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점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근막동통으로 인한 하악 구치부 연관통의 임상증례 (A Case Report of Referral Pain on Mandibular Toothache Originated from Myofascial Pain)

  • 강진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55-460
    • /
    • 2007
  • 치아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 임상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에서 특기할 병적 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비치성 치통을 의심해보아야 하며, 근육질환, 상악동염, 신경병성 통증, 신경혈관 질환 등의 원인으로 치통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비치성 치통의 경우 진성 치통과 구별하기 위하여 철저한 병력 조사 및 전반적인 임상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며, 진단용 국소마취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비치성 치통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인 근막동통은 근육조직을 촉진 시 단단한 띠가 만져지는 것이 특징적이며 이것이 발통점으로 작용하여 근육이 뻣뻣한 느낌과 피로감, 연관통, 치아에 전이되는 통증, 근긴장성 두통, 통각과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교근은 상악 구치부 및 하악 구치부의 통증을 유발한다. 본 증례는 우측 교근부의 근막동통에 기인한 하악 우측 구치부의 치통 양상을 운동요법,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의 통상적이고 가역적인 근육질환의 치료법을 통해 증상의 호전을 보인 증례이다. 비치성 치통은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을 경우 근관치료, 치주치료, 발치 등의 불필요한 치과치료가 시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치료를 통하여도 환자의 통증은 경감되지 않기 때문에 치과치료가 시행되기 전에 반드시 정확한 감별진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위등세모근의 발통점에 대한 허혈성 압박치료와 체외충격파치료의 효과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 of Ischemic Compression Therapy and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the Trigger Point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 주지균;박삼호;신원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1-15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ischemic compression (IC) therapy and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in patients with upper trapezius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to present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thes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with upper trapezius myofascial pain syndrom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C group (n = 21) and ESWT group (n = 21). IC therapy and ESWT were performed in the IC and ESWT groups, respectively. Treatment was applied to the trigger point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Visual analog scales (VAS), pain pressure threshold (PPT),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fear-avoidance belief questionnaire (FABQ)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compare its effectivenes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VAS, PPT, NDI, FABQ, flexion, extension, right side bending, and left side bending (p <.05).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C group compared to the ESWT group in VAS, PPT, and NDI (p <.05). Conclusion: IC therapy and ESWT applied to patients with upper trapezius myofascial pain syndrome are mediating methods of pain, function, and psychosocial effects. In addition, IC therapy may be a more effective mediating method for pain and dysfunction than ESWT.

측두하악장애와 경부근육 압통 간의 상관성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Cervical Muscle Pressure Pain)

  • 임영관;김재형;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39-352
    • /
    • 2008
  • 목적: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에서 압통 검사를 통하여 경부근육 통증의 정도와 위치를 파악하고, 측두하악장애와 경부근육 통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측두하악장애 환자(n=129, 여자 65.9% 평균=28.8세)에 대해서 두통, 목의 통증, 정서적 스트레스, 수면 장애, 이상 기능 습관 및 통증 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저작계에 대하여 하악 운동범위, 악관절음, 악관절 촉진, 저작근 촉진 검사를 시행하였다. 빗목근 상부(sternocleidomastoid upper), 빗목근 중간(sternocleidomastoid middle), 등세모근 상부(upper trapezius), 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머리반가시근(semispinalis capitis), 중간 목갈비근(scalene medius),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의 7부위의 경부 근육에 대하여 촉진에 의한 압통 검사를 하였다. 압통의 정도를 무통(0), 경도(1), 중등도(2), 심도(3)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압통점수로부터 여러 통증점수 합계를 계산한 후 이후의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80명(62.0%)의 환자가 설문에서 목의 통증을 경험한다고 답하였다. 측두하악장애 통증 점수와 경부 근육통 점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38, P < 0.001). 경부 근육 중에서 중등도 이상의 압통이 40% 이상 발생하는 근육은 빗목근과 등세모근 상부였고 저작근 중에서는 깨물근(masseter) 중간에서 36%의 중등도 통증이 나타났다. 129명에 대한 경부근육통점수합과 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 사이에는 상당한 관련성이 있었으며($\rho$=0.502, P < 0.001), 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은 경부근육통점수합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Y = 0.395 ${\cdot}$ X, $R^2$ = 0.659, P < 0.001). 저작근장애 환자에서 빗목근등세모근상부통증점수합과 관자근교근통증점수합은 중등도의 관련성($\rho$ = 0.375, P < 0.001)을 보였으며, 두 변수는 비례 관계에 있었다(Y = 0.359 ${\cdot}$ X, $R^2$ = 0.538, P < 0.001). 편측통증점수의 편상관관계분석에서 우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과 좌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은 가장 높은 상관성(r=0.802, P < 0.001)을 보였다. 우측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과 좌측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은 중등도의 상관성(r=0.481, P < 0.001)이 있었다.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통증이 있는 20명의 환자에 대한 편상관관계분석에서 우측과 좌측의 편측경부근육통점수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고(r = 0.597, P = 0.009), 측두하악장애측통증점수합과 동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 사이의 상관성(r = 0.564, P = 0.015)이 그 다음이었다. 결론: 측두하악장애 통증은 촉진에 의한 압통반응의 측면에서 경부근육 통증과 관련성을 보인다. 경부근육 중에서 빗목근과 등세모근상부가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흔하게 나타내며 저작근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부근육에서는 통증의 대칭적인 이환 특성이 두드러지지만, 측두하악장애가 경부근육통의 수준에 영향을 주어 대칭적인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부와 경부에 복잡한 통증 질환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는 환자에서 경부 근육 통증의 진단과 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견갑골 내측 상부의 발통점에 체외충격파와 초음파 적용시 통증과 피부두께, 근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SWT and US on Muscle Power, Pain and Muscle Tension at Trigger Point of the Scapular Inter Angle)

