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능력프레임워크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1초

국제입찰정보 통합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Integr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Proc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 윤종완;이종우;박찬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1호
    • /
    • pp.71-81
    • /
    • 2002
  • 현존하는 상업용 웹 정보검색 시스템들이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검색된 분야별 정보를 통합하고 가공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 검색이 아닌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웹상의 의미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통합하는 정보통합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이질의 웹사이트들에서 제공되는 특정분야의 정보를 추출 및 통합하는 정보통합시스템(TIC: Target Information collector)을 구현하고, 구현된 시스템의 평가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설정한 정보 영역은 국제입찰정보이다. 국제입찰정보는 전 세계 국가의 정부에서 필요로 하는 조달물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공개 입찰자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의 국제입찰 정보 제공 원천 사이트에서 공통 특성 정보를 자동 추출하기 위해 HTML 태그간 패턴을 사용한 정보위치지정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정보추출 및 통합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해 큰 부담 없이 모든 원천사이트별 정보추출 및 통합 코드를 작성할 수 있었다. 또한, 구현된 TIC을 약 8개월 동안 운영한 결과 매우 단순한 기법을 사용하고도 거의 대부분의 중복정보가 제거된 고품질의 국제입찰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이 기여하는 바는 특정 범주에 속하는 공통정보를 추출 및 통합/가공하는 데에 필요한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는 점이다.

P2P기반 협업 프레임워크: 오픈웨어 (P2P-based Collaboration Framework: Openwar)

  • 송진수;박충식;김윤상;권순범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453-460
    • /
    • 2005
  • P2P(Peer to Peer) 기술은 잠재적 능력에도 불구하고 컨텐츠의 저작권문제와 보안문제 등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자(개인)와 소규모 서버를 운영하는 조직들이 정보 제공, 분배, 공유의 정보시스템 구조를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인 오픈웨어 (Openware)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오픈웨어는 P2P기반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올 갖는다. 1) 다수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집중형 혹은 분산형 구조를 자유롭게 혼합하여 정보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구조의 유연성은 다양한 형태의 협업(개인과 개인, 개인과 그룹, 그룹과 그룹)이 요구되는 응용 시스템의 기반을 제공한다. 2) 데이터 관점에서 오픈웨어는 개인이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생성, 관리 할 수 있고, 자신의, 데이터 혹은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다른 사람이나 그룹과 공유 하거나 통합 할 수 있다. 3) 데이터 통신면에서 오픈웨어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만을 사용하는 웹 기반 시스템으로 인터넷에 연결 되어있는 누구와도 오픈웨어를 통해 협업이 가능하다. 4) 소프트웨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픈웨어는 Java, JSP, Apache, Resin등 공개소프트어로 만들어져 있고, 오픈웨어 자체도 공개소프트웨어이다. 오픈웨어는 개인과 그룹의 흠페이지 생성과 관리, 파일 공유 기능이 구현 되어있고, 데이터베이스 공유, 통합 기능을 이용하여 개인이나 그룹의 주소록관리, 일정관리 등이 가능하다. 오픈웨어는 사용자 흑은 개발자가 다양한 형태의 응용컴포넌트를 자유롭게 등록하여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는 확장성올 제공하고 있어서, 앞으로 e-메일, 매신저, 전자결재, 지식관리시스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기반 구조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오픈웨어에 적용하기 위한 P2P 기반의 지능형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에 관한 연구와 X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기반 웹인터페이스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이동 백홀 네트워크에서 QoS 기능 (QoS Functions in Mobile Backhaul Network)

  • 박천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1-105
    • /
    • 2013
  • 본 논문은 셀 사이트에서 다양한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이동 백홀 네트워크에서 QoS 기능에 관한 것이다. RAN 시스템의 스위칭 기능에 할당된, 이더넷 프레임, IP 패킷, 그리고 ATM 셀과 같은 트래픽은 세그먼트된 후 이동백홀 네트워크로 전달되기 전에 캡슐화 된다. ISP는 표준의 pseudowire 캡슐화를 통하여 all IP RAN 상에 음성 및 HSPA와 같은 모든 세대의 트래픽을 통합할 수 있다. 이것들은 다양한 QoS 방법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모니터링 및 진단 능력을 통하여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동작상에서 QoS 기능들이 서로 다른 갭슐 방법에 따라 시뮬레이션 되었다.

