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인자

Search Result 1,0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Soil Cadmium Pollution Map Using Geotechnical Information DB System (국토지반정보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토양오염지도 구축)

  • Hwang, Dae Young;Kang, In Joon;Jang, Yong Gu;Kim, Soo Ky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13-19
    • /
    • 2016
  • This study presented the build-up of three-dimensional soil pollution map for precise analysis. To do this, survey on the existing pollutant region on Dongnae-gu, Busan that is the study subject, showed that it tended to produce 0.72 clusters. So, this study suggested to investigate center of $1km{\times}1km $ grid and, a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ollution map that input pollution figure values based on the actually investigation point showed precise results. And, it divided the standard of pollution into 5 levels in surface and underground space and the map was built up using IDW interpolation against the amount of polluted substance. The pollution of ground surface, flow of polluted substanc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ground water level that are 504 geotechnical informations were selected as the influential parameters in pollution analysis of underground space, and it calculated that to 0~20 points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It enables the build-up of pollution map of ground surface-underground with depth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ayers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general infiltration. And, it was considered that it enables more accurate forecast about influential analysis per depth and pollution of underground water.

Application of GIS to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for Quantifying Rainfall Erosion in Forest Watersheds (산림유역의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地理情報)시스템의 범용토양유실식(汎用土壤流失式)(USLE)에의 적용)

  • Lee, Kyu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3 no.3
    • /
    • pp.322-330
    • /
    • 1994
  •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has been widely used to predict long-term soil loss by incorporating several erosion factors, such as rainfall, soil, topography, and vegetation. This study is aimed to introduce the LISLE with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environment. The K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located in Kyongki Province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Initially, twelve years of hourly rainfall records that were collected from 1982 to 1993 were processed to obtain the rainfall factor(R) value for the LISLE calculation. Soil survey map and topographic map of the study area were digitized and subsequent input values(K, L, S factors) were derived. The cover type and management factor (C) 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Landsat Thematic Mapper(CM) satellite imagery. All these input values were geographically registered over a common map coordinate with $25{\times}25m^2$ ground resolution. The USLE was calculated for every grid location by selecting necessary input values from the digital base maps. Once the LISLE was calculated, the resultant soil loss values(A) were represented by both numerical values and map format. Using GIS to run the LISLE, it is possible to pent out the exact locations where soil loss potential is high. In addition, this approach can be a very effective tool to monitor possible soil loss hazard under the situations of forest changes, such as conversion of forest lands to other uses, forest road construction, timber harvesting, and forest damages caused by fire, insect, and diseases.

  • PDF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using Gavrilovi$\acute{c}$ model (Gavrilovi$\acute{c}$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추정)

  • Lee, Joon-Hak;Oh, Kyou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62-865
    • /
    • 2012
  • 유사량은 하천의 단면을 단위시간 동안 통과하는 토사의 양을 의미하며, 하천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유사량은 하천 유역의 지형적인 특성과 기상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GIS기반의 유사량 예측모델로서 국내에서는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과 유사운송비(Sediment Delivery Ratio)를 이용하여 유역단위 유사량을 예측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Gavrilovi$\acute{c}$ 모델은 유역의 총 연유사량을 예측하고 토양침식의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경험적 모형으로 지질 및 토양, 지형조건, 기후인자(연평균 강우량, 연평균 온도), 토지이용의 6가지 입력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Gavrilovi$\acute{c}$ 모델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서, 왕숙천 유역을 대상으로 Gavrilovi$\acute{c}$ 모델을 적용하여 유사량을 산정해본 결과, 실측값을 약 20% 내외로 비교적 근사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Watershed Subdivision on Hydrologic and Environmental Factor Predictions in SWAT Model (SWAT 모형에 의한 수문 및 환경인자 예측을 위한 유역분할의 영향)

