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기관제어체계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ment of Interlocking Signal Simulator for Verification of Naval Warship Engineering Control Logics (함정 통합기관제어체계의 제어로직 검증을 위한 연동신호 시뮬레이터 개발)

  • Lee, Hunseok;Son, Nayoung;Shim, Jaesoon;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8
    • /
    • pp.1103-1109
    • /
    • 2021
  • ECS is a control device so that the warship can perform the mission stably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entire propulsion system. As the recent provisions of the warship, it's propelling system is complicated than past, as the demand performance and mission of the warships are diverse. In accordance with the complicated propulsion system configuration, the demand for automatic control function of the ECS is increasing for convenient and stable propulsion system control for convenient and stable. As a result, verification of ECS stability and reliability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terlocking signal simulator for verifying ECS control logic and communication protocol for warship with CODLOG propulsion systems. The simulator developed was implemented to simulate a signal of gas turbine, propulsion motors, diesel generator and 11 kinds of auxiliary equipment. The reliability of ECS was verified through the ECS communication program and the I/O signal static test with the simulator.

Introduction of System Integration Technologies about Electric Propulsion ship (전기 추진선 체계통합기술 소개)

  • Kang, Ho-Keun;Kang, Jae-Sung;Ryu, Seung-Nam;Kang, Hui-Jin;Lee, Ji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7-320
    • /
    • 2011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때문에 근래에 선박에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전전기 스마트선은 전기 추진체계를 포함한 선박 내 모든 전력계통 구성품의 관련 요소들을 선박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운영 되어지는 신개념의 선박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전기선 체계통합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인데, 이는 선박의 추진 및 전력, 기관제어계통 등 전체 시스템에 대한 획득 및 수명주기 비용 절감을 위한 통합 관리 체계를 목적으로 한다. 전기추진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박 내에 모든 전력 구성품의 통합 적인 이해가 필요 하며, 이를 위해서 전력제어, 전력배전, 통합 최적화를 위한 개념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체계통합기술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데에 있다.

  • PDF

Feasibility Study of Developing Ship Engineering Control System based on DDS Middle-ware (DDS 미들웨어 기반의 선박 통합기관감시제어체계 개발 가능성 연구)

  • Seongwon 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6
    • /
    • pp.653-658
    • /
    • 2023
  • In systems like the combat management system of a naval ship or smart city of civilians, where many sensors and actuators are connected, the middle-ware DDS (Data Distribution Service) is mainly used to transmit large amounts of data. It is scalable and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increase in sensors or equipment connected to the system in the future. The engineering control system (EC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similar to the combat management system of a naval ship, still uses Server-Client model with industrial protocols such as Modbus and CAN (Controller Area Network) bus, to transmit data, which is unfavorable in terms of scalability. However, as automation and unmanned systems advance, more sensors and actuators are expected to be added, necessitating substantial program modification. DDS can effectively address such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a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a ship by using OpenDDS, which follows the OMG (Object Management Group) standard among the middle-ware DDS used in the combat management system. To achieve this goal, field equipment simulators and an ECS server were configured to perform field equipment data input/output and simulation using DDS was performed. The ECS prototype successfully handled data transmission, confirming that DDS is capable of serving as the middle-ware for the ECS of a ship.

A Study of the XML-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the public organization (공공기관을 위한 XML기반의 접근제어 모델에 관한 연구)

  • Jeong, Sung-Woo;Park, Jae-Won;Kang, Cheol-Oh;Won, Jong-Jin;Lee, Nam-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229-1232
    • /
    • 2005
  • 국내 공공기관에서는 사이버 행정환경의 기밀성, 무결성, 신원확인, 부인방지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GPKI: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의 구축과 함께 모든 문서를 XML형태로 표준화하여 공공기관간의 문서를 통합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에서 사용하는 공개키기반(PKI)을 연동한 인증체계는 단순한 사용자 인증만을 제공하여, 공공기관의 응용업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용자의 직위, 직무, 역할정보 등의 관리가 어려우며 XML형태의 공공문서에 대한 상세한 접근제어를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인증 및 접근제어 시스템의 가상시나리오를 통하여 보안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한 후에 이를 근거로 공공기관의 보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기술인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와 XACML(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을 연동한 접근제어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On-Board Training System Software for Naval Ship Engineering Control System

