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계데이터

Search Result 3,19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rategy for Inference Control of Official Statistics - Centering around the Patent Application Expense Support Project - (공식통계의 추론통제 전략 - 정부의 특허경비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Duck-Sung;Choi, In-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1
    • /
    • pp.199-211
    • /
    • 2009
  • Official statistics which are collected for governments and the community can b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 policies and programs. Thus, official statistics should be collected and presented based on correct findings. Erroneous official statistics will lead to lower quality results in assessing those policies and programs. Many statistical agencies, today, use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data cubes which support OLAP tasks like aggregation and subtotals as a key part of their dissemination strategy of official statistics. Confidentiality protection in data cubes also should be made. However, sensitive parts of data cubes including micro data may be disclosed by malicious inferences. The authors have suggested an inference control process in OLAP data cubes which preventing erroneous cube creating and securing cubes against privacy breach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inference control of official statistics using the inference control process by taking the case of the Patent Application Expense Support Project.

Advancing Societal Statistics Processing Methodology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 Case Study on Household Trend Survey and Time Use Survey (인공지능 기반 사회 통계 생산 방법론 고도화 방안: 가계동향조사와 생활시간조사 사례)

  • Kyo-Joong Oh;Ho-Jin Choi;Ilgu Kim;Seungwoo Han;Kun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63-567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통계청이 수행하는 가계동향조사와 생활시간조사에서 자료처리 과정 및 방법을 혁신하려는 시도로, 기존의 통계 생산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규모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통계 생산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데이터 과학과 통계학의 교차점에서 진행되며, 인공지능 기술, 특히 자연어 처리와 딥러닝을 활용하여 비정형 텍스트 분류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며, 인공지능 기반 통계분류 방법론의 확장성과 추가적인 조사 확대 적용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통계 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신뢰성 증가에 기여하며, 국민의 생활 패턴과 행동에 대한 더 깊고 정확한 이해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Web-Based Power Distribution Statistics System (웹 기반 배전 통계 시스템 구현 사례 연구)

  • So-Yeon Kim;Hyunsik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473-475
    • /
    • 2008
  • 회사 전략과 경영 계획을 세우는데 다양한 통계 데이터를 사용한다. 데이터가 필요할 때 마다 데이터 추출을 요청하고 취합한 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해야한다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통계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배전업무의 통계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웹 기반 배전 통계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웹 기반으로 환경에 제약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풍부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편리하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여 통계 업무가 간소화 된다.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격자 기반의 통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 Kim, Munsu;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31-4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system which has regular shape and size. Grid is better solution than administrator boundary or census block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be able to use as a spatial unit on the map flexibly. On the other hand, we need the additional process to convert the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to grid if we use the current method which is areal interpol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3 steps to convert the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to grid. 1)Geocod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2)Converting the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defining the spatial relationship, 3)Attribute transformation considering the data scale measurement. This method applies to the population density of Seoul to convert to the grid. Especially, spatial autocorrelation is performed to check the consistency of grid display if the reference data is different for same statistic information. As a result, both distribution of grid are similar to each other when the population density data which is represented by census block and building is converted to grid. Through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it is demonstrated to be able to perform the consistent data conversion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Market Research - 전국 커피자판기 설치 현황, 베일을 벗다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10 no.2
    • /
    • pp.27-29
    • /
    • 2010
  • "전국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커피자판기가 몇 대가되나요?" 협회로 이런 문의를 하는 전화들이 가끔씩 걸려 온다. 이렇게 외부에서는 실질적으로 자판기 운영대수를 궁금해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협회에서 내는 통계는 매년 생산량기준으로 집계가 되기 때문에 이런 궁금증을 흡족하게 풀어주지 못했다. 실제 운영 중인 커피자판기의 추정대수 정도만을 이야기 할 수 있었지,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해 왔다. 이 같은 현상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커피자판기들의 대수를 합산하여 통계를 내는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전문 운영업자들의 수도 무척 많은 데다가, 거미줄처럼 연계된 개인 운영자까지 포함을 하면 통계 대상이 엄청 광범위해 진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통계 데이터를 합산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캔음료자판기의 경우는 그래도 대형 음료업체의 수량 데이터를 제공받으면 객관적인 집계가 가능한 점과는 차이가 있다. 이런 탓에 국내는 커피자판기 운영 통계에 대한 갈증이 컸다. 전국에 몇 대 커피자판기가 운영되는지 지역별 분포는 어떻게 되는지 알고자 하는 수요는 많았지만 정보공급자는 없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금호 '마켓 리서치'에서는 운영 통계에 대한 정보갈증을 해소시키는 데이터를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하는 자료는 전국에 영업 신고된 식품자판기의 전체 통계이다. 본지에서 이미 지난 2009년 여름호에 '서울시 영업신고된 식품자판기 운영 현황'을 분석한 기사를 게재하여 큰 반향을 일으킨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되는 데이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해 정보가치가 더 크다. 과연 전국에는 몇 대의 식품자판기가 설치되어 있고, 지역별 어떠한 분포와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 PDF

EXCEL을 이용한 통계교육용 통계소프트웨어의 개발

  • Seong, Byeong-Chan;Song, Dae-Geon;Jo, Sin-Seop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4a
    • /
    • pp.79-82
    • /
    • 2004
  • 본 발표에서는 1998년 서울대학교 통계학과에서 개발한 KESS(Korean Educational Statistical System; http://stats.snu.ac.kr/time)의 추가로 개발된 내용을 소개하기로 한다 (조신섭 외, 1999). 추가로 개발된 모듈(module)들은 통계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분석법들 중에서 회귀분석, 시계열분석과 연관된 내용들이다. 기존의 여러 가지 통계패키지와 비교해 보아 효율적인 통계교육을 위한 필수적인 옵션 및 분석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 PDF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확률통계 교육

  • Lee, Sang-Bok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87-9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시행된 일본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수학과 구성과 성격을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상의 확률통계교육의 구성과 성격 및 편제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위주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및 편제의 특징은 통합학습시간 신설로 미국식 주제 교육의 도입, 완전학교 주 5 일제실시, 중고 일관교육, 단위제 고등학교학교 신설, 종합 학교의 설치로 설명된다. 확률통계 교육의 내용과 범위는 과거 교육과정과 크게 달라진 점은 없으나, 7교과 분야 가운데 3 교과 부분에 자료 위주의 실용통계계산 교육과 통계소프트웨어교육 강화가 그 특징이다.

  • PDF

eCRM(electron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분석

  • 안정용;김석기;한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29-134
    • /
    • 2000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적절한 분석 단계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통합(수집, 관리, 분석,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고객관계관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eCRM 시스템의 구조 및 기능 등에 대해 살펴보고,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웹 데이터의 유용한 활용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데이터 퓨전 : 개념, 문제, 대안

  • 한상훈;하덕주;최종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7-281
    • /
    • 2004
  • 최근 마케팅 현업에서 마이크로 마케팅(Micro Marketing)이 마케팅 기법의 화두로 등장하면서 데이터 퓨전(Data Fusion) 또는 데이터 인리치먼트(Data Enrichment)가 각광받는 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퓨전의 개념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통계적 문제와 그 대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