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거리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ystem-optimal route choice model based on Environmental cost using 3D Road Information (3차원 도로정보를 이용한 환경비용측면에서의 최적 노선 선택모형연구)

  • Chang, Yo-Han;Han, Dong-Yeob;Kim, Dae-Hy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35-336
    • /
    • 2008
  • 최근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의 보급으로 개인의 기-종점 간 통행시간에 많은 비용절감을 가져왔다. 지금까지의 주요 최단경로알고리즘은 네트워크의 기-종점(Origin-Destination) 거리 간 최단 통행시간을 고려하여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대두되는 고유가 시대의 진입과 더불어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기-종점 간 통행시간만을 고려하던 기존의 방법들에서 벗어나 추가적인 요인들의 고려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최단경로 탐색방법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D 좌표정보 도로를 활용하여, 도로구배 조건에 따른 배출가스의 증감율을 환경오염편익으로 구분하고, 이를 사회적비용으로 환산하여, 경로탐색의 추가적인 요소로 반영하였다.

  • PDF

A Theoretical Review on the Behavioral Analysis of Travel Mode Choice in the terms of Accessibility (접근성을 고려한 교통수단선택의 행태 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오은열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93-101
    • /
    • 1998
  • 오늘날 사회가 더욱더 복잡해지고 도시규모가 확대됨으로서 사람들의 의식과 행태로 사회,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계획의 대상이 다양화되어 지역적인 시각에서 국부적이고 단기적인 교통정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지표의 하나인 접근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통행거리에 따른 통행자의 교통수단선택이 어떻게 나타나고 분석되는 가를 도출,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하여 교통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교통수단에 대한 공급결정 및 교통시설에 대한 설치를 하는데 이들 수단이나 시설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전통적인 4단계 수요예측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데에는 한계가 도출되어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개별행태모형 중에서 로짓모형을 이용한 방법을 선택하고 적용 가능한 가를 문헌적으로 접근하여 기본이론을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hospital buildings (종합병원건물의 보행공간 접근성에 관한 연구)

  • 서경부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2-51
    • /
    • 1998
  • 안전한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보행 교통을 활성화시킨다면, 자동차의 사용이 줄게 되고 자동차의 유해한 배출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 및 소음 등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부의 미관 증대, 역사적 구역의 보존, 물리적인 도시 이미지 향상 등의 효과로 도심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보행통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안전하고 효율성 있는 보행동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종합병원과 같은 공공성을 띤 건물들은 대부분의 보행자가 보행동선을 이용하여 건물에 접근하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을 중심으로 동선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위주의 동선 체계는 보행 통행자로 하여금 차량통행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으로 차량과 보행자에게 동등하게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해야 하는 광주시의 4대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보행자 집단에게 가해지는 저항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심각하며, 그 원인은 어떠한 물리적 조건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알아 보았다. 보행저항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점의 수, 최단거리 선호도, 보행로 미확보율 등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 PDF

Traffic Noise Prediction Model (도로교통 소음예측을 위한 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Han-In;Yu, Wann;Kim, Yang-Kyun;Cha, Il-Wh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42-46
    • /
    • 1985
  • 자동차에 의해 발생되는 도로교통소음을 예측할 수 있는 기본모델을 개발하고저 한다. 이를 위 해 기존도로중에서 통행방법 등을 조사하고저 통행량, 속도등의 통행방법 및 측정거리가 조사되었고, 소 음평가량으로서 등가소음수준 Leq와 소음수준 중앙치 L\sub 50\도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 은 자료를 토대로 측정된 자료를 토대로 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개발된 모델을 동일한 조건에서 실측된 자료에 적용한 결과 정확도가 상당히 높았다. 다른 지역에서 이미 개발된 모델로서는 수학적인 모델과 통계적인 모델들이 있다. 이미 개발된 모델들과는 실측치와 예측치와의 오차의 제곱을 합계한 값으로서 비교했다.

  • PDF

New Traffic Measurement Using CCTV (CCTV를 활용한 새로운 교통량 측정)

  • Shin, Seong-Yoon;Kim, Chang-Ho;Lee, Hy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05-1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통행 시간의 측정 방법 중 하나인 CCTV를 활용한 주행 차량 조사법을 이용하여 교통량을 측정한다. 교통망의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는 주요 기준인 통행 시간과 지체 시간에 대하여 알아본다. 신호등 간격이 넓어서 연속적인 교통류 특성을 갖는 곳에서 측정을 하도록 한다. 반대편의 교통류가 충분히 식별 가능한 구간이어야 하고, 구간의 끝부분에서는 유턴이 가능해야 한다. 이 방법은 측정차량의 운전수만 있으면 CCTV와 프로그램이 알아서 측정하고, 시간, 거리, 교통량을 기록할 수 있는 장비도 필요 없다.

