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제

Search Result 7,04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ogical Security Control (논리적 보안 통제)

  • 최운식;신동익
    • Review of KIISC
    • /
    • v.5 no.4
    • /
    • pp.102-111
    • /
    • 1995
  • 본 연구는 보안 통제를 물리적, 논리적, 관리적 통제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시스템에 논리적으로 구현되는 논리적 통제에 중심을 두고 있다. 최근 정보기술과 통신의 급격한 발달과 접목은 정보시스템을 새로이 취약성에 노출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논리적 통제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논리적 통제 중에서 모든 종류의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통제로 인증, 접근통제, 감사로 그 세가지를 들고, 이 세가지 통제에 대한 상호관계를 규정하는 체계와 각각의 통제에 대한 설명을 한다.

  • PDF

Debate about Control Self-Assessment Model for e-Business System Safeguard (e-Business 시스템 안전성확보를 위한 자가통제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 Seo J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7 no.5
    • /
    • pp.135-153
    • /
    • 2005
  • 자가통제평가(CSA : Control Self Assessment)는 핵심사업 목적을 달성하는데 개입되는 위험 그리고 그러한 사업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계된 내부통제를 공식적이고 문서화된 협력적 프로세스에 의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현재 많은 기업에서 효과적인 조직통제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을 위하여 전문 감사인과 경영인들이 기업지배구조 조직의 강력한 위험관리 도구로서 자가통제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자가통제평가는 해당 조직의 담당부서나 팀에서 내부통제평가를 통하여 내부통제상의 재무보고, 준법, 사업 및 운영상의 효율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되며, 효과적인 모니터 장치로서 기업지배구조상의 업무 프로세스를 정비하고 업무에서 발생하는 제반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서 조직에게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으로부터 회사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부분에서 효과적인 자가통제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e-Business 관련 기업지배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가통제평가 모델에 대한 개발 필요성과 관련 자가통제평가 세가지 기본 모델들을 통하여 장단점을 제시하고, 자가통제평가 모델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시스템 감사인의 LAN 통제 평가에 관한 연구

  • 고완석;노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143-152
    • /
    • 1995
  • 현대 감사에서 한정된 자원으로 통제 및 감사의 효과(목적)를 최대로 달성하기 위해 통제요소의 상대적인 중요도 파악 및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해짐에 따라, 감사인의 판단에 기초한 정보시스템 내부통제 요소의 중요도 평가가 감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고있다. 특히 조직에 LAN이 보급되면서 LAN의 환경적 특징으로 인해 통제시스템이 취약해 질 가능성과 이에 대한 보완 방안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데,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모델을 응용한 Harper(1988)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는 시스템 감사인의 LAN 통제 평가의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Harper이 연구에서는 모델에 LAN을 고려한 시스템 감사 목적 (통제설치 기준)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못하여 모델에서 결정된 통제요소의 중요도 순위가 부적절할 가능성을 갖는다. 만약 통제요소의 중요도가 부적절할 경우, 이는 LAN 통제 평가와 관련한 시스템 감사의 효율화 뿐 아니라 효과성을 해칠 가능성을 갖게된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논의를 토대로 기존 연구가 갖는 문제점을 보완, LAN 통제요소의 적절할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PDF

Houewives' Locus of Control and Conflict Management (주부의 내외통제성과 갈등관리방법)

  • 현은민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95-204
    • /
    • 1994
  • 본 연구는 주부의 내외통제성과 갈등관리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내외통제성과 갈등관리방법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촛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내적통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피와 통제의 갈등관리 방법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정관리방법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통제와 조정의 갈등관리방법은 내외통제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회피의 갈등관리방법은 외적통제성향의 주부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Role Based Access Control Mechanism Using Role Attributes (역할 속성을 이용한 역할기반 접근통제 매커니즘)

  • 이철원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8 no.4
    • /
    • pp.83-94
    • /
    • 1998
  • 약할기반 접근통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외는 임의적 겁근통제 및 강제적 접근통제에 비하여 유연성을 제공하며 접근통제 기법이 정교하다. 따라서, 역할기반 접근통제는 금융 및 기업 등과 같은 상업적 분야 및 행정적인 분야에서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역할기반 접건통제 메커니즘에 역할의 속성을 정의하여 새로운 형태의 역할기반 접근통제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역할기반 메커니즘은 기존의 역할기반 메커니즘이 실생활에 잘 적용되지 않는 단점을 극복하였으며, 특히 살라미 공격, 내부자의 부정행위 방지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역할을 부여받는 사용자의 역할 중복 방지를 위하여 차이 연산자를 정의하였다.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Won, Yeong-Hui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Design and Evidence Cho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roblem Solving Process Related to Controlling Variable (변인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 Kim, Sun-Ja;Choi, Byu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2
    • /
    • pp.111-12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design and evidence choic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roblem solving process related to controlling variable. For this study, 96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nd tested with Science Reasoning Task.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ypes of experimental design were categorized as variance of control variable, controlling of causal variable, perfect controlling variable, imperfect controlling variable, variance of all variable. Prior belief had a strong influence on student's experimental design. The types of evidence choice were categorized as perfect controlling variable, controlling causal variable, variance of causal variable. The degree of controlling variable in evidence choice process was much lower than that in experimental design. Most students tended to choose evidence according to prior belief without controlling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student's prior belief and characteristic of science process skill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program for promoting controlling variable abilit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IT Internal Control Firm Characteristics, and IT Management (기업 및 IT관리 특성과 IT 내부통제 결과와의 관계 분석 연구)

  • Park, Cheol-U;Jo, Nam-Jae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33-248
    • /
    • 2007
  • 최근 한국과 미국 기업에 있어서 회계법상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재무보고와 관련된 내부통제제도(ICFR: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에 관한 것이다.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내부회계관리제도와 SOX(Sarbanes Oxley Act)라고 불려지고 있는 내부통제 법령에 의해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내부통제를 구축, 운영하고, 이에 대해 매년 회계법인에 의해 검토 또는 감사를 받게 되었다. IT 부문도 기업 업무 영역에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기 때문에 내부통제 제도의 한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특성과 IT 관리 특성이 기업의 IT 부문 내부통제 구축 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제 기업 IT 내부통제 구축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특성 중 자산, 종업원 수, 업종과 IT 관리 특성 중 IT 기획팀 IT 아웃소싱, 주 시스템 플랫폼을 각각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이들 6개 독립변수가 내부통제 구축 시 도출된 통제항목(Control Activities) 개수 대비 미비점(Deficiency) 비율, 통제항목 개수, 미비점 개수 각각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