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계 모형

Search Result 3,85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atistical Modeling for Forecasting Maximum Electricity Demand in Korea (한국 최대 전력량 예측을 위한 통계모형)

  • Yoon, Sang-Hoo;Lee, Young-Saeng;Park, Jeong-So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6 no.1
    • /
    • pp.127-135
    • /
    • 2009
  • It is necessary to forecast the amount of the maximum electricity demand for stabilizing the flow of electricity. The time serie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Energy Research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The data showed that they had a strong linear trend and seasonal change. Winters seasonal model, ARMA model were used to examine it. Root mean squared prediction error and mean absolute percentage prediction error were a criteria to select the best model. In addition, a nonstationary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with explanatory variables was fitted to forecast the maximum electricity.

Adaptive English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s for Language Environments (언어 사용환경에 적응적인 영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

  • Kim, Minho;Jin, Jingzhi;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33-136
    • /
    • 2015
  • 문서 교정기에서 문맥의존 철자오류를 교정하는 방법은 크게 규칙을 이용한 방법과 통계 정보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뉜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오래전부터 통계 모형에 기반을 둔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가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문제를 특정 어휘 쌍을 이용한 분류 문제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규모 말뭉치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지만, 통계 정보 자체에 오류가 있을 경우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 포함된 모든 단어에 대하여 문맥의존 철자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단어가 오류일 경우 대치어를 제시하는 영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통계 정보의 오류가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에 미치는 영향과 오류 발생률의 변화가 철자오류 검색과 교정의 정확도와 재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구글 웹데이터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 모형을 구성하고 평가를 위해 브라운 말뭉치에서 무작위로 2,000문장을 추출하여 무작위로 문맥의존 철자오류를 생성하였다. 실험결과, 문맥의존 철자오류 검색의 정확도와 재현율은 각각 98.72%, 95.79%였으며,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의 정확도와 재현률은 각각 71.94%, 69.81%였다.

  • PDF

Study to the randomized response model (확률응답모형에 관한 연구)

  • 이영진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4 no.2
    • /
    • pp.179-193
    • /
    • 1991
  • In this paper, we introduce various methods of PR techniques initiated by S. Warner in 1960's and examine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for them. One of the main subjects of this paper is to represent Warner model, Unrelated Question Model, and Multi-Proportion Model in linear model. The other subject is to study the inference of PR model by using the Bayesian Approach.

  • PDF

인력계획의 통계적 이해와 적용

  • 조관호;이현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7-103
    • /
    • 2004
  • 인력계획업무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량적인 모형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핵심적인 모형은 미래의 인력운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인력운영예측모형, 인력구조, 인사제도, 인력흐름간의 수리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인력구조 분석모형, 인력운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진급계획 최적화 모형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형 개발 시 적용한 통계적 방법론을 설명하고 주요 통계적 이슈를 제기하였다

  • PDF

메타분석에서 그룹화 임의효과 모형의 베이지안 해석

  • 정윤식;정호진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3 no.1
    • /
    • pp.81-96
    • /
    • 2000
  • 본 논문은 의학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메타분석 중 그룹화 임의효과 모형(grouped random effects model)을 프라빗 연결함수(probit link function)를 이용하여 베이즈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이때 프라빗 함수를 강요하기 위해 잠재변수를 정의하였고, 사전 분포를 달리한 세가지 모형을 고려하였다. 주어진 세가지 모형들에게서 적합한 모형 선택을 위하여 베이즈 인자(Bayes factor, BF)와 유사베이즈 인자(pseudo-Bayes factor, PsBF)를 이용하였다. 깁스샘플러와 메트로폴리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베이지안 계산상의 어려움을 해결하였다. 예로써, 새로운 간질약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앞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 PDF

Efficient Estim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in Regression Model with Moving Average Process (오차항이 이동평균과정을 따르는 회귀모형에서 회귀계수의 효율적 추정에 관한 연구)

  • 송석현;이종협;김기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1
    • /
    • pp.109-124
    • /
    • 1999
  • 일반적으로 오차항이 자기상관되어 있는 선형회귀 모형에서는 회귀계수에 대한 보통최소제곱추정량이 효율적이지 못 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화선형회귀모형에서 독립변수의 형태에 따라서는 OLSE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모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차항이 일차 이동평균 과정을 따르는 선형회귀모형에서 여러 추정량들 (GLSE, APX, MAPX)에 대한 OLSE의 상대효율함수를 유도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소표본에서 정확한 상대효율값을 구하여 OLSE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거나 효율성이 나은 회귀모형들을 제시한다.

  • PDF

회귀모형에 의한 소지역추정

  • Choe, Ji-Yeong;Choe, Gi-Heon;Han,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1-267
    • /
    • 2003
  •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추정치의 정도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조사에서의 표본을 소지역 혹은 소도메인에 할당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추정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회귀모형을 도입하였다. 회귀모형을 기계산업 표본설계 자료에 적용하여 소지역추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고전적인 추정방법과의 비교도 함께 이루어졌다.

  • PDF

A Bayesian approach for dynamic Nelson-Siegel yield curve modeling on SOFR term rate data (SOFR 기간 데이터에 대한 동적 넬슨-시겔 이자율 곡선의 베이지안 접근법)

  • Seong Ho Im;Beom Seuk Hwa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6 no.4
    • /
    • pp.349-360
    • /
    • 2023
  • Dynamic Nelson-Siegel model is widely used in modeling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for financial products. In this study, we explain dynamic Nelson-Siegel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e space model and explore Bayesian approaches that can be applied to that model. By applying SOFR term rate data to the Bayesian dynamic Nelson-Siegel model, we confirm the performance and compare it with other competing models such as Vasicek model, dynamic Nelson-Siegel model based on the frequentist approach, and the two-factor Bayesian dynamic Nelson-Siegel model. We also confirm that the Bayesian dynamic Nelson-Siegel model outperformed its competitors on SOFR term rate data based on RMSE.

Estimating Automobile Insurance Premiums Based on Time Series Regression (시계열 회귀모형에 근거한 자동차 보험료 추정)

  • Kim, Yeong-Hwa;Park, Wonse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2
    • /
    • pp.237-252
    • /
    • 2013
  • An estimation model for premiums and components is essential to determine reasonable insurance premiums. In this study, we introduce diverse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property damage premiums(premium, depth and frequency) that include a regression model using a dummy variable, additive independent variable model, autoregressive error model, seasonal ARIMA model and intervention model. In addition, the actual property damage premium data was used to estimate the premium, depth and frequency for each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models are comparatively examined by comparing the RMSE(Root Mean Squared Errors) of estimates and actual data. Based on real data analysis, we found that the autoregressive error model showed the best performance.

Solar radiation forecasting by time series models (시계열 모형을 활용한 일사량 예측 연구)

  • Suh, Yu Min;Son, Heung-goo;Kim, Sahm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1 no.6
    • /
    • pp.785-799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ector, the importance of solar energy is continuously increasing. Solar radiation forecasting is essential to accurately solar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In this paper, we used time series models (ARIMA, ARIMAX, seasonal ARIMA, seasonal ARIMAX, ARIMA GARCH, ARIMAX-GARCH, seasonal ARIMA-GARCH, seasonal ARIMAX-GARCH).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using mean absolute error and root mean square error.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without exogenous variables, the Seasonal ARIMA-GARCH model showed better performance model considering the problem of heteroscedasticity. However, when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considered, the ARIMAX model showed the best forecasting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