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용액 성분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민감도(敏感度) 및 자정기능(自淨機能)(II) - 식생층(植生層)과 토양층(土壤層) 용탈(溶脫)이온 분석(分析)을 중심으로 - (Sensitivity and Self-purification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to Acid Precipitation (II) - Ion Balance in Vegetation and Soil Leachate -)

  • 장관순;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103-113
    • /
    • 1995
  •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완충능(緩衝能)과 민감성(敏感性)을 분석하기 위해서 리기다소나무림(林) 굴참나무림(林)의 수관통과수(樹冠通過水), 수간류(樹幹流) 및 토양층 용탈용액(溶脫溶液)의 성분을 각각 분석하였고, GIS의 IDRISI system을 이용하여 토양도(土壤圖)와 식생도(植生圖)를 영상(映像) 변환(變換)시킨 후 중첩시켜 토양(土壤) 모암(母岩)에 따른 임상(林相)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모암(母岩) 및 토양(土壤)은 산성암(酸性岩), 퇴적암(堆積巖)으로 구분하고 산성(酸性), 중성(中性), 염기성(鹽基性), 변성잔적토(變成殘積土)로 세분하였다. 식생층(植生層)을 통과한 강우의 평균 pH는 굴참나무림(林)보다 리기다소나무림(林)에서 낮았으며, 두 수종 모두 임외강우(林外降雨)보다 수관통과수(樹冠通過水)에서는 높은 반면에 수간류(樹幹流)에서 낮았다. 식생층(植生層)을 통과한 강우(降雨)내 $SO{_4}^{2-}$, $NO_3{^-}$$Cl^-$의 양은 수관통과수(樹冠通過水)보다 수간류(樹幹流)에서 높았고, 토양으로 투입되는 $SO{_4}^{2-}$, $NO_3{^-}$$Cl^-$ 양은 임외(林外)보다 리기다소나무림(林)에서 각각 7.2, 4.3 및 2.5배, 굴참나무림(林)에서 각각 4.4, 2 및 2.5배 많았으며 굴참나무림(林)보다 리기다소나무림(林)에서 많았으나, 치환성(置換性) 양이온의 농도는 리기다소나무림(林)에서 4.1배, 굴참나무림(林)에서 4.6배로 굴참나무림(林)에서 높았다. 토양층(土壤層) 용탈용액(溶脫溶液)의 평균 pH는 수관통과수(樹冠通過水) pH보다는 낮은 반면에, 수간류(樹幹流)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종별(樹種別)로는 리기다소나무림(林) 지역에서 낮았다. 산성물질(酸性物質)에 의해서 토양층(土壤層)으로부터 용탈되는 양료(養料)와 $Al^{3+}$ 양(量)은 관엽수림(關葉樹林)보다 침엽수림(針葉樹林)이 많았고, 이들 양은 토양(土壤) 용탈용액(溶脫溶液)내 산성물질(酸性物質)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산림생태계중(山林生態系中) 리기다소나무림(林)은 식생층 용탈용액에 $SO{_4}^{2-}$, $NO_3{^-}$$Cl^-$ 양이 많은 것으로 보아 산성물질(酸性物質)의 침적량(沈積量)과 차단량(遮斷量)이 많은 것으로 인정되는 동시에 토양으로부터 양료손실이 많았고 반면 굴참나무림(林)은 수관층(樹冠層)에서 양(陽)이온치환(置換)과 $H^+$ 소비가 많았고, 토양에서 양료손실(養料損失)이 적어 식생과 토양층의 완층력(緩衝力)이 우수했다. 대전지역의 산림토양은 산성암잔적토가 69%, 퇴적 및 변성암잔적토가 25%, 중성 및 염기성암잔적토는 6%를 차지하고 있는데, 양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이 부족한 산성암(酸性岩)에서 풍화된 토양(土壤)이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고, 산성우(酸性雨) 대해서 가장 민감성(敏感性)을 나타내는 산성암이면서 동시에 침엽수림(針葉樹林)으로 구성된 임지는 소나무림(林)과 리기다소나무림(林)林으로 전체 면적중 50%를 차지하고 있었다.

