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Mixture Ratio of Inorganic Soil Amendments (무기성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 Kim, Young-Sun;Kim, Tack-Soo;Ham, Suon-Kyu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3 no.2
    • /
    • pp.271-27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ixture ratio of the inorganic soil amendments on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is experiment, three kinds of soil amendments which had similar pH, EC and particle size, the A, B and C, were tested. The mixture ratio of soil amendment were 0%, 3%, 5%, 7% and 10% (V/V) incorporated with sand which met to the USGA(United State of Golf Association) particle standard. To analyze the effects of amendment on chemical soil properties, pH, EC(electrical conductivity) and CEC(cation exchangeable capacity) were measured. The porosity, bulk den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also measu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chemical properties, pH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ixture ratios of amendments, A and C(P<0.05), CEC and EC also related to the ratios of C(P<0.01). When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USGA standard of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the optimum mixture ratios of each amendment were 3% in A and B, and 7~10% in C. To analyze the corelation of mixture ratio versus to physical character, volume of poros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atio of B (P<0.05), and showed similar corelation in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with ratio of C(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ypes and mixture ratio of inorganic soil amendments should affect on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root zone on USGA sand green.

균열암반 대수층에서의 방사성 핵종원소 거동예측을 위한 이론적/실험적 고찰

  • 이승구;이길용;조수영;김용제;윤윤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06-409
    • /
    • 2004
  • 최근 Lee et al.$^{l-2)}$ 은 화강암질 편마암내 균열면의 방해석이 Eu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며, 아울러 Eu 은 Am의 유사체로서 매우 적합한 원소라고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희토류원소와 액티나이드 원소의 이온반경, 배위수 등의 상호비교와 2) 응집력(cohesive energy)의 유사성과 물리적/화학적 특성 그리고 3) 희토류원소 지구화학의 최근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고준위 방사성 핵종원소인 Am의 지질매체내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유사체(analog)로서 Eu이 매우 유용한 역할을 해준다는 가설2)을 검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핵종원소의 지질매체별 흡착특성을 밝혀내기 위해 금번 실험에서는 희토류원소 암상별 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4종류(화강암질 편마암류 2종, meta-basalts, 응회암)의 시료를 선별하였다. 방사화학적 흡탈착 실험의 핵종동위원소로서는 152Eu와 241Am을 선택하였다. 이는 본 연구팀의 연구결과, Eu과 Am의 밀접한 물리적/화학적 상관관계 그리고 지질환경내에서의 거동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실험결과 양 동위원소의 지질매체와의 흡착 반응 특성을 비교해 볼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로간에 매우 유사한 양상의 증감을 보여주면서 변화함을 알 수가 있었다. 이 결과는 희토류원소가 액티나이드 원소의 지질환경내 거동예측을 위한 유사체로서 매우 훌륭한 도구라는 것을 입증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남극 킹조지섬 세종기지 주변지역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 Choi, Ik-Won;Park, Yang-Ju;Seo, Dong-Cheol;Kang, Se-Won;Jeon, Weon-Tai;Kang, Ui-Gum;Sung, Hwan-Hoo;Hur, Tai-Young;Heo, Jong-Soo;Cho, Ju-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5
    • /
    • pp.709-716
    • /
    • 2011
  •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of soil environment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were investigat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Barton Peninsula from 13 sites according to direction from the Sejong Cape. Soils from 13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sand percentage of soils were much higher as above 90% than silt and clay percentages of soils at the all sites. Soil texture was classified sandy (10 sites) and loamy sand (3 sites). I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t different soil particles according to direction, large particles ($>500{\mu}m$) were higher in the order of Group 1 (Marian cove coast regions) > Group 2 (Inland regions) > Group 3 (Maxwell bay coast regions). On the other hand, small particles ($<355{\mu}m$) were higher in the order of Group 3 > Group 2 > Group 1. Chemical characteristic of soi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different areas. pH ranged 4.5-6.7, showing it was slightly acid and EC ranged $0.06-0.16dS\;m^{-1}$. T-N, OM and T-C contents were high at #6, #8, #12 and #13 sites. T-P and P2O5 contents were high at #9 and #12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soil environment in the Antarctic Peninsula and surrounding islands.

