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항법시스템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ever Arm Error Compensation of GPS/INS Integrated Navigation by Velocity Measurements (속도 측정치를 활용한 GPS/INS 통합 항법의 Lever arm 오차 보상)

  • Park, Je Doo;Kim, Minwoo;Kim, Hee Sung;Lee, Je Young;Lee, Hyung 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1 no.6
    • /
    • pp.481-487
    • /
    • 2013
  • I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GPS antennas and an inertial measurement units are usually installed outside and insid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By the difference of installed locations, performance of GP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is affected by lever arm errors. For more accurate navigation, lever arm errors need to be compensated correctly since it directly affects the accuracy of navigation states.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lever arm error compensation method that utilizes velocity measurements of GPS and INS. By an experiment,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It is also shown that lever arm compensation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vehicles are experiencing rotational movements.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imulation system for the target correction (표적 수정이 가능한 사용자 개입 통합 관리 모의 시스템 개발)

  • Park, Woosung;Oh, TaeWon;Park, TaeHyun;Lee, YongWon;Kim, Kibum;Kwon, Ki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7
    • /
    • pp.600-609
    • /
    • 2017
  • We designed a target management integration system that enables us to select the final target manually or automatically from seeker's sensor image. The integrated system was developed separately for the air vehicle system and the ground system. The air vehicle system simulates the motion dynamics and the sensor image of the air vehicle, and the ground system is composed of the target template image module and the ground control center module. The flight maneuver of the air vehicle is based on pseudo 6-degree of freedom motion equation and the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The sensor image module was developed using the known infrared(IR) image rendering method, and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ndered image to that of a commercial software. The ground control center module includes an user interface that can display as much information to meet user needs. Finally, we verified the integrated system with simulated impact target mission of the air vehicle, by confirming the final target change and the shot down result of the user's intervention.

Application of Software Quality Model and Metric for Software Product Assurance for KASS Control Station (KASS 통합운영국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 및 메트릭 적용방안)

  • Kim, Youn-sil;Lee, Eun-su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4 no.1
    • /
    • pp.28-36
    • /
    • 2020
  •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 is the Korean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develop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since 2014. Since KASS is the safety critical system that can affect to the safety of airplane, the software of KASS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O178B software level induced from safety analysis. In case of KASS control station (KCS), most of the software of KCS get assigned software level E in DO178B. In that case, ECSS-Q-ST-80C category D is assigned as a software product assurance standard. In this paper, the software related standard ECSS-E-ST-40C, ECSS-Q-HB-80-04A are analyzed to satisfy ECSS-Q-ST-80C and as a result the software product assurance activities regarding software life cycle and the software quality model, metric is proposed for the product assurance of the KCS software.

The Scheme for Supplement of INS's Cumulative Error through the DSRC Communication for Vehicle Relative Positioning System (이웃 차량 위치인지 시스템에서 DSRC 신호를 통해 INS의 누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안)

  • Han, Sun-Hee;Lim, Hun-Jung;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691-694
    • /
    • 2011
  •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관성 항법 시스템(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이 있다. INS는 차량의 최초 위치를 입력해야한다는 점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가 누적된다는 점 때문에 GPS와 INS가 상호보완적인요소로 통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로부터 얻는 위치 정보는 정확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톨게이트와 전광판을 활용하여 초기의 위치 값을 얻고, 누적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재 초기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고속도로상의 톨게이트와 전광판에는 모두 DSRC(Dedicate Short Range Communication) 시스템을 통해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INS의 최초 위치 입력이 필요한 문제와 누적오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안 방식을 통해 INS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좀 더 정확한 위치를 인식 할 수 있어 차량 간 통신(V2V, Vehicle-to-Vehicle)기반의 이웃 차량 위치인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Total System Error Analysis for Corridor derivation of Hybrid VTOL through Flight Test (비행시험을 통한 복합형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의 회랑 산출을 위한 통합시스템오차 분석)

  • Jeong-min Kim;Song-geun Eom;Jeong-hwan Oh;Dong-jin Lee;Do-yoon Kim;Sang-hyuck Ha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6 no.6
    • /
    • pp.448-455
    • /
    • 2022
  • In this study, when establishing a UTM(UAS Traffic Management) system, a corridor must be set to separate the flight distance between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the size of the corridor wa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SE(Total System Error). The flight data of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turning section were collected using a hybri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 The flight data were derived from the TSE using the SQSM(Scalar Quantity Summation Method) method, and the impact on the straight and turning sections was analyzed by calculating in detail by NSE(Navigation System Error) and FTE(Flight Technical Error). The corridor size was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TSE analysis results and PBN (Performance-based Navigation) manual.

