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계연보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96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해설 (총괄편)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07
    • /
    • pp.57-68
    • /
    • 1996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96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를 작성, 발간하였다. 이 통계연보는 지난 5월 8일 부터 6월 30일까지 국내 6,582개 정보통신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96 정보통신산업실태조사의 결과이다. 그동안 정보통신산업에 관련하여 나온 통계와는 달리 산업전체를 총체적으로 집대성한 것으로 특히 전국의 시.도별 구분 통계를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통계청의 통계작성승인을 통해 조사 및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통계층 승인 발간물 제374-01호로 발간된 연보는 정보통신서비스 및 정보통신기기를 통합한 최초의 국가통계이다.

  • PDF

'97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총괄편)

  • Choe, Gyu-Won
    • 정보화사회
    • /
    • s.120
    • /
    • pp.48-60
    • /
    • 1997
  • 우리협회는 '97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를 발간하였다. 이 통계연보는 통계청의 지정통계 승인하에 협회가 실태조사를 거쳐 정보통신부의 감수를 받아 발간하였다. 정보통신산업 전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이 통계자료는 정보통신관련 정책입안 및 기업의 경영전략에 실질적으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 PDF

Trend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lated to Food and Pharmaceuticals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47
    • /
    • pp.98-103
    • /
    • 2022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가 2020년 식·의약품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발간한 '2021년 식품의약품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보는 식·의약 안전정책의 주요성과와 식품, 의약품, 화장품, 의약외품, 의료기기, 위생용품 등 관련 산업의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의약 분야 통계를 종합하여 식약처가 매년 발간하는 자료집으로, 식품의약품통계연보의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통계 → 통계간행물)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음에 분석 결과의 상세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96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서비스편)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08
    • /
    • pp.64-73
    • /
    • 1996
  • 이번호에는 11월호의 "'96 정보통신산업 통계연보" 총괄편에 이어서 정보통신 서비스편의 주요부문을 발췌한다.

  • PDF

한국사회 자살 통계에 대한 장기 추세 분석: 『경찰통계연보』 1953년~2015년 자살통계를 중심으로

  • Jeong, Seung-Hwa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83-125
    • /
    • 2017
  • 이 연구는 유신체제 이후 대외비 문서로 분류되어 학자들 사이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경찰통계연보』의 자살 통계를 통해 1953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살자수와 자살률의 시계열적 변화, 자살원인과 자살수단의 장기적인 변화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자살률의 장기시계열적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은 통계청 자살통계로만 파악했을 때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사회 1960~70년대 개발독재시기의 자살률 추이를 분석하였고 이 시기 자살률이 매우 높았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통계청 자살 통계와 경찰청 자살 통계의 비교 검토를 통해 1999년~2007년까지의 통계청 자살 통계가 수정 보완된 점을 지적하였다. 2000년대 초반 통계청 자살 통계의 급증과 관련한 기존 연구의 분석을 검토하면서 통계 작성의 행정적 변화가 자살 통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Deriving the Key Technical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Storm and Flood Damage Prediction System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요소 도출)

  • Park, Sung je;Park, Eun hee;Park, Ju-i;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5-425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피해예측 및 피해규모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풍수해 재해통계 DB를 구축하고, 이를 피해예측시스템에 적용하여 피해규모를 산정함으로써 풍수해 재난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재해정보 피해통계가 공공시설에 한정되어 있거나 단순 복구비의 직접관리 수준에 그치고 있는 등 피해예측기술 및 시스템 개발 수준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재해정보 기본통계를 정비하고 재난대응 단계별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풍수해 피해예측 및 피해액 산정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피해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요소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전단계인 재해정보 기본통계 DB구축 방안을 검토하여 재해연보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피해예측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필수 DB를 파악하고 기존 재해연보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재해연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피해예측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기초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재해연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국에서 개발한 HAZUS-MH 시스템의 피해예측 관련 기술정보를 분류하고, 국내에서 개발 중인 피해예측시스템과 비교분석하여 핵심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의 핵심요소로서 세분화된 재해통계 DB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재해연보를 기초 DB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재해항목 구체화 및 자료형태 다양화 등 재해연보의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피해예측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요소는 (1)함수(모형)의 개발, (2)지리정보시스템(GIS)과의 연계, (3)피해예측시스템 구축 및 모형분석을 위한 컴퓨팅기술, (4)실시간 관측기술 및 강우량 사전예측 등으로 도출이 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한 핵심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국가 R&D 및 재난안전분야의 기술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 PDF

Classification of Statistical Error Types Through Analysis of Wind and Flood Damage History Data (풍수해 피해이력 자료 분석을 통한 통계적 오류유형 분류)

  • Kim, Ku-Yoon;Lee, Mi-Ran;Lee,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35-13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풍수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해연보를 통해 자연재난 피해이력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해연도 자연재해상황을 기간별, 시도별, 수계별, 월별, 원인별 총괄통계와 인명피해, 시설피해와 관련된 피해면적, 피해액, 복구액 등 세부내용으로 구성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재난정보시스템을 통해 취합된 지자체 피해이력 통계자료를 입력하고 있는데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 오기 등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풍수해 재난이 발생하게 될 경우 피해비용 집계, 피해액 산정 등 정확한 자료로서 구축되지 않으면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통계자료로서 활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 재해연보에 대해서 기간별-시군구별 자료분석을 통해 피해이력 데이터 오류 유형에 대해 분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