  • Jang, Kyung-Soo;Jang, Kwang-Jin;Yeo, Woon-Ki;Ko, Jin-Seok;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78-1582
    • /
    • 2007
  •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한 수문 환경인자 예측에 있어서 적절한 소유역의 분할은 그 결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소유역의 크기, 규모 및 분할개수에 따라 유역모델링 과정과 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거동 특성과 유역수준별 소유역 분할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목적으로 낙동강의 제1지류이자 국제수문개발계획(International Hydrologic Project, IHP)의 국내 대표유역 중 하나인 위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각 유역별 소유역 분할 수에 따른 연평균 유출, 유사량 및 환경인자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여기서, SWAT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DEM, 토지이용도/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GIS 자료와 강우량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본 논문은 위천 유역에 대한 적정 소유역 분할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형 구축시간 및 모의시간 단축할 수 있어 모형의 적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il Moisture Retrieval of Mountainous Area on Korean Peninsula using Sentinel-1 Data (Sentinel-1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산지에서의 토양수분 복원 연구)

  • Cho, Seongk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2-102
    • /
    • 2019
  • 토양수분은 수문 및 기상 현상의 주요 요인으로 가뭄, 홍수 및 범람과 같은 자연 재해와 관련이 깊은 인자이다. 이러한 토양수분의 관측 기술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관측이 용이하고 지점이 아닌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토양수분의 관측에 유리하다. 특히 높은 해상도의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는 토양수분의 변동성이 큰 지역의 수문, 기상학적 현상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가뭄 및 범람과 같은 수자원 관련 재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요구된다. 이로 인해 최근 Sentinel-1 위성에서 운용중인 Synthetic Aperture Radar(SAR) 데이터를 이용한 매우 높은 공간해상도(10m~1km)를 지니고 있는 토양수분데이터 생산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Sentinel-1 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 데이터 복원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주 감악산 설마천 유역에서의 Sentinel-1 위성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를 복원하고자 한다. 파주 설마천 유역은 감악산 일대로 경사가 심하고 식생이 두터운 산악지형이다. SAR를 이용하여 산지에서 신뢰성 있는 토양수분 자료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가장 큰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사와 식생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표면 경사의 영향의 경우 SAR 센서의 레이더 입사각과 수치 표고 모델을 이용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다음 과정으로 표면 경사가 고려된 Sentinel-1 데이터의 후방산란계수와 Landsat-8 데이터 및 지점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에 따른 후방산란계수의 거동을 Water Clou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Water Cloud Model은 토양위의 식생의 수분이 후방산란계수에 혼동을 주는 구름과 같이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식생수분을 후방산란계수와 레이더 입사각 및 식생지수를 통해 계산하는 모델이며 이를 이용하여 토양수분 복원에 있어 식생의 영향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식생과 표면 경사를 고려하여 복원된 토양수분 데이터를 설마천 유역의 지점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고 다른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 및 강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반도 산지에서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토양수분 복원 기술의 기초가 마련될 것이며 이를 통해 산지가 대부분인 한반도의 토양수분 거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이후에는 연구결과분석을 통한 산지에서의 고해상도 토양수분 복원 알고리즘을 분석, 보완하고 한반도에서의 SAR 기반 토양수분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계층분석과정에 의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 적지분석

  • 손상철;이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307-310
    • /
    • 2002
  • 최근 물부족 현상은 심각한 사회ㆍ환경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이 대두되고 있다. 지표수와 지하수 연계이용은 수자원을 수문학적 순환 사이클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상호보완적 이용을 도모하는 통합적인 방안이다 본 연구는 계획 수립단계에서 연계이용의 가능성, 시급성 측면에서 최적의 대상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적지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기법(AHP)이 적용되었다. AHP를 통해 분석에 필요한 의사결정인자를 도출하였고, 그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화 하였다. 입지인자의 중요도를 바탕으로 가상의 지역에 대한 각 측면의 적합도를 산정하였고, 비중을 달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다양한 대안에 대하여 최종적인 적합도가 산정되었다. 이러한 방법론에 의거한 분석자료는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지역 간 연계이용 우선순위를 평가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을 위한 지역 적합도 평가