유무선 통합망에서의 SDN 기반 미들박스 관리 프레임워크 (SDN-Based Middlebox Management Framework in Integrated Wired and Wireless Networks)

  • 이기원;장인선;김원태;주석진;김명수;백상헌;강철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6호
    • /
    • pp.379-386
    • /
    • 2014
  • 최근 네트워크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많은 수의 미들박스를 동적으로 유연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들박스 설정이 사업자의 정책과 다르게 잘못 설정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미들박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미들박스 관리의 어려움은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중앙 집중화된 컨트롤러 구조와 유연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동적으로 미들박스 정책을 적용하고, 데이터/컨트롤 평면의 분리를 통해 기존 미들박스 구조는 그대로 유지한 채 새로운 컨트롤 평면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드와 분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NFV :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술을 통해 보다 유연하게 미들박스를 관리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이 통합된 네트워크에서 SDN 기반의 미들박스 관리 기법과 클라우드 기반의 미들박스 관리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연구 이슈에 대해서 살펴본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의 역할에 기반한 접근제어 프레임워크 설계 및 안전성 평가 (Design and Safety Analysis of a Role-Based Access Control Framework for Mobile Agents in Home Network Environments)

  • 정용우;고광선;김구수;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6호
    • /
    • pp.537-544
    • /
    • 2007
  • 홈 네트워크 환경은 가정내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네트워크로 통합한 최첨단 생활환경으로써, 이동 에이전트는 이러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새로운 컴퓨팅 요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동 에이전트의 이동성과 비동기적 수행능력은 가정내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해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 에이전트를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동 에이전트에 대한 접근제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홈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접근제어를 수행한다. 홈 서버는 디지털 기기와 사용자의 권한을 명시하는 접근제어 목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로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한 접근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홈 서버는 디지털 기기와 사용자의 권한 간의 최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접근제어 목록을 갱신하는 추가적인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의 역할에 기반한 접근제어 프레임워크(Secure-KAgent)를 보인다. 본 프레임워크는 Role-Based Access Control(RBAC)을 기초한 접근 권한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롤 티켓(Role ticket)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에이전트에게 안전한 역할 분배를 보장한다.

초등학교 교과통합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in Program Development of Course Incorporated Education by Utilizing Robots in Elementary Schools)

  • 박정호;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5-44
    • /
    • 2010
  • 로봇은 지식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등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 신장의 효과적인 도구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해외의 로봇교육이 교과 학습에 통합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의 경우는 조립, 주행, 프로그래밍 등 로봇 자체에 관한 교육 수준에 머물러 있다. 로봇은 본질적으로 설계 및 조립, 조작, 문제해결 등이 결합된 교구로서 실제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교과학습과 접목이 된다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로봇교육 사례 비교, 로봇 메카니즘, 제7차 교육과정 및 재량활동 분석을 기초로 교과통합 로봇활용교육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기초로 학년별, 교과별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적절성, 현실성, 유용성 세 측면의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 PDF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XML기반의 단일인증 설계

  • 손민우;정종일;신동일;신동규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5-24
    • /
    • 2007
  • 모바일 및 웹 어플리케이션의 통합으로 인해 모바일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의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관리해야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한 상황은 다양한 종류의 개인장비, 무선 센서, 서버, 서비스 그리고 댁내에서 네트워크화 된 기기들로 구성된 흠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홈 워킹 그룹 (DHWG: Digital Home Working Group)은 보안 강화를 위해 사용자와 기기에 대한 호환성 있는 인증 및 인가 메커니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준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인터넷, 인트라넷 그리고 댁내에 분산된 자원들을 사용하기 위해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 및 인가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이는 보안 관리와 시스템성능 측면에서는 커다란 부담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XML기반의 단일인증기술 표준인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을 이용한 단일인증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에서 모바일과 홈 기기간에 서로 다른 개체의 인증 및 인가 프로파일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분산 환경에서의 보안 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아키텍처에서는 고도의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보안정보의 전자서명 및 암복호 작업을 유선환경에 구성된 고성능의 기기로 전가하고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인증을 검증할 수 있는 작은 문자열 형태의 artifact를 보유하고 이를 사용자의 인증에 이용함으로써 낮은 컴퓨팅 능력과 기억용량의 한계 같은 모바일 기기의 성능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기업 고유환경기반 실제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모델 확장 (Expanding SPI Model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based on Industry Characteristics)

