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생성작용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oil Characteristics on the Fluvial Terrace in the Basin of Ssangcheon (쌍천 하성단구의 토양 특성)

  • 강영복;박종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159-176
    • /
    • 2000
  • 본 연구는 남한강 상류의 소지류인 쌍천 유역에 발달한 하성단구의 퇴적물을 모재로 발달한 토양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중위 단구의 A1층은 갈색(10YR 4/3)의 미사질토양이고 발달도가 낮은 입상구조이며 B1층은 황갈색(10YR 5/8)의 사질식양토로 아각괴상구조이다. 고위단구의 A1층은 옅은 적갈색(5YR 4/3)의 미사질양토 내지 황갈색(10YR 5/8)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낮은 아각괴상구조이다. B1층은 적색(2.5YR 3/6)의 사질식토 내지 밝은 적갈색(2.5YR 4/6)의 식양토로 발달도가 양호한 아각괴상구조이다. 고위단구 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토양의 구조는 중정도의아각괴상구조이고 조직이 치밀하다. 토양은 A1층, B1층,B2층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B층은 점토가 집적되어 있고 점토 피막이 나타난다. 쌍천의 중위단구상에 발달한 토양은 황갈색토이고 고위 단구상의 토양은 적색토이다. 고위단구 퇴적물을 모재로 발달한 본 적색토는 생성시가가 민델-리스 간빙기의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현재보다 온난한 생물-기후 조건하에서 탈규산화를 동반하는 적색토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위단구에 발달한 적색토는 토양단면의 형태적 및 물리 화학적인 특성등으로 보아 고적색토로 분류된다.

  • PDF

국내 A 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와 생성가스와 지구화학적 특성

  • Lee Gwang-Sik;Go Gyeong-Seok;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33-436
    • /
    • 2005
  • 국내 A군에서 운영중인 한 쓰레기 매립지에서 배출되는 침출수와 주변 지하수를 채취하여 화학분석과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생활 쓰레기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들을 채집하여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기물 분해로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일차적으로 침출수의 알칼리도를 높이고 이차적으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의 환원작용에 의하여 메탄가스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침출수내의 용존무기탄소(DIC)의 탄소 동위원소 조성이 부화되었으며, 아울러 생성된 메탄과의 수소 동위원소 교환반응에 의하여 침출수의 수소 동위원소 조성이 크게 부화되는 특징이 관찰 되었다. 쓰레기장에서 발생되는 혼합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탄소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 새로운 매립지 보다 오래된 매립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탄소 동위원소 조성이 부화되는 특징이 관찰되었다.

  • PDF

Paleo-red Soil on the High Fluvial Surface in the Middle Basin of Nam-Han River (남한강 중류 하성고위면의 고적색토)

  • Kang, Young-Pork;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8
    • /
    • pp.828-8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andform development of fluvial terrace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occurring on the terrace deposi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soil profiles, the physic-chemical properties of soils that are developed on terrace deposits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clay were investigated. The horizon of Al in the high fluvial surface is silt clay loam of red (2YR 4/6). The soil structure is a developed granular structure. The horizon of B1 is silt clay reddish-brown (2.5YR 4/6). The soil structure is a medium subangular blocky structure. This red soil structure is made on heavy textured and compactly packed parent materials of high terrace sediments and usually has A-B-C profile. In most cases, clay accumulations in B-horizon and clay cutans on ped surfaces are observed, which mean the formation of agrillic horiz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oils derived from fluvial terrace deposits on high fluvial surfaces are considered paleo-red soil which were developed by pedogenese-strong desilicification and rubefaction and strong leaching of bases- under warmer bio-climatic condition during in the old Pleistocene period.

Dependence of Nutrient Supplying Capacity on Chemical reactions of Paddy Soil (논토양 화학특성 변화와 양분공급력과의 관계)

  • Kim, Yoo-Hak;Kim, Myung-Sook;Kang, Seong-Soo;Jun, Hee-Joo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spc
    • /
    • pp.33-39
    • /
    • 2009
  • The practice of supplying nutrients for paddy soil with sustaining human health and ecological soundness is to utilize indicators considering soil chemical reactions. The long-term basis experiment of fertilizer and amendment of paddy soil and an experiment of yield response of soil types on nitrogen level from 2000 till 2002were used to search indicators of nutrient supplying capacity related to soil chemical reactions. Chemical reactions of paddy soil was composed of dissociating and/or adsorbing nutrients and of decomposing soil organic matter (SOM) into $H^+$, $e^-$, $CO_2$ in paddy soil. The indicators of nutrient supplying capacity, which we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soil chemical reactions, were SOM or soil protein for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ate for phosphorus and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CEC) and exchangeable potassium for potassium. Korea has used fertilizer recommendation equations established with the indicators of nutrient supplying capacity for paddy soil.

