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신시간

Search Result 8,63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Task Duplication Scheduling to improve Communication Time in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분산 실시간 시스템에서 통신시간 개선을 위한 타스크 중복 스케줄링)

  • 박미경;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376-381
    • /
    • 1998
  •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자원이나 데이터들을 이용가능하게 하고, 지정된 마감시간내에 결과를 제공해야 하는 시간적 특성을 가진 분산 실시간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타스크는 크게 주기적 타스크와 비주기적 타스크로 나누어지는데, 빠른 수행시간을 위해 대부분의 타스크들은 병렬로 처리되기 위해 여러 개의 서브 타스크들로 분할되어 실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 실시간 환경에서 임의의 시간에 마감시간을 가지고 도착한 주기적 타스크에 서브 타스크의 유형에 따라 서브 타스크간의 통신시간과 수행시간을 고려한 EST(Earliest Start Time)기법을 이용하여 서브 타스크들의 효율적인 마감시간 할당 알고리즘과 ITC(Inter Task Communication)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처리기 중복 할당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수행된 결과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타스크 전체의 마감시간 위반 최소화와 처리기의 이용률 개선 및 처리기간의 통신시간과 수행 완료시간을 개선하고 있다.

  • PDF

Rate Monotonic Algorithm Based Analytic Evaluation Model of CAN (비율단조 알고리즘 기반 CAN 분석 평가 모델)

  • Lee, Ji-Ye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8-441
    • /
    • 2013
  • 자동차 관련 기술은 점차 전기, 전자 장치로 빠르게 바뀌어 가고 있다. 차량 내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어 장치들도 그에 따라 증가하게 되었고 장치간의 통신 성능도 중요하게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통신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기적 메시지 통신의 메시지 전송 지연 및 중단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메시지들의 스케줄 가능성 및 응답시간에 따른 실 시간성 검증 모델을 제안한다. CAN 메시지 수신 시 RMA(Rate Monotonic Algorithm)기반으로 메시지 스케줄 가능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AN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RTA(Response Time Analysis)를 고려한 실 시간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기존 RMA 기법으로 통신을 수행한 결과 통신 중 중단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후 제안 모델에서는 23%정도의 추가 시간을 확보하여 통신을 완료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 2 에서는 메시지 통신의 응답시간이 모두 제안된 Worst-case 응답시간 이내로 측정되어 실 시간성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Communication time slot assignment algorithm for TDMA based MAC protocol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의 TDMA기반 MAC 프로토콜을 위한 통신 시간 할당 알고리즘)

  • 예경욱;이승학;윤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35-537
    • /
    • 2004
  • 최근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센서 기술과 통신 기술 등 센서 네트워크의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수명은 센서의 배터리 전력량에 비례하므로 보다 적은 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저전력 통신 프로토콜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기반 MAC 프로토콜이다. 지정된 시간에만 센서 노드의 통신 상태를 정지(sleep)상태에서 유휴(idle)상태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므로 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키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웃한 다른 센서들 간의 통신을 간섭하지 않기 위해 센서들은 통신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제한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센서 노드들이 다양한 주파수를 청취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센서 노드 생산시 제조단가의 증가와 직결되어 센서 네트워크의 상용화에 주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 분할접속(TDMA) 기반 저전력 MAC 프로토콜에서 단일 주파수를 사용한 수 있도록 통신 시간(time slot)을 할당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kyline Query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Broadcast Environments (무선 방송 환경에서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

  • Jong-Woo Ha;Sang-Hyun Park;Byung-Gul Ryu;SangKe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44-347
    • /
    • 2008
  • 본 논문에서 무선 방송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스카이라인 질의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무선 방송 환경의 순차적 데이터 접근 특성 때문에 기존의 기법을 적용할 경우 접근시간 및 튜닝시간에 큰 제약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 모바일 사용자가 에너지 효율적으로 스카이라인 질의를 처리하기 위하여 DSI(Distributed Spatial Index) 구조에 기반한 SOA(Skyline On Air)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접근시간이 한 주기의 방송 프로그램 길이를 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안 된 기법이 접근시간 및 튜닝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arallel Finite-Different Time-Domain Simulator by using the MPI Persistent Communication (MPI의 지속 통신 메커니즘을 이용한 병렬 유한차분시간영역 전산모사 프로그램의 통신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Huioon;Chun, Kyungwon;Kim, Hyeong-gyu;Hong, Hyunpyo;Chung,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42-945
    • /
    • 2009
  • 유한차분시간영역 방법은 전자기파 관련 분야의 전산모사에 많이 사용되는 수치해석기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한 전산모사 프로그램은 많은 계산 자원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병렬 계산 환경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병렬 계산 환경에서 전산모사를 수행할 경우, 병렬로 수행되는 각 프로세스 간의 통신 속도와 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은 계산의 병목 현상을 초래하여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PI의 지속 통신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병렬 프로세스 간 동기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유한차분시간영역 전산모사 프로그램에서의 MPI 통신 성능의 향상을 꾀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양방향 통신과 단방향 통신 메커니즘을 사용했을 때의 성능과 비교/분석하여, 병렬 유한차분시간영역 전산모사 프로그램에 있어서 지속 통신 메커니즘의 장/단점을 제시하고, 그 효용성에 관해 논의한다.