  • 김강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3호
    • /
    • pp.267-276
    • /
    • 2006
  • 소프트웨어 개발 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로써 IS 15504(SPICE) 및 CMMI 등은 이미 검증된 모델이다. 하지만 이들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들이 기업의 개발능력 및 효율을 높여주는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기업 내에서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위의 모델들을 기반으로 제품이나 기술 도메인, 사업 및 조직의 규모 등 기업환경이 고려된 기업 고유의 모델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수년 간의 지속적인 적용 및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SPI(Software Process Improvement) 모델을 확장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과 환경에 부합하도록 조직차원의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를 소개한다. 기존의 SPI 모델이 프로세스 각 분야에 대한 정의와 성숙도를 판단하기 위한 능력 수준을 정의한 것에 비해 본 논문에서는 그 영역을 핵심기술 및 조직구조까지 확대하고, 능력 수준을 일반적인 프로세스 능력 수준이 아닌 조직에서의 모델의 확산도로 확장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된 모델을 정의하여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기업에서 확장된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을 이용하여 조직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사례로 유사 영역에서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 연구에 대한 기업의 피드백으로의 기여가 있을 것이다.

사용자 제어 기반 다중 도메인 접근 제어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User-Centric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UCICOIn) framework)

  • 홍성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2호
    • /
    • pp.37-43
    • /
    • 2023
  • 현대의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협업과 상호 운용성이 조직의 성공과 수익성에 있어 중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조직 간의 작업 통합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IAM)의 역할과 정책의 차이로 인해 많은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다. 사용자 중심의 신원 (UCI)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분산 액세스 솔루션을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조직 간의 IAM 역할 및 프로토콜의 충돌 속에서 자원 액세스를 간소화하는 UCI의 능력을 깊게 조사한다. 이 연구는 UCI 기반의 다중 도메인 액세스 제어 (MDAC)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이는 온톨로지, 도메인 간의 액세스 역할 및 정책을 표현하기 위한 통합된 방법, 그리고 UCI 인프라와 통합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포함한다. 목표는 다양한 도메인에서의 액세스 역할 및 정책 관리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조직의 자원 관리와 의사 결정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투자 수익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ATM/Internet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TM/Internet Gateway System for Real Time Multimedia Service)

  • 한태만;정유현;김동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6호
    • /
    • pp.799-806
    • /
    • 2004
  • 근래에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어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통신능력이나 처리 및 저장능력, 화면표시 능력 등 여러 가지 제약을 가진 클라이언트 장치들로서는 방대한 양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쉽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측면에서도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의 통합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술의 목표를 수정하게 되어 네트워크가 다양한 서비스의 종합 제공 능력과 각 서비스에 필요한 QoS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ATM망과 인터넷 사이에 중단없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EAGIS(Efficient ATM Gateway for real time Internet Service)를 개발하게 되었다. EAGIS는 연동장치, 콘텐츠 서버, 트랜스코딩 서버, 서비스 브로커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EAGIS의 구조 설계와 트랜스코딩 서비스 제공 방식을 설계하였다. RTP(Real Time Protocol)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은 RTCP(Real Time Control Protocol)의 시각-소인(time-stamp)에 의하여 트랜스코딩 시간을 설정하며, HTTP를 이용한 단방향 통신은 셀프타이며(self-timer)를 이용한다. 이러한 기준 시간을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 부하와 프레임 전송률에 의한 표준화된 트랜스코딩 방법을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다중 사용자 유효 대역폭 확보 알고리즘을 통한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