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지도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Jangseong (장성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 Chung, Il-Moon;Kim, Youn Jung;Park, Seunghyuk;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1-301
    • /
    • 2015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장성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장성군을 포함하는 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1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광주, 정읍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장성군을 포함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5년~2013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3.0%,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19.5%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13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장성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장성군 평균 함양률은 20.3%로 산정되었다.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Gimcheon region (김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 Chung, Il-Moon;Park, Seunghyuk;Chang, Sun Woo;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0-410
    • /
    • 2017
  •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김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김천시를 포함하는 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19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구미, 추풍령, 거창, 상주 기상관측소와 김천, 지례, 부항1, 부항2, 선산 강우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및 강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김천시를 포함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8년~2015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1.2%, 증발산률은 36.3%, 함양률은 18.0%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19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김천시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김천시 평균 함양률은 18.2%로 산정되었다.

  • PDF

Expectation Analysis of Inundation Using Distributed Model in NamgangDam Basin (분포형 모형을 적용한 남강댐 유역의 침수예측 분석)

  • Park, Mi Ri;Park, Sung Je;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4-584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침수지역에 대한 공간적인 분석과 사전 예측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별 평균화된 매개변수로 홍수량을 산정하는 집중형 모형이 아닌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의 유출량 산정 및 침수예측을 분석하였다. 분포형 모형은 격자체계를 기반으로 유역에 각 격자별 공간적 특성이 반영된 매개변수를 적용하므로 유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므로 집중형 모형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등의 격자크기 $240{\times}240$의 지형공간 자료를 ArcGIS를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의 Flow direction, 경사도, 하도경사, 불투수율, 유효공극률, 조도계수, 토양심도, 수리전도도, 토양흡인수두 등의 수문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강우 자료의 경우 티센(Thiessen)법에 의해 선정된 남강댐유역 주변의 장수, 거창, 진주, 합천, 산청, 남원 강우관측소의 100년빈도 확률강우량 산정하여 24시간 확률강우를 3분위 Huff 분포시킨 후 강우의 공간적 통계특성을 반영하는 크리깅(Kriging)기법으로 적용하여 강우보간을 실시하였다. 침수예측을 위해 $Vflo^{TM}$모형을 이용해 48시간의 강우모의시간 홍수수문곡선 유도 및 홍수량 산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침수 시뮬레이션하여 침수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작성 시 침수심의 정도에 따라 5개의 구간으로 분류해 침수위험지역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도식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유역의 침수위험지역을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조밀한 격자크기와 강우를 이용하여 분석한다면 향후 피난 정보 제공과 홍수재해지도 작성, 홍수방지 시설물 건설 또는 홍수보험계획 등에 응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coclimatic Map over North-East Asia Using SPOT/VEGETATION 10-day Synthesis Data (SPOT/VEGETATION NDVI 자료를 이용한 동북아시아의 생태기후지도)

  • Park Youn-Young;Han Kyung-S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8 no.2
    • /
    • pp.86-96
    • /
    • 2006
  • Ecoclimap-1, a new complete surface parameter global database at a 1-km resolution, was previously presented. It is intended to be used to initialize the soil-vegetation- atmosphere transfer schemes in meteorological and climate models. Surface parameters in the Ecoclimap-1 database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per-class value by an ecoclimatic base map from a simple merging of land cover and climate map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ecoclimatic map is to consider intra-class variability of life cycle that the usual land cover map cannot describe. Although the ecoclimatic map considering land cover and climate is used, the intra-class variability was still too high inside some classes. In this study, a new strategy is defined; the idea is to us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S10 NDVI SPOT/VEGETATION profiles to split a land cover into more homogeneous sub-classes. This utilizes an intra-class unsupervised sub-clustering methodology instead of simple merg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a new ecolimatic map over Northeast Asia in the framework of Ecoclimap-2 global database construction for surface parameters. We used the University of Maryland's 1km Global Land Cover Database (UMD) and a climate map to determine the initial number of clusters for intra-class sub-clustering. An unsupervised classification process using six years of NDVI profiles allows the discrimination of different behavior for each land cover class. We checked the spatial coherence of the classes and, if necessary, carried out an aggregation step of the clusters having a similar NDVI time series profile. From the mapping system, 29 ecosystems resulted for the study area. In terms of climate-related studies, this new ecosystem map may be useful as a base map to construct an Ecoclimap-2 database and to improve the surface climatology quality in the climate model.

Monitoring of Chemical Properties from Paddy Soil in Gyeongnam Province (경남지역 논 토양 화학성분 변동조사)

  • Lee, Young-Han;Lee, Seong-Tae;Heo, Jae-Young;Kim, Min-Geun;Hong, Kang-Pyo;Song, Won-Doo;Rho, Chi-Woong;Lee, Jin-Ho;Jeon, Weon-Tai;Ko, Byong-Gu;Roh, Kee-An;Ha, Sang-Ke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2
    • /
    • pp.140-146
    • /
    • 2010
  • Monitoring of the dynamic changes at paddy rice agriculture is very important for agricultural sustainability. Field monitor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260 paddy soil samples every four years from 1999 to 2007 in Gyeongnam Province.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silicate,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exchangeable cations, and available silicat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07 compared to 1999. The chemical contents of organic matter, exchangeable potassium, and magnesiu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id sulfate soil, and silty clay loam compared to those of other soil types, and textures. Especially, content of organic matt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ll area compared to other soil topographies, while exchangeable potassi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of chemical properties in paddy soils was obtained with eigenvalues > 1 summing 39.1%of variance for PC1, 20.4%of variance for PC2, and 59.5%of the total variance in the all of soil chemical properties. Therefor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more effective for monitoring from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GIS technolgy for analysing regional geologic hazards (Landslides) (광역 지질재해분석(산사태)을 위한 GIS활용)