Mineralization and Adsorption of $^{14}C$-Lablled Imazapyr in Soil (($^{14}C$ 표지 Imazapyr의 토양중 무기화와 흡착)

  • Kwon, Jeong-Wook;Lee, Jae-K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6 no.4
    • /
    • pp.320-326
    • /
    • 1997
  • In order to elucidate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rbicide imazapyr in soil, mineralization to $^{14}CO_2$and adsorption were investigated using eight types of soils with the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of 12 weeks after the treatment of imazapyr, the amounts of $^{14}CO_2$ evolved from 8 types of soils with different properties ranged from 1.5 to 4.9% of the originally applied $^{14}C$ activities. Soil C, G, and H with low pH and high organic matter showed low $^{14}CO_2$evolution, whereas soil B and D with high pH and low organic matter did high $^{14}CO_2$ evolution. 2. Time for reaching the equilibrium concentrations in the adsorption experiment of imazapyr in soils was about 3 hours at $25^{\circ}c$ in soil C, D, G, and H. Imazapyr was adsorbed in the range of 0.25${\sim}$28.32% in soils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mong the soil parameters, organic matter content was the most influential in imazapyr adsorption on soil. The Freundlich adsorption coefficient $(K_f)$ increased 5.5 to 25.6 times as organic matter content increased 2.0 to 21.3 times. Hence it seems that the extent to which soil organic matter contributes to imazapyr adsorption is greater than that of clay mineral. $K_f$ values for the soils tested were 0.44, 0.08, 0.65, and 2.05 in soil C, D, G, and H, respectively. In all the soils tested, $K_f$ values had a strong resemblance to K_$K_d$.

  • PDF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in Plastic House by Treatment of Soil Conditioners (참취 시설재배지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비교)

  • Yeom, Gue-Saeng;Moon, Jung-Seob;Yang, Jin-Ho;Kim, Dong-Won;A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1-51
    • /
    • 2019
  • 참취(Aster scaber)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취나물로 분류되어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주로 남부지역에서 조기재배 작형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취의 잎과 줄기는 맛과 향기가 독특하여 예로부터 생채, 묵나물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칼슘, 철분, 비타민 A 등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서도 가치가 높고 한약재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항암효과와 더불어 콜레스트롤을 저하시키는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기능성 식품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참취 시설재배 시 통상 3년 마다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시설재배지 특성상 양분의 과다투입에 의한 염류집적과 잦은 관수로 물리성이 악화되어 참취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참취의 생육과 토양 물리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참취 시설재배 농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참취 시설재배를 대상으로 하고 무처리, 볏짚 1,000 kg/10 a, 왕겨 숯 1,000 kg/10 a, 야자섬유 1,000 kg/10 a, 4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생육 및 토양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기 참취 생육특성은 초장은 25.6~27.2 cm, 엽장은 8.5~9.7 cm, 엽폭은 6.3~7.0 cm, 경직경은 4.3~4.6 cm, 및 수량은 $3.3{\sim}4.0kg/3.3m^2$으로 볏짚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좋은 생육 상황을 보였으며 수량성 또한 많았다. 시험 후 토양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7.4~7.5, 토양유기물 함량은 34~36 g/kg, 유효인산 함량은 386~415 mg/kg 이었으며 처리 전 토양에 비하여 유기물 함량은 증가하고 유효인산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 K, Ca, Mg는 K는 $0.8{\sim}1.0cmol_c/kg$로 낮아졌고, Ca와 $8.9{\sim}10.1cmol_c/kg$, Mg는 $3.1{\sim}3.4cmol_c/kg$로 증가하였다. 토양물리성의 변화는 왕겨숯 시용에서 대조구에 비해 가장 낮은 용적밀도 $1.22g/cm^3$와 가장 높은 공극률 54.09%을 보였다. 토양 삼상은 고상은 볏짚에서 51.98%로, 액상은 야자섬유에서 28.64%로, 기상은 왕겨숯에서 29.35%로 가장 높았다. 참취 시설재배지 토양개량제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함량 증가와 토양의 용적밀도 감소와 토양양 공극율 증가 등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2년차 시험 결과로서 3년차에 재검토할 계획이다.

  • PDF

고형배지경을 이용한 과채류 재배

  • 이용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05a
    • /
    • pp.34-54
    • /
    • 1994
  • 1. 고형배지특성 (1) 물리화학성 토양재배에서는 토양이 갖고 있는 다양한 완충작용, 즉 보수, 통기성, 비료성분의 보유능력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연작장해가 없는 한 작물생산에서 안정적 생산이 가능하다. 반면에 양액재배에서는 이러한 완충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특히 배지에 따른 물리화학성의 차이가 있고 이들 배지의 활용을 근본적으로 근권환경의 제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토양재배보다 높은 생산성과 고품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배지에 따른 적정 근권환경제어가 필요하다. (중략)

  • PDF

Effect of Agents to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on Aster scaber in Plastic House (참취 시설재배지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한 개량제 처리 효과)