Effect of Ureaform, SCU and Melamine on Barley Growth and their Nitrogen Supplying Ability (Ureaform, SCU, Melamine의 질소공급력(窒素供給力)과 보리 생육(生育)에 대(對)한 효과(效果))

  • Lim, Sun-Uk;Oh, Nam-So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7 no.3
    • /
    • pp.265-273
    • /
    • 1984
  • To investigate nitrogen supplying effect of some slowrelease N-fertilizers on barley in upland soil sulfurcoated urea(SCU), ureaform and melamine (1,3,5-Triazine-2,4,6-triamine) were treated and compared to urea. In addition, thiourea as a nitrification inhibitor was also tested. Effects of variable soil condition such as moisture content, pH and temperature on nitrogen supplying ability of the fertilizers and on growth of barley were studied through incubation test and pot culture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easing rate of ammonia from urea, SCU, ureaform and melamine were resulted as 27-59%, 25-39%, 9-34% and 0.7-4.3% at maximum conversion rate, respectively. Nitrification rate of the tested fertilizers was higher at pH 6.54 markedly than at pH 4.73. Addition of thourea depressed the formation of $NO_3$ during four weeks of incubation period. Mixed application of ureaform with small amount of urea contributed to nitrogen supply till latter growth stage of barely Basal application of melamine showed lowest nitrogen supplying ability and injurious response on barley growth.

  • PDF

Element Mobility during the Weathering of Granitic Gneiss in the Yoogoo Area, Korea.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따른 원소의 거동)

  • 이석훈;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1
    • /
    • pp.39-51
    • /
    • 2001
  • 공주군 유구면 일대의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따른 원소의 거동과 pH와 이차광물과의 관계를 XRF, ICP-AES, ICP-MS를 이용한 원소분석결과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이 지역의 암석은 pH6 내외의 산성환경, 침철석, 아나타제와 같은 다양한 이차광물을 생성하면서 심각한 화학조성의 변화를 초래했다. 주원소의 화학조성을 이용한 풍화지수는 토양층에서 79~88로 모암 중의 사장석이 용해되고 흑운모가 변질되어 캐올리광물의 생성이 활발한 방향으로 풍화작용이 진행되었다. 지표층으로 가면서 Al에 대한 주 원소의 거동은 Si, Ca, Na, K, P가 감소하고 Fe, Ti, Mn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pH가 낮은 풍화단면에서 주 원소의 변화량이 더 크다. 이 풍화대에서 Mg은 거의 일정하다. Li, As 모든 전이원소는 pH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며 특히 이들 원소는 Fe의 함량과 비례해서 증가해 침철석과 공침하였거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Ga은 Fe와 비례하기는 하지만 변화량은 전 풍화단면에서 일정하다. Zr, Mo, Sn, Cd은 pH에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반면에 Rb, Sr, Ba, Y, Pb, Th, U 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Rb 과 Sr은 Ca에 비례해서 감소한다. 희토류원소는 전 풍화단면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Al_2$$O_3$에 대한 상대적인 변화량을 보면 경희토류원소는 사프롤라이트(saprolite)하부와 상부에서 부화되어 있고 중부 사프롤라이트와 토양층에서 감소하는 반면에 중희토류원소는 사프롤라이트 하부와 상부에서 감소하고 중부사프롤라이트 및 토양층에서 부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희토류원소의 원자번호가 클수록 손실율이 커진다. 이 풍화단면에서 원소의 거동은 각 풍화층의 pH와 생성된 이차광물의 조성에 지배를 받았다.

  • PDF

Soil Mineralogy (토양광물)