  • 이상일;서혜경;손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171-174
    • /
    • 2002
  • 지구적 차원의 물부족 현상은 우리에게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이 거론되고 있다. 지표수와 지하수 연계이용은 유역의 지표 및 지하수자원을 수문학적 순환 사이클의 통합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렇다 할 사례가 없는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의 첫 단계로서 연계이용 가능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적지분석 방법론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기법(AHP)이 채택되었고, 분석에 필요한 의사결정인자가 도출되었다. 각 인자의 상대적 중요도가 정량화 된 후, 이를 바탕으로 특정 지역의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 적합도가 산정될 수 있다. 개발된 방법론을 국내 두 개 지역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예시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에 의한 적합도 분석은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특정 지역의 연계이용 사업의 추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판단근거를 제공할 것이며, 지역 간 연계이용 우선순위를 평가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Community Structure in Old-Growth Forest of the Sangwon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비로봉지역 노령임분의 군집구조)

  • 이경재;조재창;최영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9 no.2
    • /
    • pp.166-181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old-growth forest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the Sangwonsa-Biron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TWINSPAN and DCA were used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community types for 45 sample sites. The results of DCA ordination showed that soil pH, soil organic matters and soil moisture played a role in determining community types in the study area. Community types of the study area were role in determining community types in the study area. Community types of the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6 groups by TWINSPAN; Abies holophylla-Carpinus koraiensis community. Each community 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oil pH and soil organic matters. And each community types can be explained by geographical features.

  • PDF

Optimized contaminat remediation factors for concentration reduction of contaminated soils (오염토의 농도 저감을 위한 최적 오염정화 설계인자 제안)

  • Kim, Man-Il;Kim, Eul-Young;Kim, Ya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9a
    • /
    • pp.1239-1244
    • /
    • 2010
  • 중금속 및 유류 오염토양 정화를 위해 효율적인 토양세척법과 공정 선정을 목적으로 최적의 오염정화 설계인자를 제시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분석 항목은 구리, 납, 아연을 포함하는 중금속항목과 총석유계탄화수소(TPH)인 유류항목에 대해 흡광광도법(absorptiometric analysis),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실험방법은 최적 세척용매 결정시험, 최적 세척시간 도출시험, 최적 진탕비(S/W ratio) 결정시험 등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계면활성제 첨가량별 중금속 용출영향 분석시험 순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세척용매인 염산 0.1mole, 체류시간 1시간, 진탕비 1:3 조건에서 오염물질의 저감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1%의 계면활성제를 세척용매에 첨가하였을 경우 추가적인 오염물질의 농도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ffect of HRUs on Hydrologic and Environmental Factor Predictions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에 의한 수문 및 환경인자 예측을 위한 HRU 수의 영향)

  • Jang, Kwang-Jin;Jang, Kyung-Soo;Seo, Young-Min;Yeo, Woon-Ki;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73-1577
    • /
    • 2007
  • SWAT 모형을 사용하여 수문 및 환경인자들의 예측에 있어서 수문응답단위(Hydrological Response Unit, HRU) 수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SWAT 모형에서는 수문응답단위라는 계산단위를 통하여 모형의 입력매개변수를 생성하고 모의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에서 하천유역의 적절한 HRU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유역을 낙동강의 제 1지류이자 국제수문개발계획(International Hydrologic Project, IHP)의 국내 대표유역 중 하나인 위천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토지이용과 토양의 면적비를 조정함으로써 HRU 수를 여러 단계로 적용하여 유출량, 유사량 및 영양염류를 모의하였다. SWAT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위천 유역의 $DEM(30m{\times}30m)$, 토지이용도(1:25,000), 토양도(1:25,000) 등의 GIS 자료와 강우량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은 위천 유역에 대한 적절한 HRU 수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차후 모형의 적용시에 모형의 적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