  • Gue-Saeng Yeom; 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70-70
    • /
    • 2020
  • 참취(Aster scaber)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취나물로 분류되어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주로 시설재배지 조기재배 작형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취의 잎과 줄기는 맛과 향기가 독특하여 예로부터 생채, 묵나물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칼슘, 철분, 비타민 A 등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서도 가치가 높고 한약재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항암효과와 더불어 콜레스트롤을 저하시키는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기능성 식품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참취 시설재배 시 통상 3년 마다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시설재배지 특성상 양분의 과다투입에 의한 염류집적과 잦은 관수로 물리성이 악화되어 참취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 물리화학성과 참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참취 시설재배 농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참취 시설재배를 대상으로 무처리, 볏짚 1,000kg/10a, 왕겨숯 1,000kg/10a, 야자섬유 1,000kg/10a, 4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토양특성 변화 및 생육 상황을 조사하였다. 자재 처리 후 3년차 토양 물리성의 변화는 볏짚 시용에서 가장 낮은 용적밀도 1.23g/cm3와 가장 높은 공극률 53.50%을 보였다. 토양 삼상은 고상은 왕겨숯에서 49.41%로, 액상은 왕겨숯에서 24.92%로, 기상은 볏짚에서 32.09%로 가장 높았다. 토양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7.2~7.3, 토양유기물 함량은 32~39g/kg, 유효인산 함량은 440~487mg/kg 이었으며 처리 전 토양에 비하여 유기물 함량은 증가하고 유효인산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 K, Ca, Mg는 K는 0.77~0.88cmolc/kg로 낮아졌고, Ca와 11.56~14.09cmolc/kg, Mg는 2.93~3.22cmolc/kg로 증가하였다. 참취 생육특성은 초장은 24.8~26.4cm, 엽장은 8.3~8.7cm, 엽폭은 6.3~6.7cm, 줄기수는 6.9~7.2주로 대조구에 비해 좋은 생육 상황 상황을 보였으며, 수량은 919~1,161kg/10a 으로 자채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수량성 또한 높았다 참취 다년재배지 토양개량제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함량 증가와 토양의 용적밀도 감소와 토양 공극율 증가 등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s or the Korean Ginsengs from Various Soils of Keumsan (금산 지역 토양 차이에 의한 인삼 중 무기 원소의 함량 변화)

  • Song, Suck-Hwan;Min, Ell-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3 no.1
    • /
    • pp.13-25
    • /
    • 2009
  • Geochemical relationships between ginsengs and soils from three representative soil types, shale, phyllite and granite regions, from Keumsan were examined. High elements ere shown at the granite and shale areas of the weathered soils, the phyllite areas of he cultivated soils and the shale areas of the host rocks. T1 was enriched in ginsengs grown in the shale areas, Cs and B in the phyllite areas, and Be and Cd in the granite areas. Positive correlations were dominated by the shale areas. These relationships can be explained for miner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soils, and their behaviors related to the physio-chemical conditions. High elements were shown in the 2 year ginsengs of the hale areas, and 4 year ginsengs of the phyllite and granite areas in comparisons with ginsengs of the different ages from the same areas.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with ages of the ginsengs, solubilities of the minerals and physio-chemical differences within soils. The content differences of high elements such as Cs, T1 and Be were found between soils and ginseng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nents of ginsengs grown in the granite areas are chemically similar to the soils.

퇴적물의 산성화에 따른 우수관 퇴적물의 중금속 용출특성과 존재형태 연구

  • 이평구;유연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249-253
    • /
    • 2001
  • 퇴적물에 오염된 중금속의 지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연속추출방법을 이용하여 구성광물 과의 지구화학적 수반관계와 산성화에 따른 중금속 용출특성을 연구하였다. 용출실험과 연속추출 실험을 종합한 연구결과, 서울시 도로변의 하수퇴적물이 산성비와 같은 요인에 의해 pH 5.0정도의 약산성환경과 접촉하였을 때 중금속의 상대적인 용출특성은 Zn>>Cd$\geq$Co>Ni>Cu$\geq$Pb>Cr이며, 원소별 용출량은 Zn 40-90%, Cd 10-30%, Co 15-25%, Ni 5-25%, Cu 0-20%, Pb 0% 및 Cr 0% 이었다. 하수퇴적물에 오염된 Zn, Cd, Cu 및 Ni의 용출은 매우 우려할 만한 수준이며, 수계의 물리화학적 변화(pH 등)에 따라 이들 원소의 일부분이 용해되어 지표수 및 강물을 오염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