Development of Auto-Parking Algorithm for Driving in Urban (무인차량의 자동주차 알고리즘 개발)

  • Cho, Kyoung-Hwan;Chung, Jin-W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5
    • /
    • pp.2360-2366
    • /
    • 2011
  • The Unmanned Ground Vehicle is comprised of four systems of obstacle detection: The navigation system, vehicle controlling system, obstacle detecting and an integration system that use the various sensors. The research introduced utilizes 6 lasers to recognize obstacles. The system operates an avoidance system within the unmanned ground vehicle, using six lasers. The Unmanned Ground Vehicle's parallel parking and right angle parking is in development using algorithms. This algorithms' certification is intended to be installed in the encoder, in the GPS. By using the Laser Scannerfor the position's calculation, errors are both reduced and minimized, so the tire's slip minimized to the point where the vehicle had a limit of about 5Km/h.

Precise positioning and error analysis method using GPS and GLONASS (GPS와 GLONASS를 동시에 이용하는 정밀 측위 및 오차해석)

  • Park, Chan-Sik;Song, Ha-P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5
    • /
    • pp.74-83
    • /
    • 2004
  • The carrier phase measurements from GPS and GLONAS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have to be processed with different methods to provide precise positions or attitudes. In this contribution, at first, a measurement model is derived which can be used to not only GLONASS only applications but also both GPS and GLONASS applications. And then an error analysis of the proposed method performed using the derived model to derive analytic relationships between GDOP, PDOP and RGDOP. Finally, an integer ambiguity resolution method which was used in GPS is expanded to GPS and GLONASS. The proposed results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design and analysis of GLONASS receiver and application program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ethod can also be effectively applied to combine the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measurements from the future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such as GPS modernization, Galileo and QZSS.

The Development of Post-Processing GPS(L1)/Galileo(E1/E5a) Software Receiving Platform using MATLAB (GPS(L1)/Galileo(E1/E5a) 다중 신호 통합 수신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 Jeon, Sang-Hoon;So, Hyoung-Min;Lee, Taek-Jin;Kim, Ghang-Ho;Jeon, Seung-Il;Kim, Jong-Won;Kee, Chang-Don;Cho, Young-Su;Choi, Wan-Sik;Lee, Sang-Uk;Kim, Jae-Ho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3 no.3
    • /
    • pp.311-318
    • /
    • 2009
  • This paper shows the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 of software receiving platform processing GPS/Galileo L1/E1/E5a signal. Various researches for new GNSS signal character are possible using software receiving platform by facile program code modification. In addition, the program that processes GPS and Galileo signal integration is expected to help developing integration of receiver algorithm that deal with new various GNSS signal. In this paper, it is introduced the structure of GPS/Galileo receiving platform using sampled IF data as a program input. The function of the software platform embodied using MATLAB tool is tested by live data from Galileo test satellites. The software platform is modulated according to their roll and function. Each module is able to use selective function on GNSS signal.

