrarion Pathways(RCP) 8.5 scenario. Then, using the TANK model, dam inflows were determined, and future period such as SL and drought storage were suggested. As the results, we have found that the available drought storage will be reduced in the future when we compare the present drought storage with the future one. This is due to a increase variability of climate change. Therefore, we should take the necessary study for the increase of available drought storage in the future.

1-D Quasi-Steady Model for Drawdown Flushing in Reservoirs (저수지 수위하강 배사 모의를 위한 1차원 준정류 모형)

  • Bae, Hye-Deuk;Yoon, Seon-Kyoo;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36
    • /
    • 2011
  • 일반적으로 저수지 퇴사는 연간 저수지의 유효용량의 0.5~1%을 감소시키고 홍수 시에는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등 저수지에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댐 설계시 장기적으로 저수지 퇴사를 적절히 예측하고, 유지 관리 중에는 주기적인 퇴사 조사를 하여 퇴사의 진행 상황과 분포 등을 분석하여 필요시 댐 조작 방법의 개선이나 나아가 배사와 같은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저수지 배사작업의 지침을 제시하기 위하여 1차원 저수지 퇴 배사 모형을 제시하였다. 1차원 배사수치모의는 수위하강(drawdown)에 의한 배사를 고려하였으며, 준정류가정을 적용한 비연계 모형으로 구현하였다. 소류사량 산정을 위해서는 MPM 공식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선행 연구에서 수행한 수리실험의 제원 및 실험조건들을 적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고, 수치모의 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1차원 배사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Flood Level Increasement due to the Channel Contraction for Sedimentation Reduc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낙동강하구둑의 퇴사저감을 위한 하폭축소 방법이 홍수위 상승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Nam-Il;Jang, Eun-Kyung;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7-161
    • /
    • 2011
  • 낙동강하구둑 접근수로에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유속감소로 인해 하구둑 근처에서 퇴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퇴적되는 유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하구둑 건설이후 매년 일정한 통수능 확보를 위해 준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준설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며,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적절한 퇴사저감방안 연구가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을 통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폭이 급격히 확대되어 유속 감소를 유발하고 유사 퇴적을 야기 시키는 하구둑 상류 2km에서 3km 지점의 하폭을 국부적으로 축소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퇴사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폭축소로 인하여 홍수발생시 상류의 홍수위가 기존 조건에서 보다 상승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폭축소 방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류의 홍수위 상승 위험성을 1차원 수치모형인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하폭축소 전 후의 수면곡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영역은 낙동강하구둑 상류 12km 구포대교 지점까지이며 하폭축소 구간은 낙동강하구둑 상류 2km에서 3km로 하도 우안 구간의 하폭을 10% 축소하였다. 입력 자료는 낙동강유역 종합치수계획에 명시된 빈도별 유량 및 낙동강하구둑 수위 조건을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30년, 50년, 80년, 200년 빈도별 유량과 수위를 적용한 경우 최대 수위상승이 0.02m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00년 빈도의 경우 0.03m의 최대 수위상승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resignation backgrounds of female workers leaving work after parental leave (육아휴직 후 퇴사한 여성의 퇴사과정과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방해하는 배경을 중심으로)

  • Seo, Jungmi;Kim, Suyo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7 no.4
    • /
    • pp.5-42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why some female workers come to decide to leave work after their taking parental leave and subsequently classifies their resignation backgrounds into four ideal types. The current debates on parental leave have mostly focused on clar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workers' usage of parental leave. But given that the final goal of parental leave is to help workers return to work after temporary rest for parenting, it is very important to inquire why some workers fail in reverting to their companies after parental leave.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8 female workers who leave work after parental leave, this study analyses and compares their previous work-family conditions, reasons for taking parental leave and withdrawing from work, and behavioral patterns after resignation. This article then typifies four ideal types of resignation backgrounds (i.e. penalty by company, evasion from work, decision by family, choice for family). At the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to diminish female workers' resignation after parental leave and to heighten their work-family balance.

Estimation of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Using Two Dimensional Model (2차원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퇴사량 예측)

  • Lee, Wonho;Kim, Jingeu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5
    • /
    • pp.21-27
    • /
    • 2008
  • The Sediment deposits in rivers and reservoirs are major components interfering with the useful function of the reservoirs, and clogging the inlet port at water intakes in rivers and erosion of pump impellers. Therefore, an accurate estimation method of sediment deposition is requisite to the efficient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orecast of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using two dimensional model (SMS) to UnMun reservoir in GyeongSangBukDo. The RUSLE model showed that reservoirs volume was decreased $2,084.09{\times}10^6m^3$ after 50 years and $2,196.65{\times}10^6m^3$ after 100 years, which is plan flood level elevation (EL.152.12 m) reservoir. The two dimensional model showed that reservoirs volume was decreased $2,227.41{\times}10^6m^3$ after 50 years and $2,121.47{\times}10^6m^3$ after 100 years, which is plan flood level elevation (EL.152.12 m) reservoir. The results of this application showed that the use of two dimensional model was very effective for the estimation sediment deposits throughout the reservo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