  • PDF

PAM과 K-CMC처리가 토양의 이화학성 및 양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acrylamide (PAM) and Potassium-Carboxymethylcellulose (K-CMC) on Soil and Yield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L. cv. Empire))

  • 김석균;김경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22-225
    • /
    • 1998
  • 천연계 흡수성 고분자 K-CMC (potassium-carboxymethylcellulose)와 합성계인 PAM (polyacrylamide)이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양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조한 K-CMC에 친수성인 카르복실기의 도입을 FT-IR로 확인하였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측정한 PAM과 K-CMC의 흡수력은 증류수에서는 PAM이 더 높았으나, 염화나트륨 3% 용액에서는 K-CMC와 PAM이 같아서 비료성분이 많은 토양에서는 K-CMC가 더 효과적인 듯 하다. 토양의 입자크기 1.0mm 이상의 입단율은 K-CMC와 PAM처리에서 각각 9.6%와 16.6%가 증가하였고, 투수속도도 K-CMC와 PAM처리 모두 촉진되어 투수율 또한 증가하였다. 토양의 화학성분에서는 K-CMC처리가 토양의 K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다른 성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K-CMC와 PAM처리는 양배추의 초기생육 및 수량, 그리고 비타민C 함량을 증가시켜서 양배추의 수량과 품질의 향상에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제조한 K-CMC의 흡수력이 다소 낮기 때문에 더 높은 흡수력을 가진 천연계 흡수성 고분자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농업환경(農業環境)의 오염(汚染)과 그 대책(對策) 제(第) 1 보(報)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토양(土壤) 흡착(吸着)의 이론적분석(理論的分析) (Pollu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 Adsorption of Several Herbicide on Soils and Theoretical Evaluation)

  • 한대성;김정제;신영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29
    • /
    • 1984
  • 토양(土壤)에 의한 linuron, bentazon, trifluralin 및 butachlor의 흡착(吸着)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이 사용되었으며,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토양(土壤)에 의한 linuron의 흡착(吸着)은 토양성분중(土壤成分中)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과 직접적인 관계(關係)가 있으며,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linuron의 흡착(吸着)도 증가(增加)하였다. Bentazon은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이나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에 따라 뚜렷한 상관(相關)이 없었으며, 오히려 유기물함양(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흡착(吸着)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bentazon이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에서 음하전(陰荷電)을 띠어 bentazon분자(分子)와 음하전(陰荷電)을 띤 토양표면간(土壤表面間)의 반발현상(反撥現象) 때문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Trifluralin과 butachlor는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및 C.E.C.와 매우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나, 점토함량(粘土含量)과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각 공시농약(供試農藥)에 대한 흡착(吸着)은 trifluralin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linuron, butachlor, bentazon순(順) 이었다.

  • PDF

HPLC를 이용한 아족시스트로빈과 이미다클로프리드, 메타벤즈티아주론의 토양 잔류분석 숙련도시험 (Proficiency Testing for the HPLC Analysis of Azoxystrobin, Imidacloprid and Methabenzthiazuron Residues in Soil)

  • 김찬섭;손경애;길근환;임건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8-229
    • /
    • 2015
  • 농약등록 잔류시험 연구기관의 측정 능력 향상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 잔류분석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2012년 11월에 토양시료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은 채취 후 습토상태로 5년간 보관하여 농약의 잔류수준이 매우 낮을 것으로 기대되는 밭토양을 사용하였다. Azoxystrobin과 imidacloprid, methabenzthiazuron을 토양잔류시험의 실내시험 토양시료 조제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배 포장하였고, 그 중 일부를 임의로 선정하여 시료의 균질도와 상온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시험참여기관마다 3종 농약이 두 수준으로 처리된 토양시료 2점을 제공하였는데 그 중 하나는 모든 기관에 동일한 농도로 처리된 평가용이었고, 기관별로 다른 농도의 시료는 확인용으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대상농약성분의 정량을 방해하는 성분의 확인과 회수율시험 등에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matrix-matched 표준용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무처리 토양과 3종 농약의 표준용액(농도 10 mg/L)을 제공하였다. 대상기관중 48개 기관이 결과를 제출하였고 제출된 분석결과의 중앙값을 잔류농약에 대한 설정값으로 사용하였다. 합목적 (fitness-for purpose) 표준편차는 토양잔류시험의 변이계수 허용한계 20%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개별성분에 대한 평가에는 Z-score를 적용하였고, 3종 농약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는 Z-score의 절대값의 평균으로 하였다. Z-score의 절대값이 2 이하로 적합하다고 평가된 기관은 농약별로는 azoxystrobin 48개, imidacloprid와 methabenzthiazuron은 46개 기관이었고 전체적 평가결과는 48개 기관 모두가 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숙련도시험결과 잔류시험 연구기관 대부분의 잔류분석 수행능력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양토(砂壤土)에 규산성분비료(珪酸成分肥料) 처리시(處理時) 규산용출량(珪酸溶出量) 변화(變化) (Changes of Silica Solubility in the Suspension of Sandy Loam Soil Treated with Silicate Fertilizers)

