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오염기준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Contamination and Mobility of Toxic Trace Elements in Tailings of Samsanjeil Mine (삼산제일광산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오염 및 이동도)

  • Yeon Kyu-Hun;Lee Pyeong-Koo;Youm Seung-Jun;Choi Sang-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8 no.4 s.173
    • /
    • pp.451-462
    • /
    • 2005
  • In order to examine the ext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t abandoned Samsanjeil Cu mines in Kosung-kun, Kyeongsangnam-do, we hav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s and mobility of toxic trace elements from mine wastes including about 280,000 tonnages of tailings by chemical experiments (total extraction, partial extraction by 0.1N HCI an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Total concentrations of trace elements showed that Cu, As, Co, Zn, Pb, and Cd concentrations in tailings were 14.0, 3.6, 3.1, 2.1, 2.1 and 1.6 times greater than those in background soil, respectively. From the proportion of metals bound to the exchangeable and carbonate fractions, the comparative mobility of metals decrease in order of $Zn(29.0\%)>Cu(12.3\%)Pb(9.6\%)>Cd(3.0\%)>As=Co(0.0\%)$. Based on the concentrations, chemical speciations of tailings, waste rock and nearby soil, it was revealed that Cu and Zn were the most possible elements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Samsanjeil mine area. In addition, the tailings had total trace metal concentrations below Dutch guideline values except Cu, and they might not affect adverse impact on environment.

Nutrient Solution Control for Recirculating Hydroponics in Successive Culture of Lettuce (재순환식 상추 양액재배를 위한 양액관리 기술)

  • 이수연;이성재;서명훈;이상우;심상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10a
    • /
    • pp.92-94
    • /
    • 1998
  • 최근 도시근교 시설재배토양의 염류 과다집적과 연작장해 발생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 그리고 고품질 연중생산이 가능한 양액 재배 면적이 '93년 23ha에서 '97년 414ha로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데 이 중 약12%가 담액경이나 박막수경의 순수 수경재배 방식이 차지하고 있다. 순환식 담액수경 상추재배를 기준으로 할 때 농가 300평 재배시 약 100ton의 양액이 소요되며 이 양액은 1회 재배가 끝난 후 상당량이 폐기되고 있고 고형 배지경 양액 재배의 경우에도 대부분 비 순환식 재배로 1회 관수 후 나오는 배액이 그대로 버려지고 이어 토양 및 지하수 등 환경오염, 자원 낭비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중략)

  • PDF

오염지하수정화를 위한 반응벽체의 설계 및 시공

  • 이동호;지원현;이재원;박준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34-437
    • /
    • 2004
  • 본 반층벽체 적용지역의 경우, 침출수의 영향으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최대 29.12mg/L까지 검출되고 있으며 반응물질은 암모니아성 질소제거에 적합한 제올라이트를 선정하였다. 투수성 및 다짐강도를 고려하여 왕사와 50:50의 비율로 혼합, 적용하였으며 지하수 평균유속은 0.0864m/d이고 평균지하수위는 원지반 기준 - 4.0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질조사 결과, 적용구간의 지질구조는 매립층, 풍화토, 풍차암, 연암의 순서로 분포하고 있으며, 반응벽체의 설계깊이는 현장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의 Under-pass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암층 50cm까지 관입시키도록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반응벽체의 규모는 35m(길이) $\times$ 1.2m(두께) $\times$ 8.5 ~ 9.42m(구간별 깊이)로 설계에 반영되었다. 현재, 지하수감시정을 이용한 모니터링 결과, 상부지하수 감시정에서의 오염원은 우기의 영향으로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하부 지하수 감시정에서의 암모니아성 질소농도는 불검출 되거나 0.5 mg/L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 PDF

낙동강수계의 하천유형별 식생 특성

  • Seong, Gi-Jun;Gang, Dae-Seok;Lee, Seok-Mo;Jeong, Yong-Hyeon;Yeo, 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50-452
    • /
    • 2007
  • 낙동강 중하류지역에 있어서 본류와 주요지천에 있어서의 환경특성과 식생현황을 조사하여 하천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본류와 지류의 물리적 특성, 토지이용현황, 수질특성, 토양특성 및 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하천에서 육역으로 갈수록 귀화식물의 유입이 많았는데, 같은 하천이라도 회천의 경우 강가보다 제방부근이 더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낙동강 본류의 매리나 물금지역이 낮게 나타나 귀화식물의 유입은 하천의 형태와 더불어 인간의 접근용이성에도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사 대상 지역 중 서낙동강 습지와 묵정논 등 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나, 이들 지역에 있어서 수생식물을 이용한 하천 수질정화에 있어서 습지의 조성 혹은 관리가 매우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사지역에서의 비소와 크롬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이상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와 같은 열약한 수변조건에서 강수시에 범람이나 침식으로 인하여 수체로 유입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변녹지의 확보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낙동강 함안군 칠서 강변여과 개발 예정지역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조사

