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 건조

Search Result 46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on of Soil Drying Techniques (토양건조방법들에 대한 평가)

  • Lim, Sookil H.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6 no.2
    • /
    • pp.168-178
    • /
    • 1983
  • Influence of several dehydration treatments on original structure and water behavior in the process of drying were investigated employing three hawaiian volcanic ash soils and four synthetic minerals. These three soils were developed under different rainfall condition and contained three different amount of amorphous materials in them. Measurement of water losses by oven drying at $105^{\circ}C$, $P_2O_5$ drying, freeze drying, and critical point drying revealed that more water losses were noted by oven drying than by three other drying techniques and the differences of water losses between oven and $P_2O_5$-drying were closely related to amoun: of amorphous materials in them, showing the order of Kaiwiki > Hilo > Kawaihae. This indicates that dehydration of amorphous materials by elevated temperature ($105^{\circ}C$) excluded water beyond that in the adsorbed (hygroscopic) state. The effect of dehydration treatments on initial structure was visual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icrographs showed that oven-and $P_2O_5$-dried samples formed into large mass of sub-angular blocky, dense, and closed crumbs, while the freeze dried and critical point dried samples resulted in less shrinkage, and small, fluffy and open spongy structure. However, critical point drying technique produced bulkier, softer, and greater open structure samples than even freeze drying. Additional Index Words: original structure, synthetic minerals, critical point drying, $P_2O_5$ drying. 1. This is a part of author's Ph.D.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University of Hawaii, Honolulu, Hawaii 96822 in 1979. 2. Professor of Agricultural Chemistry, Korea University.

  • PDF

Effect of Water-Thoroughly-Rinsing in the Artificially Metal-Contaminated Soil Preparation on Final Soil Metal Concentrations (인위적 중금속 오염 토양 제조과정에서 최종 세척과정이 중금속 토양 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ur, Jeong-Hyun;Jeong, Seu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9
    • /
    • pp.670-676
    • /
    • 2011
  • Artificially metal-contaminated soils have been widely used for lab-scale soil washing and soil toxicity experiments. The artificial soil contamination methods consist of 1) first equilibrating soils with heavy metal solution, 2) filtrating or centrifuging soils from the mixture and 3) finally drying the soils. However, some of those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experiments have not clearly shown that the soils were thoroughly rinsed with water prior to conducting experi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 of heavy metal release from the artificially metal-contaminated soil by pre-water-rinsing. Three different artificially metal-contaminated soil preparation methods were first evaluated with Cd and Pb concentrations of soil. Th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water-rinsing on the Cd and Pb concentration of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he soil produced by equilibrating and drying the metal solution-soil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pre-water-rin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d that experimental results would be significantly distorted when the artificially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were not thoroughly water-rinsed prior to conducting experiments. Therefore, the initial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should be determined after thoroughly rinsing the soil that was previously obtained through the adsorption and dry stages.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at Yongdam-Guryang study catchment (용담-구량천 유역의 유출 특성 분석)

  • Lee, Hyo Sang;Chang, Hyung Joon;Hwang, Myung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7-527
    • /
    • 2016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 등으로 인하여,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등 수자원관리에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토양수분량, 강우량, 수위관측 및 증발산량 관측이 수행되고 있는 용담-구량천 유역을 대상으로, PDM 토양저류 함수 모형을 습윤(6월~9월) 및 건조(10월~5월)기로 분리 적용하여 기간에 따른 유역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습윤 및 건조기의 유출률(유량/총강우량)은 각각 0.61~0.65와 0.31~0.42으로 서로 다른 유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2014~2015년 유역의 관측 토양 수분 자료(심도 100~200mm)와 PDM 토양저류 함수를 활용한 모의 결과가 습윤기에서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R2=0.9). 이를 바탕으로 용담-구량천 유역의 토양 저류 및 유출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간을 습윤기 및 건조기로 분리하여 각각의 유역 유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단기 홍수 사상의 분석을 통한 홍수 유출 및 토양 저류 분석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mediation of the Diesel Contaminated Soils Using Thermally Enhanced Soil Vapor Extraction Process with Microwave Heating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토양증기추출 공정에 의한 경유 오염 토양처리)

