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섭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How Could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Meet Together?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삼아)

  • Lee, Nam I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87
    • /
    • pp.259-311
    • /
    • 2009
  •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assess E.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reby try to show the proper way that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could meet each other and carry out various kind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section 1, I will delineate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It is the core of his project of consilience to unify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through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s and therefore he claims that it is in principl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ject of consilience. In section 2, I will examine the basic structure of knowledge in the humanities and show that, in principle, the project of consilience cannot be carried out. In section 3, I will show the difficulties that Wilson's projectof consilience has with respect to carrying ou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In section 4, I will deal with the various types and ways of properly carrying ou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In section 5, I will show that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has some more difficulties that are not to be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We also need to critically assess them in order to prepare a more solid ground for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Prospect of u-Learning based on consilience communication aspect between humans and media (인간과 매체 간 통섭적 커뮤니케이션 관점에 근거한 유러닝의 전망)

  • Moon, Chang-Bae;Park, Jung-Hwan;Cho, Jung-won;Ma, Ji-Sun;Ka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00-703
    • /
    • 2010
  • 통합학문을 구성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둘 이상의 학문이 융합하여 시너지의 효과를 발생하거나 창의적인 문제해결 혹은 그 이상의 새로운 결과물을 창출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합침을 통하여 전혀 다른 새로운 것을 지향하는 통섭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수 학습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며 교사와 학생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고는 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교수 학습의 연결은 커뮤니케이션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매체라 할 수 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를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인간이 하나로 통섭되는 매체의 인간화, 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을 통하여 사용자와 매체, 사용자와 사용자, 매체와 매체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 매체 간 통섭적 커뮤니케이션에 근거한 유러닝을 전망해 봄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operative Patterns of Literature and Drama -Focused on , (문학과 드라마의 통섭 양상 연구 -<쓸쓸하고 찬란하신(神) 도깨비>, <신사의 품격>을 중심으로)

  • Son, Mi-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37-43
    • /
    • 2019
  • Korean dramas since the 2000s are continuously experimenting with new narrative possibilities. Especially in the recent Korean drama, various modes of hybridization, mixing, and transformation are attemp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sensus of literature and drama through popular drama in 2010. This study examines how literary texts are utilized in dramas through the use of Kim Eun-sook's lonely and glorious god-goblin and gentleman's dignity, and how these narrative and visual effects are gained. These two dramas are not only popular drama in Korea but als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terpreting literature and drama consciousness because they actively utilize literary texts in drama. This i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main scene in which literature and the drama conspire, and grasping its significance.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 the process of borrowing the part of the text of the text, drama, and taking the effect of storytelling by using 'book' as its materiality. This will confirm the way in which various genres are mixed and juxtaposed in one video text and its effect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Educational Robots in Consilient Curricula (통섭적 교육 활동을 위한 교육용 로봇의 활용 방안 탐색)

  • Chon, H.K.;Kim, M.R.;Han, K.H.;Shin, S.Y.;Choi, M.A.;Kim, S.M.;Ko, B.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63-36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통섭적 교육활동의 도구서로 로봇의 가치에 중점을 두고 교실 수업에서 로봇을 활용하는 방안을 다룬다. 통섭적 교육활동은 학생들이 여려 교과 주제의 관계 안에서 직관적으로 원리와 필요성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특정 교과 영역에 관심이 편향된 학생들에게는 부속한 영역을 자연스럽게 보완하는 활동을 유도하여 균형을 회복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교육활동 예시를 통해 정규 수업에서 교육용 로봇의 새로운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 PDF

Introduction To A New Created Scientific Disciline: Management Of allSelves' Enlightenment and Empowerment(MOSEE) with 5th Dimension Spirit Paradigm shift will conciliate the modern Management Philosophies (1st Issue)-CSV (새 학문 창시 소개함: 깨달음경영학의 5차원 의식(영성) 철학을 통한 현대 경영철학들의 통섭 고찰(1회)-공유가치론(CSV)-)

  • Rhee, Jae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7-58
    • /
    • 2018
  • 자본주의가 인류사회의 행복과 공동번영에 기여하는 경제체제로서 역할을 다하려면, 자본주의 역시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진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 시대에 걸 맞는 자본주의의 대안을 논의하고자, 저자 이재윤이 창시한 깨달음경영학(MOSEE; Management Of allSelves' Enlightenment and Empowerment)의 새로운 과학적 학문연구를 통해 새로운 실현성 영역을 추구하는 동시에, 깨달음경영의 새로운 5차원 요소인 영적 자원 및 자산(SRA: Spirit Resource and Asset)과 본질적으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창조경영(MOC: Management Of Creation)에 대한 연구 및 인간의식 성장 방법론에 대하여 발표 하고자 한다. 따라서 깨달음경영학(MOSEE)에 관한 고유한 철학, 고유한 탐구 영역, 이론, 방법, 기법, 도구, 운영 원리 및 활용 분야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로써 현대의 주요한 여러 경영철학들 예컨대 CSV(마이클 포터) SI(개리 함멜) 복잡계 철학 미덕(美德)경영 등의 내재된 구조적 제약들을 분석 평가하고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을 5차원의 깨달음경영학(MOSEE)의 의식(영성)경영철학으로써 통섭을 고찰하고 21세기 우주 인류 신문명 창달을 위한 5차원의 깨달음경영 혁명을 성취하고자 한다. 즉 2040년 전에 지구 인류의 고도 영성 초 과학기술 문명을 넘어서 우주 인류의 초 영성 초 과학기술 문명 창달을 선도하는 학문연구 교육 인류 사회활동을 지속적으로 해갈 것이다. 위와 같이 21세기 우주 인류의 영원한 평화 자유 지속적 번영을 이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통섭 고찰 제1회로 마이클 포토의 공유가치(CSV: Creating Shared Value)의 통섭을 고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