  • 김주환;백건하;김형수;김진삼;윤성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61-564
    • /
    • 2003
  • 강변여과수 개발 예정지역인 함안군 칠서지역의 수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3년 4월과 2003년 8월 2회에 걸쳐 강변여과수 양수정, 관측정, 주변지역 지하수 및 낙동강 원수 등 총 38개의 물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용존 이온 분석 결과 연구 지역 지하수의 경우는 Ca-HCO$_3$ 유형 또는 Ca-Cl 유형에 속하며, 조사 지점에 따라 충적층 및 암반 지하수의 특징이 확연히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하수의 경우, 질산성질소와 철, 망간의 농도가 다른 성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중금속의 오염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낙동강 원수의 경우 질산성 질소, 철, 망간은 지하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류의 영향으로 매우 높은 pH 값을 보여주었다. 채수된 전체 시료의 분석 결과, 질산성질소(39.1%), 철(13%), 망간(39.1%)이 주로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 PDF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오염 연구와 pH변화가 중금속의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 이인경;이평구;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5-388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총중금속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함량분석과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폐광석이 산성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중금속의 지화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산도를 변화시키면서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전함량분석과 용출실험을 종합한 결과, 중금속 및 미량원소의 용출거동 특성을 크게 As-Co-Fe 형태와 Cu-Mn-Cd-Zn형태와 Pb로 구분할 수 있었다. As-Co-Fe의 용출특성은 약산성의 환경에서는 용출이 미약하나, 최종 pH 1.5이하의 강산성환경에서는 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Cu-Mn-Cd-Zn형태에서는 최초로 용해되는 pH가 5.0-3.0으로 As-Co-Fe 보다 다소 높았다. Pb는 다른 형태에 비해 상당히 적게 용출되었다 최종 용출된 함량과 관계없이 초기 용출이 발생하는 pH값을 기준으로 한 각 원소의 상대적인 이동성은 Mn =Zn>Cd=Cu>>Fe=Co>As>Pb 순서이며, 산성비는 Zn, Mn 및 Cu를 쉽게 용출시켜 이동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PM_{10}$ in Ambient Air (환경대기 중 미세먼지($PM_{10}$)의 동시측정 비교 연구)

  • 조석주;최금숙;여인학;이민환;김민영;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67-268
    • /
    • 2003
  • 환경매계(environmental matrices)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농도측정과 관련된 측정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기준은 측정농도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토양이나 물과 달리 비정형화 된 매개인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채취ㆍ분석하고 비교할 때, 분석화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를 주관하는 모든 연구주체들이 기존 측정방식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분석방식의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기현 et al., 1999) (중략)

  • PDF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Metal-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에서 중금속 추출특성)

  • Hwang, Seon-Suk;Lee, Noh-Sup;NamKoong, 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0
    • /
    • pp.1072-1080
    • /
    • 2005
  •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HM) from a contaminated soil at existing lead smelters were investigated with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EDTA), citrate and HCl as washing solutions. EDTA was more effective for Pb than for other heavy metals. As the mol ratio of EDTA/HM increased,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ecame higher. When the mol ratio of EDTA/HM approached to 6.5, it removed Pb most effectively. Citrate was effective especially in extracting Zn. The removal efficiency of HCl was comparatively high in almost all heavy metals, and at 0.3N concentration it was the highest. After soil washing process by the use of EDTA, the great part of exchangeable fractions and most of heavy metals of weakly adsorbed like carbonate fraction were extracted. For washing with citrate and HCl, four heavy metals showed the similar exchange of chemical partitioning and the exchangeable fractions of Pb which has weakly adsorbed to soil were more increased than before the process. As removal efficiency of citrate washing process depends upon the distribution of non-detrital fractions, so it can be contended that only the amount of non-detrital fractions could be removed from all the heavy metal content. EDTA and HCl could remove most of non-residual fractions in all heavy metals except Zn. As a result of EDTA washing,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TCLP) concentration of the processed soil met the USEPA Pb limit of 5.0 mg/L.

Recommendations of NPK Fertilizers based on Soil Testing and Yied Response for Radish in Highland (고랭지 무 재배지 토양검정에 의한 NPK 시비기준량)

  • Lee, Gye-Jun;Lee, Jeong-Tae;Zhang, Yong-Seon;Hwang, Seon-Woong;Park, Chol-Soo;Joo, Jin-H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3
    • /
    • pp.167-171
    • /
    • 2009
  • An attempt was made to provide the most reasonable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radish crop based on soil analysis data and yield response to the N, P, K fertilizers, which was obtained from field experiments on 2004 in highland, 850 meters above the sea level. Optimum times of NPK application to past application amount based on soil test were 0.90-0.77-0.50 for radish. The adjusted NPK recommendation models of highland soil were made by adding the application times to past application methods which were based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The revised models for fertilizer application were recommended to decrease the amount of N, P, K by 10-23-50% for radish in highland. In application to total cultivation area, 2,546ha for radish, saving amounts of NPK fertilizers with these adjusted recommendation in comparison with past application levels will be 244.4 tons for radish. Using the optimal application amounts for radish, we will can reduce agricultural pollution without affecting crop yields.

A Guideline(Tentative) for Implementation of Riparian Buffer Strip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국내 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

  • Chung, Sang-Joon;Woo, Hyo-Seup;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8-1042
    • /
    • 2007
  • 수변완충지대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하도를 따라 선형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토양, 동식물 등 생태시스템을 이루는 자연공간이다. 수변완충지대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생태통로 및 서식처, 강턱의 안정, 토양침식 방지, 경관 개선 등이며 하천의 일부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점오염 저감과 하천 생태서식처 조성분야에서의 적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수변완충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생태 치수 측면에서 효율적 조성 및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이 분야에서 기술적 정책적으로 가장 앞선 나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정부에서는 농무부(USDA)를 비롯하여 환경처(EPA), 내무부(USDI), 공병단(US ARMY)의 관련 산하기관, 각 주정부의 담당부서에서 수변완충지대의 보전과 조성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라인에서는 수변완충지대가 필요로 하는 기능별 최소 폭, 식생 종별 구성, 식생배열 등을 제시하며 그 기준은 조성 목적이나 기능, 대상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기능별 최소 폭은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4m{\sim}61m$이상, 생태서식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30m{\sim}1,000m$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식생 종은 수변완충지대 폭을 상 중 하단부로 나누어 초본, 관목, 교목류로 식재하고 강우유출수의 유입부에서 초본을 통한 부유고형물 등을 여과하고, 목본류의 뿌리와 토양을 통해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을 저감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