  • 김종운;박갑성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9 no.1
    • /
    • pp.39-46
    • /
    • 2004
  • Removal efficiencies for diesel fuel and diesel hydrocarbons ($C_10$$C_22$) using microwave-enhanced SVE process were evaluated with dry and moist soil, respectively. Diesel removal rates of microwave-enhanced SVE process were 7 times for dry soil and 1580 times for moist soil as great as those of the SVE process without microwave heating. High dielectric property of water contents may accelerate the absorption of microwave energy into soil and thus vaporized the diesel fuel components drastically. The diesel removals were 67.7∼78.4% for $C_10$ and $C_12$, and 0∼18.5% for $C_14$$C_22$ for dry and moist soil with SVE process only. On the other hand, dry soil with microwave-enhanced SVE process showed 89.3∼99.4% removal for $C_10$ to and $C_12$ and 35.6∼67.0% for hydrocarbons over $C_14$. All hydrocarbons ($C_10$$C_22$) studied were significantly removed (93.6∼99.8%) for moist soil with microwave-enhanced SVE process.

Analysis of Land Subsidence and Microwave Penetration on Drying Mudflat by using a Polarimetric Scatterometer Experiment (다편광 산란계 실험을 통한 개펄 건조시의 지반 침하와 마이크로파 침투 분석)

  • Lee Hoon-Yol;Chae Hee-Sam;Cho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45-148
    • /
    • 2006
  • 새로 조성된 간척지 갯벌이 건조 수축하면 지반 침하와 더불어 토양 내로의 마이크로파의 침투 깊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인공위성 DInSAR를 이용하여 지반 침하량을 구하고자 할 때, 건조 시 동시에 발생하는 마이크로파의 개펄 침투 현상을 규명하여 보정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편광 산란계(Polarimetric Scatterometer)를 구성하여 건조 개펄에 대한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PolScat의 구성은 5.0-5.6GHz 대역의 dual-polarization square horn antenna를 사용하였으며 Agilent 8753ES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길이 2m, 폭 2m, 높이 20cm의 개펄 샘플을 약 6주 동안 실내에서 건조시켜 위상을 측정한 결과 지반 침하와 함께 약 4mm의 마이크로파 투과현상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인공위성 DInSAR 지반침하량 계산에 있어서 반드시 토양 수분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토양 침투 깊이를 보정해 주어야 함이 밝혀졌다.

  • PDF

Verification of Soil Volumetric Water Content Measured by TDR, FDR Sensors (TDR, FDR 센서로 측정한 토양수분 함량의 정확성 검정)

  • Hur, Seung-Oh;Jung, Kang-Ho;Park, Chan-Won;Ha, Sang-Keon;Kim, Je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29-235
    • /
    • 2007
  • 관개나 수분수지 규명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는 토양수분 함량이다. 그러나, 포장상태에서의 토양수분 함량은 직접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많은 경우 건조기를 이용한 중량수분 함량측정 방법을 이용하거나 토양수분 포텐셜 측정용인 텐시오미터를 이용한 토양수분의 에너지 특성을 관개에 활용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중량수분 함량은 시료를 채취해서 건조하기 때문에 시료채취 당시의 토양수분 함량을 아는 것이 어렵고, 토양수분 포텐셜은 에너지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역시 토양의 수분함량을 얻는 것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최근에 이런 측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포장에서의 토양수분 함량을 직접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개발하고 있고 있다. 그 중 몇 가지는 현재 우리나라에 공급되고 있는데, 가격 등의 문제로 별로 알려져 있지는 않다. 센서는 현장에서 수분함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관개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며 자동화시설이나 수분수지 모형 산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있는 몇 가지의 토양수분 측정용 센서를 현장에서 코어를 이용해 측정한 용적수분 함량과 비교하여 센서의 정확도나 이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코어를 이용해 실측한 토양 용적수분 함량과 비교하고자 7종의 센서를 선택해 실험에 이용하였다. 가격이 비싼 것으로 알려진 TDR 형태의 센서가 2종이었으며, 나머지 5종은 FDR 형태의 센서였다. TDR 센서는 Soilmoisture사에서 제작한 MiniTrase와 Imko 사의 Trime이고, FDR은 Sentek사에서 개발한 EasyAG, EnviroSCAN과 Delta-T사에서 제작한 PR-1과 WET-2 및 Decagon사에서 제작한 $ECH_2O$ 센서였다. 실헙방법은 본량사양토인 포장에서 건조한 상태인 시험구와 물이 포화된 시험구를 만들어 놓고, 그곳에서 센서 종류별로, 측정 깊이별로 토양의 용적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센서로 측정한 위치 바로 옆에서 코어를 이용해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건조기에 건조해 용적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비교결과 TDR인 MiniTrase가 결정계수$(r^2)$가 0.964이고 표준오차(SE)가 0.01로 좋은 결과를 보여줬고 WET-2가 $r^2$와 SE가 0.932와 0.013이였으며 EasyAG는 0.877과 0.0211, EnviroSCAN은 0.803과 0.0259의 값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토양수분 함량 측정오차가 1% 미만인 센서가 정확한 수분함량 해석을 유도할 것이지만 위의 센서 중 MiniTrase를 비롯한 4개의 센서 정도가 토양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Changes of Pore Size Distribution in Soils at Different Water Conditions (수분조건(水分條件)에 따른 토양(土壤)의 공극분포(孔隙分布) 변화(變化))

