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화

Search Result 2,0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밭과 시설재배지 토양의 인산가용화 미생물의 특성)

  • Suh, Jang-Sun;Kwon, Jang-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5
    • /
    • pp.348-353
    • /
    • 2008
  • With the aim to explore the possible role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 we conducted a survey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colonizing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Soil EC,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cation such a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and total P of plastic film house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of upland soils.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population was higher in plastic film house soils than upland soils, but species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was more diverse in the upland soils than the plastic film house soil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osphate solubilization and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s. Bacillus, Cedecea, Brevibacillus, Paeni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spp. were isolated from upland soils and Bacillus and Cellulomonas spp. were from plastic film house soils.

Nitroge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of Selected Piedmont Soils in North Carolina (Piedmont토양(土壤)에서의 질소(窒素) 무기화(無機化) 및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 특성(特性))

  • Shin, Joung-Du;Reddy, G.B.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1
    • /
    • pp.23-28
    • /
    • 1997
  • A better understanding of nitrogen transformations in soils is essential to increase fertilizer nitrogen use efficiency. A laboratory incubation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net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 selected Piedmont soils. Net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creased up to 60 days in the surface layers of Enon, Mecklenburg and Chewacla. After 60 days both processes declined up to 90 days incubation. In Wehadkee,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did not differ with incubation time. In all subsurface layers,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creased with time up to 90 days.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differed among soils in surface and subsurface layers. These differences might be influenced by soil type related to amount of mineralization, soil aeration and nitrifying bacterial populations. A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was greater in surface layers than in subsurface layers.

  • PDF

Immobilization of Pb-contaminated Soils using Phosphate (인산염을 이용한 납오염 토양의 고정화)

  • 박준형;곽문용;신원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52-25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인산염을 이용여 납으로 오염된 Clay 사격장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자연토양의 중금속의 고정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산염 고정화제로는 DAP (diammonium phosphate)를 사용하였다. DAP를 투입한 중금속 오염토양을 고정화 실험과 TCLP로 용출 하였을 때, 99% 정도 고정화되었다. 인산염 투여양이 증가할수록 고정화 효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인투입량은 128 mmol as P/kg인 것으로 나타났다. DAP 투입양이 증가할수록 토양의 pH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초기 pH 변화에 따라 고정화 효율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pH가 높을수록 고정화 효율은 작은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ng the Influence of Liquid Organic Polymer on Soil Aggregation and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유기중합물이 토양의 입단화와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Kook;Minner, David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5 no.1
    • /
    • pp.69-72
    • /
    • 2011
  • Soil aggregate is a vigorous procedure including soil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Pore space created by binding these particles together improves retention and exchange of air and water. Various researches have reported that the benefits of organic polymers that may increase aggregate stabil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if a liquid organic polymer mixture has any influence on perennial ryegrass quality or soil aggregation. $Turf2Max^{(R)}$ was applied to two soils as a source of liquid organic polymer. Fine-loamy soil from local Iowa topsoil with 4.0% organic matter was screened and dried. Commercial baseball infield clay, $QuickDry^{(R)}$, was used as the second soil There were three rates of liquid organic polymer (0, 2, and 4%). there was no visual improvement in turf grass color, quality, or growth by using organic polymer. It is possible that aggregate stability increases with use of organic polymer. The aggregate stability study needs to be repeated in the greenhouse and then substantiated under field conditions for these preliminary observations.

A study for spatial soil moisture downscaling method using MODIS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으로부터 산정된 토양수분자료의 상세화(Downscaling)기법 적용 및 고찰)

  • Joh, Hyung Kyung;Jang, Sun Soo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1-31
    • /
    • 2015
  •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시료를 채취하거나 현장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추정하지만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기 ?문에 유역내의 공간적인 토양수분 분포를 추정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토양수분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대기현상, 토양수분, 식생현황 등을 관측하는데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위성 관측이며, 기본적으로는 위성에 탑재된 센서가 각 주파수대역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면 이를 특정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원하는 값을 도출하게 된다. 토양수분 산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위성영상으로는 SMOS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ARMS-E(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 Earth Observing System), ARMS2 (ARMS ver.2) 영상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위성은 해상도가 약 10 km ~ 40 km로 상당이 낮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이 면적이 좁고 지형이 복잡하며 다양한 토지피복이 밀집되어있는 곳에서는 기존 수문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 공간지도 산정을 위해 상세화(Downscaling)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RMS2 토양수분 영상을 MODIS 영상의 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알베도 및 온도를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상세화된 토양 수분 지도를 작성하였고, 유역 내에서 실제 측정되고 있는 토양수분 관측값을 활용하여 상세화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Evaluation for the application of WRF meteorological data on grid-based soil moisture model in upland (WRF 기상자료의 밭 토양 물수지 모형 적용 및 효과 분석)

  • Hong, Min Ki;Lee, Sung Hack;Choi, Jin Yong;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3-213
    • /
    • 2015
  • 밭에서의 점적 관개를 이용한 노지 재배의 경우 적정 관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밭 토양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통해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작물의 증발산량 및 토양의 수분함량을 모의할 수 있는 격자 기반 토양 물수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작물의 소비수량 및 필요 수량을 파악함으로써 작부기간 중 필요한 관개수량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도화 기상자료로는 국가농림기상센터에서 운영 중인 고해상도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형에서 생산된 격자 형태의 복사, 온도, 바람, 강수 자료를 사용하였고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해상도 별로 모의되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 간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수지 모형에 입력되는 격자형태의 자료로는 기상,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가 있으며 기상자료의 경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 810, 2430m로 동일한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적용했으며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의 경우 기상 격자의 최소 크기에 맞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m인 격자로 분할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한 모의 결과 각 격자별 작물 증발산량, 토양수분함량 및 관개수량의 일 연별 시계열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간대 격자별 수문인자 값을 산정하고 위치에 따른 공간적 상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크기에 따른 밭 토양 물수지 분석 결과를 통해 고도화 기상 격자의 규모별 밭 토양 물수지 분석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시험 지역(Test Bed) 선정을 통해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을 실측하고 본 모형의 모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정하는 것을 향후 연구 계획으로 한다.