  • PDF

e-Navigation 관련 산업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 Choe, Han-Gyu;Gang, Byeong-Jae
    • 선박안전기술공단연구보고서
    • /
    • s.4
    • /
    • pp.1-108
    • /
    • 2007
  • 2007. 7. 23 IMO의 NAV(항해안전전문위원회)53차 회의에서는 e-Navigation을 해상에서의 안전,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전자적인 수단에 의해 선박과 육상에서 해양정보를 수집, 교환, 표시함으로써 항구와 항구간의 항해 및 관련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005년 11월 영국의 교통부 장관 Stephen 박사는 Royal Institute ofNavigation에서의 연설에서 해상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하여 선박의 항해를 감시하는 관제소 및 항행하는 선박에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첨단 기술에 의해 자동화된 항공 항법분야를 예로들면서, 선박의 항법 분야도 항해와 관련된 모든 시설 및 작업을 전자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개념인 e-Navigation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영국은 이에 필요한 작업을 주도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Stephen은 e-Navigation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으로 첫째, 항해 실수로 인한 사고 확률저감, 둘째,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및 피해 확산을 위한 효율적 대응, 셋째, 전통적인항해시설 설치 불필요로 인한 비용 저감, 넷째 선박입출항 수속의 간편화 및항로의 효율적 운용으로 인한 상업적 이익 등을 들었다. 반면에e-Navigation 체계로 전환 시 예상되는 장애로는 첫째, 체계 구축을 위한 비용(특히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우 어려움 예상), 둘째, e-Navigation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세계 전 해역의 모든 선박이 e-Navigation 체계에 동참하도록유도하는 문제, 셋째, 전자해도 표시 및 선교 장비들에 대한 표준화 문제, 넷째, 육상에 설치할 e-Navigation 센터의 설계 및 구축 등을 꼽았다.IMO는 2005년 81차 MSC(해사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영국이 일본, 마샬아일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미국과 공동으로 제안한 ‘e-Navigation전략 개발’ 의제를 2006년 82차 MSC 회의에서 채택하고, NAV(항해 전문위원회)를 통하여 2008년까지 e-Navigation의 구체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개발하여야 할 전략적 비전과 정책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영국을 의장으로 e-Navigation 전략개발 통신작업반이 구성되었는데, 지난 년간 19개국, 16개 전문기관이 참여하여 아래의 작업이 수행되었다. ○ e-Navigation 개념의 정의와 목적 ○ e-Navigation에 대한 핵심 이슈 및 우선 순위 식별 ○ e-Navigation 개발에 따른 이점과 단점의 식별 ○ IMO 및 회원국 등의 역할 식별 ○ 이행계획을 포함한 추가 개발을 위한 작업계획의 작성 IMO에서 수행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 개발 의제 일정은 2008년까지이다. 이 전략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e-Navigation이 포함할 서비스범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인프라 및 장비의 식별, 인프라 구축및 운용비용을 부담할 주체에 대한 논의, e-Navigation으로 인한 이익과 투자비용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선주, 항만운영자, 선원등의 입장 차이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수준 차이는 전략 개발에있어 큰 어려움을 줄 것이므로, 이들이 합의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정된 기간보다 다소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e-Navigation 전략 개발이 완료되면 1단계로는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선박선교 장비, 무선 통신장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국 간에 자국 보유 기술을 표준화시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에서는 e-Navigation 체계 하에서의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전망되는데, 이는 지난 10년간 육상에서 인터넷망 설치 후 이루어진 관련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돌아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e-Navigation 체계 하에서 선박의 항해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입출항 시 요구되던 복잡한 절차는one-stop 쇼핑 형태로 단순화되고, 현재 선박 중심의 항해에서 육상e-Navigation 센터가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항해 체계로 바뀔 것이며, 해상정보의 공유와 활용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것이 다.e-Navigation의 잠재적 시장 규모는 선박에 새로이 탑재될 지능형 통합 항법시스템 구축과 육상 모니터링 및 지원 시스템 등 직접 시장이 약 50조원,전자해도, 통신장비, 관련 서비스 컨텐츠 등 간접 시장의 규모가 150조원으로 총 200조원으로 대략 추산하고 있다. 향후 이 거대한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항해 장비 관련 산업은 선진국의일부 업체들에 의해 독점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조선과 해운에서 모두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다. e-Navigation체계 하에서는 전체 시장이 커지고 장비의 사양이 표준화됨에 따라 어느 소수 업체가 현재처럼 독점하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e-Navigation은 우리나라도 항해 장비 분야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 1위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다른 나라보다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분야의 시장은 IT 기술과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IT 강국인 우리나라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EU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e-Navigation 에 대비한 연구를10여년 전부터 수행해 왔다. 앞에서 언급한 EU의 MarNIS 사업은 현재 거의마무리 단계로 당장 실용화 할 수 있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늦었지만 우리도 이를 따라잡기 위한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e-Navigation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2006년에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로 작업반을 구성하여 워크숍 등을 개최한 바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도e-Navigation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기획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항해통신장비들의 기술기준은 ITU의 전파규칙(RR)과 IMO결의 및 SOLAS 협약을 따르고 있는데 이들 규약이나 결의에 대한 국제적인 추이와 비교할 때 국내의 기술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 sytem중 표준화가 필요한 요소와 전자해도,AIS 등 e-Navigation(통합전자항법시스템)관련 국내산업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e-Navigation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PDF

Interoperability Analysis of GPS and Galileo on Time (GPS와 Galileo 시각의 상호운용성 분석)

  • Shin, Mi-Young;Song, Se-Phil;Ko, Jae-Young;Yang, Sung-Hoon;Lee, Sang-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10
    • /
    • pp.979-984
    • /
    • 2010
  • The users who use a combined GPS/Galileo receiver will benefit from an improved availability of the combined system and a reduced dependence on one particular positioning system. However, these users must solve the problem of an offset between the time scales of GPS and Galileo (GGTO). GGTO must be analyzed for not only a navigation system but also a timing system requesting precise time service.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operability problem in a combined GPS/Galileo timing receiver and estimates the timing performance under various assumptions. The GPS real measurements were collected by using the commercial timing receiver from Ashtech Ltd. and the Galileo measurements were generated by a simulation software. A suitable test scenario set-up and the performance in a point of timing stability was evalu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