  • 이승협;피어라;정하늬;이호석;주다솔;이승희;최민희;최현지;홍영인;김지은;한상완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4
    • /
    • 2009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to the change in muscle power, pain and muscle tension upon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and ultrasound (US) at trigger point (TrP) of the Scapular inter angle. Methods : In total of 24 human subjects that experience pain upon stimulation at the scapular inter angle were recruite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ESWT and US group. Each group was subjected to appropriate stimulation thre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except the control group which had no restrictions in lifestyle. The ESWT group was subjected to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with a 2 $cm^2$ head, 20 times at speed of application of 60 pulses/min and depth of intrusion of 25 mm Whereas the US group was subject to Ultra sound therapy with 1$cm^2$ head, 1 MHz in frequency, 1.5 W/$cm^2$ of strength with five minutes of continuous application.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mmediately prior to an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Results :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hange in muscle tension and muscle power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VAS and VRS, all of which indicates changes in pain leve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pretest posttest comparisons. However, ESWT was superior to US in terms of decreasing muscle tension and pain while increasing muscle power. Conclusion : This study has made it evident that ESWT is far more reasonable to apply to TrP.

발통점(發通點)을 이용(利用)한 두통(頭痛) 치험례(治驗例) 보고(報告) (The clinical observation of patient with Headache Treated by Trigger point acupuncture therapy)

  • 이승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3-143
    • /
    • 1998
  • Myofascial pain syndrome is one of the pain syndrome resulted from myofascia which covered muscles and clinically characteristic feature by sensitive trigger point in skeletal muscles and referred pain reactivated by stimulating each trigger point. The origin of headache are local lesion such as head, chest, abdominal organ, systemic lesion with fever or in toxic state. the other factors are consciousness, personality, anxiety, depression, which cause muscle strain in physiological environment.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for headache has herb medication and acupuncture. especially acupuncture therapy has not only classical systemic acupuncture(體鍼) but also neo-acupuncture(新鍼) such as commonly using auricular acupuncture(耳鍼) and manual acupuncture (手鍼), recently trigger point acupuncture is used. The author analyzed 27 cases of patient with headache treated by trigger point acupuncture therapy in Dong-yu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March 1st 1997 to February 28th 1998.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ratio of the female was 59.26%(16 cases) and male was 40.74%(11 cases), the ratio of high school student was 62.96%(17cases) as first. 2. The headache duration ratio of 2-3 years was 37.04%(10 cases) as first, 1-2 years was 25.93%(7 cases) as second. 3. The portion ratio of whole headache was 33.33%(9 cases) as first, lateral headache was 29.63%(8 cases) as second 4. The combined symptoms ratio of anorexia was 40.74%(11 cases) as first, fatigue was 33.33%(9 cases) as second, neck stiffness and dizziness was each 25.93%(7 cases) as third. 5. The therapeutic duration ratio of below 1 week was 29.63%(8 cases) as first, 2-3 weeks was 22.22%(6 cases) as second, 1-2 weeks and 3-4 weeks was each 18.52%(5 cases) as third. 6. The ratio of family history was 11 cases(40.74%). mother with headache was 6 cases, father was 3 cases, and brothers & sisters was 2 cases. 7. The herb medication ratio of Chungsanggyuntongtang(淸上?痛湯) was 37.04%(10 cases), Kamiondamtang(加味溫膽湯) was 22.22%(6 cases), Hyangsapyunguisan(香砂平胃散) was 18.25%(5 cases) etc. 8. The remedial effect ratio of good was 25.93%(7 cases), fair was 48.15%(13 cases), not improved was 7.41%(2 cases), side effect was 3.70%(1 cases), and unknown was 14.81%(4 cases).

  • PDF

컴퓨터 교학분석기인 T-Scan II를 이용한 측방운동시 구치부 이개시간에 관한 연구 (Study of Disclusion Time during Mandibular Eccentric Movement in Myofascial Pain Syndrome Patients by T-Scan II,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 신준한;권정승;김성택;박형욱;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87-197
    • /
    • 2011
  • 측두하악관절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주변 구조물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다수의 임상문제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근막동통은 측두하악관절장애 중 저작근 장애의 한 종류로, 근막 발통점에 의해 발생하는 감각, 운동, 자율신경 증상이다. 측두하악관절장애와 근막동통의 원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어왔다. 특히 교합 원인은 오랫동안 논쟁의 핵심이었으며,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합원인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런 논쟁은 대부분이 측두하악관절장애 본연의 복잡성에서 기인하지만, 부적절하고 부적당한 연구설계, 선정기준, 연구방법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교합분석시 시간과 상대적 힘이 측정가능한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가 소개되었다. 일부 저자들은 T-Scan II를 이용하여 이개시간 개념 및 연장된 구치부 이개시간과 근막통증의 연관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T-Scan II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들은 근막통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의 비교 부재 및 다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하지 못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을 이용하여 30명의 실험군을 선택하고 이를 38명의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근막통증과 구치부 이개시간과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통계적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의 Cronbach ${\alpha}$ 계수는 0.92 였다. 2.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 평가시 양측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개시간 평가시 좌측 우측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근막통증과 이개시간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근막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개시간을 줄이는 비가역적인 치료는 적절치 않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 여러 교합요소와 헬키모 지수 등을 이용하여 증상의 정량화를 고려한 보다 통제된 대규모 환자 집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