  • PDF

Spatial Downscaling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in Northeast Asia (기계학습을 활용한 동북아시아 지역 위성 토양수분 데이터 상세화 연구: AMSR2, ASCAT 데이터를 활용하여)

  • Choi, Min Ha;Kim, Seongkyun;Kim, Hyung L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08-208
    • /
    • 2016
  • 수문순환과정의 시공간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를 정량화 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특히 토양수분은 물 에너지 순환에서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수문인자로,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각도로 발전되어 왔다. 그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토양수분 산정은 미계측 지역의 토양수분을 지속적이고 광역적이게 관측할 수 있는 선진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위성 자료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 해상도는 복잡한 지형 환경을 대상으로 한 지역의 원격 탐사로서는 국지적인 수문학적 현상들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의 70% 정도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도가 $5^{\circ}$ 이하의 평탄한 지역은 약 23%에 그치는 등 복잡한 식생 지형 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의 해상도와 식생 투과도를 고려할 때 저 해상도의 위성 토양수분만으로는 우리나라와 같이 면적에 비해 복잡한 환경에 기반 한 수문학적 현상들을 충분히 분석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ASCAT과 AMSR2 위성 토양수분의 상세화를 수행하여 고해상도의 토양수분을 산정하였고, 이를 지점관측 자료와 비교해 상세화도 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검증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는 향후 자연재해 분석에 있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수문순환 및 기후 모델링에 있어서 중요한 입력 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points of soil moisture observatories through temporal stability analysis method (시간 안정성 해석법을 통한 토양수분 관측소 대표지점 선정 연구)

  • Kim, Kiyoung;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4-384
    • /
    • 2021
  • 토양수분량 측정은 대표적으로 유전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토양수분 측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비교적 정확하고 연속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토양수분량은 인근의 동종(homogeneous)의 지형일지라도 측정 위치에 따라 값과 변화 특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각 지점마다 토양, 식생, 지형 등의 다양한 환경 때문에 발생하며, 이러한 다양한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기란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적 안정성 해석(Temporal stability analysis) 개념을 통해 기 설치된 토양수분의 지속적인 토양수분 패턴을 식별하고 선택된 대표 센서 위치에서 전체적인 평균을 산출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미국에서도 위성을 활용한 지상검증 연구를 위해 측정 그리드(grid)별로 시간적 안정성 해석 개념을 통해 지상 측정 네트워크 체계를 갖추었다. 국내에서도 최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연구가 많아짐에 따라 측정 지역의 대표 토양수분 값을 선정하는 연구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수문자료의 지속성을 위해 결측을 최소화 방안으로 관측소 이중화 지점을 선정하는 연구의 필요성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설마천, 청미천 토양수분 관측소에 구역별 시간 안정성 해석법을 수행하여 추후 지점의 대표 토양수분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중화 설치 지점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Estimation of the Effect of Rainfall Interception on Soil Respiration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in Western Japan (일본 서부 낙엽활엽수림의 차단 강수가 토양호흡에 미치는 영향 평가)

  • Tamai, Koj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1 no.4
    • /
    • pp.247-251
    • /
    • 2009
  • To estimate the effect of rainfall on soil respiration, soil $CO_2$ efflux was measured with a manipulation of rainfall interception at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in western Japan from 20 February to 19 November 2001. The diurnal patterns of soil respiration observed at the intercepted subplot ($F_c$) were quite similar to those of soil temperature at 0.2 m depth with a maximum around midnight and a minimum from noon to early afternoon. Such diurnal patterns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previous studies at the same study site under natural conditions (which manifested no clear diurnal variations). Furthermore, the magnitudes of $F_c$ showed substantial differences (e.g., ~50% reduction under water-limited conditions) compared to those of the potential soil respira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F_{cal}$).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rainfall events not only affected the magnitude of soil $CO_2$ efflux but also modified the vertical structure of soil temperature, thereby altering diurnal patterns of soil respiration.

토양컬럼을 이용한 도금공장 유출수의 고도처리

  • Jeong, Gyeong-Hun;Kim, Se-Yeong;Im, Byeong-Gap;Choe, Hyeong-Il;Park, Sang-Il;Kim,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77-381
    • /
    • 2006
  • 실험실 규모의 토양컬럼을 사용하여 도금폐수처리장의 유출수를 대상으로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입수 $NH_4-N$의 대부분은 질산화 토양컬럼에서 질산화 되었으며 HRT가 단축되면 제거율이 낮아졌다. 2) 질산화 토양컬럼에서 생성된 $NO_3-N$은 탈질 토양컬럼에서 탄소원이 없으면 탈질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주입하면 대부분의 $NO_3-N$는 탈질되었다. 3) 탈질 토양컬럼에서 HRT 72시간일때 T-N 제거율은 81.5%이었고 HRT 48시간일 때는 77.8%이었다. 4) 유입수 평균 T-P농도는 13.06 mg/L이고 탈질 토양컬럼에서의 유출수 평균 T-P는 0.83 mg/L로 제거율은 96.83% 이었다. 5) 실험기간 동안의 COD변화는 탄소원으로 메탄올 주입했 때와 HRT 변화시를 제외하고는 25 mg/L이하로 처리되었으며, 질산화 토양컬럼에는 폐굴껍질을 충진한 결과 $NO_3-N$의 생성에도 불구하고 pH 8.5정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