  • 이기상;안윤수;이경수;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1-325
    • /
    • 1986
  • 유효규산함량이 61 ppm 사양토(砂壤土)에서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시용(珪酸質肥料施用)에 의한 규산용출(珪酸溶出)의 변화(變化)에 관(關)해서 실내(室內)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고 증류수(蒸溜水) 및 1N-NaOAc(pH 4.0)로 연속침출(連續浸出)했을 때 각(各) 침출용액중(浸出溶液中)의 규산용출농도(珪酸溶出濃度)는 규회석(硅灰石)보다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처리(處理)에서 높았다. 2.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고 증류수(蒸溜水)로 연속침출(連續浸出)했을 때 pH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보다 규회석처리(硅灰石處理)에서 높았다. 3.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고 항온(恒溫)했을 때 규회석처리(硅灰石處理)는 시용량(施用量)이 많아짐에 따라 수용액중(水溶液中)의 $SiO_2$ 및 K 농도(濃度)는 낮아졌고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에서는 높아졌으며 pH, Ca 및 Mg 농도(濃度)은 두비종(肥種) 모두 높아졌다. 4. 토양(土壤)에 pH를 달리하여 규산용액(珪酸溶液)을 흡착(吸着)시킨 결과(結果) pH 9.4 정도(程度)에서 최대(最大)로 흡착(吸着)되었다.

  • PDF

경작지(耕作地) 전토양(田土壤)의 인산특성(燐酸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축적인산(蓄積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the Upland Soil I. Composition of Accumulated Phosphorus Forms and Available Phosphorus)

  • 신철우;김정제;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1988
  • 인산(燐酸) 축적지(畜積地) 토양(土壤) 149점(點)(시건설원예지(施設園藝地) 60점(點), 마늘, 양파, 고추 재배지(栽培地) 89점) 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인산(燐酸)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분포비(分布比)는 68.9%(Sa-p 2.7, Al-p 26.4, Fe-p 27.6, Ca-p 12.2), 유기태인산(有機態燐酸)은 6.7%, 유효인산(有效燐酸)은 26.0%이었따. 2.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Al-p와는 0.1%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Sa-p, Ca-p 순으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Fe-p와는 일정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 결과(結果) $Av.P=81.694+0.858Sa-p^{***}+0.648Al-p^{***}+0.091Ca-p^{**}(R=0.826^{***})$의 관계식(關係式)을 얻었으며, 각 성분(成分)의 기여도(奇與度)는 Sa-p 26.1, Al-p 65.2, Ca-p 8.7%이었다. 4.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과 $0.01M-CaCl_2-p$와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고, $0.01M-CaCl_2$ 용액(溶液)에 의한 30분(分) 추출법(抽出法)은 토양용액(土壤溶液) 인산(燐酸)을 신속(迅速) 간편(簡便)하게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 생각되었다.

  • PDF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 수종(數種)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이 양분용탈(養分溶脫)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il-ameliorator mixtures on nutrient leaching in sandy paddy soil)

  • 안상배;박준규;연병열;육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1-138
    • /
    • 1987
  • 객토실시(客土實施)가 곤란(困難)한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 객토대체효과(客土代替效果)가 기대(期待)되는 수종(數種)의 개량제(改良劑)를 시용(施用)한 후(後)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에 나오는 이들 양(量)을 정량(定量)함으로써 시용(施用된 성분(成分)이 토양(土壤)에 흡착(吸着) 또는 용탈(溶脫)되는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객토(客土)와 퇴비시용(堆肥施用)으로 토양(土壤)의 투수성(透水性) 감소효과(減少效果)는 현저(顯著)하였으며 퇴비(堆肥)+slag+객토(客土)>퇴비(堆肥)+객토(客土)>퇴비(堆肥)>객토(客土)>퇴비(堆肥)+slag>slag>대조구(對照區) 등(等)으로 투수속도(透水速度)가 저하(低下)되었다. 나. 퇴비(堆肥)에 slag나 객토병용처리(客土倂用處理)에서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 $NH_4-N$$SiO_2$의 농도(濃度)나 용탈량(溶脫量)이 많고 시험후(試驗後) 잔존량(殘存量)도 본답토(本畓土)나 객토(客土)보다 많았다. 다. 이와같은 경향(傾向)은 양(陽) ion 中 K, Ca 및 Mg 등(等)도 같은 양상(樣相)이며 특(特)히 K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투수중(透水中) 용탈량(溶脫量)이나 토양중(土壤中) 잔존량(殘存量)도 대조구(對照區)나 객토처리(客土處理) 보다 차이(差異)가 현저(顯著)하였다. 라.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 $Fe^{{+}{+}}$의 농도(濃度)와 용탈량(溶脫量)은 본답토(本畓土)에서 퇴비(堆肥)나 slag 처리(處理)보다 훨씬 많고 담수(湛水) 12일경(日頃)에 최고(最高)값을 보이다가 감소(減少)하였으며 $Mn^{{+}{+}}$은 오히려 본답토(本畓土)에서 가장 적었다. 마.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 $NH_4-N$ 농도총량(濃度總量)은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많으나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에 잔존량(殘存量)은 이와 반대경향(反對傾向)이다.