  • PDF

Ordered Probit Model Of Speed Selection Behavior (순서형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속도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 강경우;백병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3
    • /
    • pp.93-100
    • /
    • 1998
  • 지난 30여년간 운전자의 속도선택의 행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 나, 과거 대부분의 연구는 운전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제한속도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 정도 를 고려하지 않고, 다만 운전자의 속도선택과 도로 및 차량간의 상호 관련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운전자, 차량 및 통행특성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속도 선택에 대 한 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의 속도 자료와 설문자료를 조사한 수, 두 가지 자료를 범주형 자료로 구분하여 Ordered Probit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 i) 고소득의 남성운전자가 고속의 주행 행태를 보였으며,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일 수록 높은 속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i) 차량에 관해서는 배기량이 높은 차량일수 록 고속의 속도를 나타낸 반면에 안전장치가 많은 차량의 경우에는 저속의 주행속도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iii) 통행 특성 면에서는 일일통행거리가 중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iv) 운전자의 심리적 측면에서는 운전자가 인식하고 있는 제한 속도가 또한 중요변수로 분 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rip Generation Models for Shared E-Scooter by Service Areas Clustered by Level of Trip Density (서비스 구역 수준별 공유 전동킥보드 통행발생모형 개발)

  • Tai-jin Song;Kyuhyuk Kim;Changhun L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124-140
    • /
    • 2023
  • The rapid growth in shared E-scooters worldwide has led to many studies on the topic.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rips are being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rip-generation models is very important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a new transportation mode for developing the models for shared E-scooters is lacking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rip generation model for shared E-scooters using significant variables by thoroughl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trip characteristics of major service areas and other areas may differ owing to the trip characteristics of the mode. The trip generat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ervice trip density by dividing the areas by service level. The factors affecting shared E-scooter trips in major service areas included the presence of universities, closeness centrality, and cultural areas, while factors affecting the trips in minor service areas included the presence of universities, betweenness centrality, and trip distance. The developed models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transport policies for introducing shared E-scooters in cities in the future.

Accessibility Changes in the Metropolitan Seoul Subway System: Time-distance Algorithms based on the T-card Big Data and an Accessibility Measurement Model for Un-fixed Transportation Networks (수도권 광역철도망 확충에 따른 서울 대도시권 접근도 변화: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시간거리 산출 알고리즘 및 비고정성 교통망 접근도 산출 모형의 개발과 적용)

  • Lee, Keumsook;Park, Jong Soo;Jeong, Mi S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98-11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ccessibility of the Metropolitan Seoul Transit systems since 2000, in which many new subway lines have been constructed as well as other urban transit lines have been connected to the systems. We suggest an accessibility measure model for Un-fixed Transportation Networks. In order to measure the nodal accessibility based on the mobility, we apply path-distance, physical-distance, and time-distance as the distance impedance measurement. Specifically, we develop time-distance algorithms to measure the time-distance between each pairs of transit stations based on the T-card transaction databases. We apply the model to the Metropolitan Seoul Transit systems in two time points(2005 and 2011). We examine the results in terms of three distance accessibility measures. Time-distance accessibility explains better the urban land use pattern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than the other two. We visualize the spatial patterns of time-distance accessibility by applying GIS, and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s of accessibility in the Metrropolitan Seoul area between two time points.

  • PDF

Estimating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s in Seoul Considering Intermediate Stops (경유지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통행발생량 추정 모형 개발)

  • Jonghan Park;Joonho K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3
    • /
    • pp.1-19
    • /
    • 2023
  • Bikes have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arbon neutrality.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public bikes, we endeavored to estimate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 by considering the intermediate stops. Using the GPS trajectory data of 'Ttareungyi', a public bike service in Seoul, we identified a stay point and estimated travel frequency reflecting population, land us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pplication of map matching and a stay point detection algorithm revealed that stay point appeared in about 12.1% of the total trips. Compared to a trip without stay point, the trip with stay point has a longer average travel distance and travel time and a higher occurrence rate during off-peak hours. According to visualization analysis, the stay points are mainly found in parks, leisure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To consider the stay point, the unit of analysis was set as a hexagonal grid rather than the existing rental station base. Travel frequency considering the stay point were analyzed using the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model. Results of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vel frequency were higher in bike infrastructure where the safety of bike users was secured, such as 'Bikepath' and 'Bike and pedestrian path'. Also, public bikes play a role as first & last mile mean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e measure of travel frequency was also observed to increase in life and employment center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curing safety facilities and space for users should be given priority when planning any additional expansion of bike infrastructure.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plan to supply bike infrastructure facilities linked to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the subway.

Location of Large Scale Discount Store and Differences of Accessibility to Daily Shopping Places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일상적 쇼핑장소로의 접근성 차이)

  • 정은혜;노시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85-598
    • /
    • 2000
  • 본 연구를 통하여 대형할인점 이용자, 재래시장 이용자, 그리고 수퍼마켓 이용자들의 각 쇼핑장소를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공간적 분포 및 쇼핑패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 세종류의 쇼핑장소 이용자들간의 각 쇼핑장소들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분포의 공간적 패턴 및 쇼핑통행 패턴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형할인점을 이용자를 제외한 재래시장 이용자와 슈퍼마켓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용하기를 원하는 대형할인점의 이용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행거리, 운전면허 미소지, 자가용 승용차 미보유 등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을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 요인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이 주민들의 일상적인 쇼핑장소의 역할을 할 때와는 달리 대형할인점의 등장은 이곳으로의 주민들의 접근능력의 차이에 따라 주민들간 일상적 소비장소의 차별화가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최근 대형할인점의 입지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신체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에 제한을 받는 주민들의 일상적 소비공간은 더욱 위축되고 고립될 가능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