  • Kwak, Se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9
    • /
    • pp.97-104
    • /
    • 2021
  • Since 1993, Successfully localized naval combat System has made steady development o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ships. On the other hand, Engineering Control System(ECS) is dependent on foreign companies. Therefore, there is a lot of interest and research in the localization of ECS in the navy defense industry. As one of various studies, a preliminary study of domestic ECS software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naval ships is in progress. This paper propose Ecs Obts Scalable Platform(EOSPA) as the standard architecture of ECS On-Board Training System(OBTS) software by applying object-oriented programming and standardization. And this introduces EOSPA's structure, function, and features of each component. Furthermore, high reusability and maintainability are expected in the development of ECS OBTS software applying EOSPA in various naval ships.

첨단 자동차 연구개발의 기술 동향

  • Yun, Bok-Jung;Kim, Jeong-Ha
    • ICROS
    • /
    • v.18 no.2
    • /
    • pp.21-29
    • /
    • 2012
  • 최근 자동차 연구개발에 있어 내연기관을 대체하는 친환경 자동차기술과 더불어 무인자동차, 자율주행기술이 많은 부분에서 시도되고 실현되어가고 있다. 지능형 자동차라는 개념에서 적용되었던 운전자안전보조시스템, 편의지원과 사고경감 시스템 등이 하나로 통합되어 무인자동차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또 차량에 고가의 센서를 장착하여 주변환경이나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에서 IT 융합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기술 (V2I, V2V, V2N & V2X)을 접목시키는 방안을 통하여 개개의 차량은 물론 교통체계의 전체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차량기술은 새로운 교통문화(차량공유시스템, 군집주행)의 개발과 또다른 교통체계의 연구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A Study 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Researcher Identifiers based on the ISNI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를 중심으로 한 연구자 식별자의 통합관리체계 연구)

  • Byeon, Hoi-Kyun;Oh, Bok-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3
    • /
    • pp.139-155
    • /
    • 2018
  • This study propose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odel of researcher identifiers using the ISNI(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that can prevent duplicate issuance of identifiers and can be used to reorganize the authors' information. We looked at the metadata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ISNI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among identifiers. And we have designed the integrated ID system and system model that can manage the identifiers issued by each institute based on the ISNI. This model consists of data structure layer, platform layer, application layer, management and security layer (4 layers) and we have presented some of the key features and issues to consider when managing the integrations.

Study for the Integrations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배전자동화시스템과 자동 원격검침시스템과의 연계방안 연구)

  • Han, Jin-Hee;Yoon, Tai-Wook;Choe, Jong-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b
    • /
    • pp.201-203
    • /
    • 2001
  • 전력에서 설치 운영되는 설비나 장치들을 감시, 제어하는 시스템은 산업 현장이나 기관에서 개발 운영하고 있다. 배전계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배전선로에 설치된 개폐기나 리클로져 등을 감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시스템 배전반 등을 감시하는 전력감시 제어시스템 발전소나 대규모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이나 계량정보 등을 검침하는 원격검침시스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배전자동화시스템과 원격검침시스템을 연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배전계통 운영을 수행하고 나아가 그 기반 시스템에 또 다른 수용가 정보 시스템 또는 배전정보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통합 배전정보 관리 체계를 가져갈 수 있다.