  • 김윤종;김원영;유일현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 no.2
    • /
    • pp.131-140
    • /
    • 1992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was applied for analysis of the potential degree of regional geologic hazard, especially landslide hazards in the suburb of Seoul City, whereby a regional geologic hazard map was produced. The factors causing a landslide such as slope geometry, geology, groundwater, soil property, rainfall and vegetation were incorporated through GIS in order to predict the potential hazards in this area. Cartographic simulation was finally made with these factors to produce a regional geologic hazard map. For this study, ARC/INFO and ERDAS systems were used in SUN 4-390 workstation.

  • PDF

Molecular Cloning of Antagonistic Genes in Pseudomonas maItophiliQ B-14 (토양병해 길항성 Pseudomonas maltophilia B-14의 길항유전자탐색)

  • 구본성;서영우;윤상홍;박경수;은무영;김용환;오상우;류진창;은무영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20 no.6
    • /
    • pp.619-624
    • /
    • 1992
  • Tn5 lac 삽입으로 채소입고병원균에 길항력이 약화된 T-67 및 고추역병균과 참깨역병균에 길항력이 약화된 T-81의 Tn5 lac 유전자 일부와 오른쪽 말단에 있는 길항관련 유전자의 flanking sequence가 cloning된 pAG67 및 pAG81 clone을 선발하였고, pAG67 및 pAG81 clone된 길항관련 유전자의 flanking sequence를 야생 길항균 Pseudomonas maltophilia B-14의 DNA를 probe로 사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으로 확인하였으며,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여 8Kb 및 4Kb 크기의 flanking sequence가 cloning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AG6 및 pAG81의 flanking sequence를 EcoRi-BglII와 EcoRI-MpaI으로 분리하여 유전자 은행으로부터 길항관련 유전자가 cloning된 cosmid clone 7개주를 선발하였다.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231호

  • Jeong, Jin-Yeong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31
    • /
    • pp.1-12
    • /
    • 2006
  • 제28회 한국유기농업대회 준비돌입/환경호르몬으로부터 자유로워질수 있는 길/우리의 산야초/연속 강우에 따른 과일나무 잎의 갈변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김제지평선축제, 성공적으로 개최돼/신태인 유기농 포도축제 성료/질병 예방을 위한 식사/일본,고령화와 웰빙 붐으로 건강식품시장 '폭발'/스위스,유기농가 급속 확산/LA,'건강빵'경쟁 후끈~후끈/일본,학교급식용 중국산 냉동가지 풋콩에서 잔류농약 검출/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전남도, 전국 최초 '친환경축산 5개년 종합계획'수립/배추 노균병 어떤 병인가?/고추.방울토마토 증수/중국 박람회 및 유기농장 연수기/"유기가공식품" 인증 법제화 추진/국내외 친환경 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 실태/친환경 유기낙농의 정착 방안/9월중 새식구 명단/농촌진흥청,토양전자지도,휴대폰 영농정보 제공/친환경인증기관협의회 출범/친환경농자재'목록공시제'시행/충주시,친환경바이오농업 확대 추진/제주,친환경농업 발전전략 심포지엄 개최/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유기질 비료의 이해

  • PDF

Effective Methods on the Conservation of Specific Plant Species

  • Park, In Hwan;Ra, Jung Hw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8 no.1
    • /
    • pp.121-132
    • /
    • 1999
  • 효과적인 특정식물종에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척 측면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특정식물종의 분류항목을 보다 더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각 항목별 지정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조사의 범위를 특정지역에 대한 부분적 조사가 아니라 국토 및 지역차원에서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조사내용도 특정식물종만이 아닌 타 환경요인들(Biotope, 식물지리적 분포, 토양조건 등)을 함께 조사내용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3)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이나 경험에 의한 평가를 지양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4) 국가차원에서 특정식물종을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도제작, 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보전 및 장외보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적 차원에서의 개선책은 관계전문가들 사이에 보다 더 구체적인 논의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로서, 세부적인 연구는 차후 계속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haring the Experience of Mars Desert Research Station

  • Kim, Byung Man;Moon, Kyung S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2
    • /
    • pp.31.2-31.2
    • /
    • 2018
  • 미국 유타주 유타사막에 설치된 MDRS(Mars Desert Research Station)는 미국의 비영리기구인 화성학회(The Mars Society)에서 운영하는 화성탐사연구기지다. 화성학회는 1998년 우주비행사, 천문학자, 과학자 4000여명이 모여 만든 비영리연구단체다. 2001년 미국 유타주에 문을 연 MDRS에서는 토양 미생물 검출실험, 태양에너지 조리실험, 영구동토층 연구, 해빙 연구, 드론 정찰 및 지도 작성 등 인류가 화성에 도착했을 때 실제 수행할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tVN <갈릴레오 : 깨어난 우주> 촬영 차 MDRS에 머물며 과학실험을 수행한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천문학 및 우주탐사에 대한 대중화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