Impact Analysis of Communication Time Delay and Properties of a Haptic Device on Stability Boundary for a Haptic System with a First-Order Hold (일차홀드 방식을 포함한 햅틱 시스템의 안정성 영역에 대한 통신시간지연과 햅틱장치 물성치의 영향 분석)

  • Lee, Kyungn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
    • /
    • pp.572-578
    • /
    • 2017
  • Haptic systems help users feel a realistic sensation when they manipulate virtual objects in the remote virtual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communication time delays that may make the haptic system unstable. This paper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ime delay, properties of a haptic device, and the stability of the haptic system with the first-order hold method in a simulation. The maximum available stiffness of a virtual spring with the first-order hold method is larger than in the zero-order hold method when there is no time delay. However, when the communication time delay is much larger than the sampling time, the maximum available stiffness to guarantee the stability becomes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sample-hold methods. Besides, the maximum available stiffness in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ommunication time delay and in proportional to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haptic device.

Evaluation of the Data Migration between CPU Memory and GPU Memory for a NVIDIA Pascal GPU Using Unified Memory (통합 메모리를 사용하는 NVIDIA 파스칼 GPU에서의 CPU 메모리와 GPU 메모리 간 데이터 통신 분석)

  • Shin, Philkyue;Hong, S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7-10
    • /
    • 2018
  • 통합 메모리는 CPU 메모리와 GPU 메모리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개발자에게 투명하게 내재적으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런타임 환경으로 개발자에게 CPU 메모리와 GPU 메모리가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로 보이게 해준다. 통합 메모리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내재적으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의 오버헤드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데이터 통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오버헤드는 어떻게 발생하는지 분석한 연구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NVIDIA 사의 최신 GPU 마이크로아키텍처 중 하나인 파스칼을 사용하는 GPU를 대상으로 하여, 통합 메모리를 사용할 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GPU 응용의 수행시간에 데이터 통신이 끼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분석한다. 실험 결과 통합 메모리의 오버헤드는 두 가지 원인 때문에 발생한다. 첫째, 통합 메모리를 사용하면 CPU 또는 GPU가 데이터에 접근할 때마다 이 데이터는 CPU 또는 GPU 메모리로 옮겨지고 옮겨진 데이터는 제거된다. 따라서 재사용할 데이터도 제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통신이 발생하고, 이 데이터 통신의 지연시간은 GPU 응용의 수행시간에 더해진다. 둘째, 통합 메모리를 사용하면 데이터 통신과 커널들이 서로 다른 스트림에 할당되어도 동시에 수행되지 못한다. 따라서 GPU 응용의 수행시간은 동시에 수행되던 데이터 통신과 커널의 수행시간만큼 증가한다.

  • PDF

인터넷 통신 과급체계

  • Cha, Jung-Gi
    • Digital Contents
    • /
    • no.4 s.71
    • /
    • pp.34-36
    • /
    • 1999
  •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존 PC통신 업체들은 인터넷 서비스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인터넷 PC통신 업계에서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시간 종량제 서비스의 과금처리를 기술적으로 구현하지 못하고있어, 전면적인 개편은 정보제공 업체(IP)들에게 치명적인 손실과 더불어 국가 정보통신에도 적지 않은 타격이 되리라 생각한다. PC통신 서비스과금 시스템의 간단한 소개와 인터넷 PC통신 서비스의 시간 종량제를 가로막는 이전 과금에 대해 살펴봤다.

  • PDF

Access delay and packet delay of EDCA in IEEE 802.11e wireless network (IEEE 802.11e EDCA 무선랜의 매체 접속 지연 시간 및 정상 상태에서의 패킷 지연 분석)

  • Lee, Yu-Tae;Jang, Jong-Min;Lee, Key-Sang;Kim, Dong-Il;Kim, Chang-K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8
    • /
    • pp.1420-1426
    • /
    • 2008
  • This paper derives medium access delay of each AC(Access Category) in a stationary station using inter-departure time of IEEE 802.11e WLAN(Wireless LAN). Inter-departure time of IEEE 802.11e WLAN is obtained using saturation throughput of IEEE 802.11e WLAN which was the topic of our prior work. By using a simple queueing model, we evaluate mean queue length and mean delay for each AC on stationary condition. We calculate performance of each AC using this simple model and validate results using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