  • PDF

Integrated Floo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using ICT (ICT를 이용한 지자체 홍수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안)

  • Cho, Wan Hee;Park, Jeong Su;Na, Yu Jin;Shin, Cheol Kyun;Lee, Yong 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7-577
    • /
    • 2016
  •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현상으로 이로 인한 홍수피해는 심화되고 있다.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 5차 보고서(IPCC, 2014)에 의하면 1980년대 이전 세계 평균 홍수피해액은 7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1년에는 240억 달러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필리핀에 태풍 '하이옌' 내습으로 인해 6,200여명이 사망하고, 2천여명이 실종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4년 8월 경남 부산지역에는 시간당 130mm가 넘는 국지성 호우에 따라 차량 4,000여대가 침수, 5명 사망 등 약 125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국회예산정책처(2012)와 소방방재청(2014)에 따르면, 자연재해 중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한 호우피해가 85%를 차지하였으며, 전국 하천 피해액의 98.7%가 지방 및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하천과 같이 소외된 지역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홍수재해 상황에 대하여 선제적 효과적 대응을 위한 과학적 체계적인 홍수통합관리 체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홍수관련 유관기관 자료를 연계한 실시간 상 하류 수문상황 모니터링, 홍수분석 및 하천수위별 대응기준 수립, 배수펌프장 등 수리시설원격 제어 등을 포함하는 홍수 통합관리체계 구축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수립이 제방정비, 저류조 등 구조적 대책과 병행하여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 이에 K-water는 ICT기반의 물관리기술력과 경험을 활용하여, 인력 기술력 예산 부족 등 열악한 재난관리 여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자체와 협업을 통해 홍수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홍수통합관리체계 구축은 지자체 상 하류의 다양한 재난정보를 수집 통합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홍수 대응기준 수립을 통해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것으로, K-water는 지난 2010년 남원시를 시작으로 무주군, 군산시, 진안군 등 21개 지자체의 홍수재해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남원시의 경우 본 사업을 통한 시스템 구축후 홍수피해액이 50%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는 등 재난관련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홍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홍수재해 통합관리 체계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할 수 있다. K-water는 물관리 전문 공기업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지자체 맞춤형 홍수통합관리체계' 구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 PDF

Study on the data structure design for the integration of water management database (물관리 데이터베이스 통합을 위한 데이터 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 Jung, Ji Won;Jung, Seung Kwon;Kang, Hyun Joong;Gwon, Yong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7-637
    • /
    • 2015
  • 200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로 국내외 국가 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에서도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스마트워터그리드는 IBM의 진출을 시작으로 Veolia, Suez 등 다국적 물관리 기업들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내의 ICT기술과 수자원시스템의 융합을 통하여 용수 수요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하여 수자원의 지역적 시간적 격차를 해소하는 스마트워터그리드 연구가 국내에서도 진행 중이다. 물관리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물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개별플랫폼을 구축 활용하여 신규기업의 물산업 진출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외 물산업 시장 진출을 위하여 통합플랫폼 개발 및 체계적인 데이터 구조 설계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스마트워터그리드를 운영하기 위해 여러 곳에 분산되어 관리 운영되어지고 있는 수자원 및 물관리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터그리드 도메인 내에 주력하고 있는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외부 데이터 마이닝과 연계하여 확장하는 구조로 현실적이고 단기적인 데이터 통합효과를 위해 ETL/데이터웨어하우스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통합을 추진하였다. 지자체간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간의 연동은 관련 법제도 및 지자체간 협의 등 다양한 문제가 연루되어 있어 단기적으로는 B2B 데이터 연동방식을 응용하여 구성하였다. 광역 중앙 제어를 위한 통합데이터베이스는 가상DB 방식을 고려하였으며, 이는 지자체별로 구성된 통합DB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Wrapper 플랫폼을 적용하였다. 이 플랫폼간의 연동은 WaterML2.0을 적용함으로써 단기간내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호운용성에 문제를 해결하며, 실시간 데이터 연계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수자원 및 물관리 데이터의 통합을 위해 해당플랫폼에서 스키마 맵핑, 프로토콜 변환 정합 등을 실시하며, 실시간 데이터 마이닝 및 통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향후 스마트워터그리드의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까지 확장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