  • Jo, In-Sang;Rao, Y.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6 no.4
    • /
    • pp.284-288
    • /
    • 1993
  • Tow Kinds of Soils, vertisol and alfisol, were selected and analyzed pore space distribution(PSD) by mercury intrusion method and soil water potential after freeze-drying from different water conditions, such as 0.033MPa, 1.5MPa and ovendry. The PSD values measured by mercury intrusion method were higher in large pores than the values from soil water potential. Also, there were big differences of PSD by the changes of the water content befor freeze-drying.

  • PDF

논단 - 나무가 숨쉬는 토양 -나무와 토양환경(3)-

  • Park, Hyeon-Jun
    • Landscaping Tree
    • /
    • s.123
    • /
    • pp.46-55
    • /
    • 2011
  • 수목이 토양환경에 의해 피해를 보았을 때 토양 자체의 건조 괴습 문제 등 토양불량과 사람에 의해 복토, 심식되었을 때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토양의 심상중 토양공극 내 수분과 공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이번 연재에서는 토양환경 불량에 대한 여러 가지 예와 병징, 방제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from Burnt Mountain (산불지역 유실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 Shin, Seung-Sook;Park, Sang-Deog;Kim, Seon-Jeong;Shin, Eun-Ju;Lee, Kyu-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41-545
    • /
    • 2010
  • 식생이 소실된 산불 피해 지역에서 유실되는 토양의 식생회복에 따른 정량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사면토양과 유실토양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산불 이후 10개의 조사구에서 강우에 의해 유실토양의 양을 측정한 후 토양을 건조시켜 보관하였다. 토양의 입도분석, 유기물함량, 건조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전처리한 토양수는 ICP를 이용하여 Fe, Mn, P, Al, Zn, Na, Mg, K, Ca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산불 이후 시간경과에 따른 조사구별 식생 회복은 빠른 지역과 느린 지역으로 크게 구분한다. 재생이 불량한 지역은 재생이 왕성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었다. 사면토양의 성분분석 결과 재생불량 지역의 성분함량이 가장 작았으며, 재생왕성 지역은 비피해지에 비해 성분함량이 대체로 높았다. 유실토양의 성분분석 결과 식생회복이 느린 조사구에서 영양염류 함량이 대체로 낮았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느린 조사구에서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기 때문에 정량적인 영양염류의 소실량은 가장 많았다. 따라서 지표식생이 없는 지역은 다량의 토양유실로 인해 다량의 영양염류가 소실되어 식생 재생을 더디게 만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ent on Leaf Water Potential and Photosynthesis in Soybean Plants (토양성분이 콩의 잎 수분포텐셜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 류용환;이석하;김석동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1 no.2
    • /
    • pp.168-172
    • /
    • 1996
  • The soil moisture content and its relation to plants may b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crop growth and yield.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leaf water potential and photosynthetic activity in soybean plants as affected by the timing of soil water stress. The soybean variety, 'Tachinagaha', was grown in a pot. The 15 day-old seedlings were subject to the three levels of soil moisture content(25, 40 and 55%) for 25 days. Then the treated soybean plants were placed again at the level of 25% soil moisture content for 25 days, and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ch was well-watered at 40% level for whole growth period. Soybean plants grown under continuous drought showed higher apparent photosynthetic rate(AP) than those under well-watering /drought in the first /second water treatment, suggesting that AP was adjusted after previous acclimation to drought. Over a wide range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ies(PPFD), drought or excessive water stress resulted in the decrease in A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AP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decreased in soybean plants subject to water deficit stress, suggesting that AP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more sensitive to drought than excessive water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