  • PDF

공단 인접지역 해송 잎의 무기성분 함량과 산림 토양용액의 화학적 특성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 Solutions and Element concentrations in Needles of Pinus thunbergii in Industral Complexes)

  • 이위영;양재의;박창진;장용선;옥용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22-328
    • /
    • 2004
  • Available nutrients in soil solution play key roles on the growth of plants, but the equilibria in soil solution can be disturbed by acid precipit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needles of Pinus thunbergii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 solutions in the industrial complexes as an effort to find the possible limiting factor(s) causing the forest decline. The Ca/Al molar ratios in needles of Pinus thunbergii collected from the control sites were 18. However, at Onsan and Ulsan industrial complexes, those were decreased to the ranges from 10 to 11 for the one-year old needles and from 9 to 10 for the two-year old needles. The Mg/Al molar ratios showed similar tendencies with the Ca/Al molar ratios of the needles of Pinus thunbergii. In the A horizon, there exis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g concentrations in the needles of Pinus thunbergii and Ca/Al molar ratio of forest soil solution. Calcium concentrations in the needles of Pinus thunbergii in the B horizon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Al molar ratios of forest soil solutions. The uptakes of Ca and Mg by Pinus thunbergii were mainly limited by Al in the soil solutions of the A horizon and by Mn and Al in the soil solutions of the B horizon.

습답(濕畓)에서의 투수속도조절(透水速度調節)이 화학성분(化學成分) 및 벼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ercolation Rat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Growth in Poorly Drained Soil)

  • 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1-240
    • /
    • 1987
  • 습답개량(濕畓改良)에 관(關)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사양토(砂壤土)와 식양토(埴壤土)에 투수속도(透水速度)를 달리한 조건(條件)에서 규회석(珪灰石) 및 생고등(生藁等) 개량제(改良劑) 시용시(施用時) 벼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爲)하여 pot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수량(收量)은 사양토(砂壤土)와 식양토(埴壤土) 두 토양(土壤) 공(共)히 투수속도(透水速度)가 클수록 많았으며 그 효과(效果)는 식양토(埴壤土)가 사양토(砂壤土)에 비(比)하여 더욱 컸다. 2.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의 환원생성물(還元生成物)은 투수속도(透水速度)에 따라 초기(初期)에 높았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 많이 제거(除去)되었다. 3. 식물체중(植物體中)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등(加里等)은 투수속도(透水速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낮아지지만 규산(珪酸)은 오히려 높아졌다. 4. 투수속도(透水速度)가 빠를수록 수확기(收穫期) 뿌리의 양(量)도 많고 근권(根圈)이 지하(地下) 깊이까지 확장(擴張)되었다.

  • PDF

산업도시지역에 식생하는 나뭇잎에서의 중금속 침적도 분석 연구 (Analysis of heavy metals deposited on wood leaves in an industrial city)

  • 박충교;이병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42
    • /
    • 2001
  • 울산지역의 고정배출원 및 이동배출원과 같은 각종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은 건물, 도로, 토양 각종 식물 및 수목, 강, 호수, 바다 등과 같은 아주 다양한 수용체로 침적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대단위 산업공단을 가지고 있는 대형산업도시인 울산지역 대기중의 중금속 농도는 타 지역에 비하여 매우 높으며, 또 상당한 정도의 산성비도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울산지역의 수목의 잎에 침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울산 지역의 산성비 수준의 pH로 조절한 산성용액으로 용출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여 각종 대기 오염물이 나무를 비롯한 식물에 침적되는 정도를 각 특성지역과 계절(봄, 여름)별로 비교ㆍ분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