  • Jang, Yong-Se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1
    • /
    • pp.36-44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토양의 점토광물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1958년 김제지방의 답 토양에 관한 연구로 (Dewan, 1958)시작되었다. 1960년대 시작하여 1970년대 까지는 주로 토양점토광물의 동정이 이루어 졌다. 점토광물의 동정(同定)에 사용된 잔적토(殘積土)(Residual Soil)로는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 현무암(玄武岩),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제(第)3기층(紀層), 홍적층(洪積層) 유래 토양과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로는 과부식회색토(寡腐植灰色土), 염류토(鹽類土), 충적토(沖積土), 적황색토(赤黃色土), 화산회토(火山灰土), 퇴적토(堆積土), 갈색토(褐色土), 암쇄토(岩碎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이였으며,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과 작물수량성(作物收量性)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풍화에 대한 안정도와 1차광물의 동정이 행해졌으며, 이밖에 Kaolinite 입자의 전하에 관한 연구등 점토광물의 흡착과 활성 연구, 점토광물의 토양개량재로서의 흡착과 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와 점토광물의 토양개량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 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정량에 대한 자료가 축척되었고, 토양의 풍화에 대한 안정성과 생성기작, Zeolite와 새로운 광물이 합성되었다. 또한 합성광물을 이용한 농업과 산업광물로의 응용성 환경 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시도되었다. 토양의 점토광물의 조성에 관한 연구는 토양 모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화강암(花崗岩)에서는 Halloysite,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에서는 Kaolinite, Metahalloysite, Illite, 산성암(酸性岩)에서는 Kaolinite, Venrmiculite와 Chlorite의 중간광물, 현무암(玄武岩)에서는 Illite, Kaolinite, Vermiculite, 석회암(石灰岩)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 Kaolinite와 Illite, 혈암(頁岩)에서는 Kaolinite, Halloysite, Illite 외 Vermiculite-Chlorite, 화산회토(火山灰土)에서는 Allophane이 주광물이었다. Soil Taxonomy와 토양광물과의 관계에서, 답 토양에서는 Entisols의 주점토광물은 2:1형과 1:1형 광물이지만 Inceptisols와 Alfisols에서는 Halloysite가 대부분이다. 밭 토양의 경우는 Alfisols의 주점토광물은 Vermiculite, Illite, Kaolinite이었고, Ultisols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이었다. 산림토양에서는 Inceptisols중에서 Andept는 Allophane, Alfisols에서는 2:1 광물이지만, Ultisols에서는 Halloysite이다. 모재별 조암 광물의 풍화와 점토광물의 생성과정에서 화강암(花崗岩)과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이 밖의 운모광물(雲母鑛物), 녹니석(綠泥石), 각섬석(角閃石), 휘석(輝石)으로부터 생성된 illite, chlorite, vermiculite는 풍화중간에 혼층단계(混層段階)를 거쳐서 kaoline 광물로 풍화된다. 석회암(石灰岩) 토양의 smectite가 Mg농도가 높은 토양용액으로부터 침전되어 생성되었거나 운모 또는 chlorite에서 유래된 vermiculite의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되고, 혈암(頁岩)토양의 점토에 illite가 주로 풍화에 저항성이 큰 미립자의 함수백운모(含水白雲母)로부터 유래되며, 현무암(玄武岩) 중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휘석(輝石)은 chlorite${\rightarrow}$illite의 풍화과정을 거친다. Zeolite, 함불석 Bentonite, Bentonite 등 우량점토 광물이 분포과 광물조성, 이화학적 특성이 조사되었고,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토양의 개량을 위해서 Bentonite, Zeolite, Vermiculite 등의 토양 개량재(改良材)로서의 기초연구와 이들 개량재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주로 논토양에서 수행되었다. 점토광물과 수량관계를 보면 Montmorillonite를 주점토광물로 함유된 답 토양의 수도수량이 1:1 광물을 주점토광물로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서의 수도수량 보다 높았다. 토양광물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양이온교환능과 포화이온의 영향, 입자의 전기화학적 성질, 흡탈착 성질, 표면적과 등전점, 해성점토에 대한 압밀점토(壓密粘土)의 변형율(變形率)의 추정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부가가치가 낮거나 폐기되는 광물을 이용하여 토양개량재 혹은 흡착제를 형성하는 연구가 알카리 처리에 의한 Zeolite 합성에 집중되었다.

  • PDF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제주도 토양인 용흥통의 분류 및 생성)

  • Song, Kwan-Cheol;Hyun, Byung-Geun;Moon, Kyung-Hwan;Jeon, Seung-Jong;Lim, Han-Cheo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6
    • /
    • pp.478-48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Yonghe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Yonghe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3.2~3.4%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Mg\;m^{-3}$.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15 to 15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or Alfisol. The typifying pedon has 0.9 %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cm of the argillic horizon and accordingly,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has a clay distribution in which the percentage of clay does not decrese from its maximum amount by 20% or more within a depth of 150 cm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keys out as Palehum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Palehumult. That has 35 %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Yongheu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 not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 Most soil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Jeju island which have a humid climate are developed as Andisols. But Yongheung series distributed in this areas and derived from mainly trachyte, trachytic andesite, and volcanic ash are developed as Ultisols.

국내 A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에서 보여지는 동위원소 특성

  • 이광식;김을영;신동복;유동준;엽병우;고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55-457
    • /
    • 2004
  • 환경동위원소 기법을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및 주변 지하수에 적용해본 결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유기물 분해로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일차적으로 침출수의 알칼리도를 높이고 이차적으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의 환원작용에 의하여 메탄가스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침출수에 잔류하는 용존무기탄소(DIC)의 탄소 동위원소 조성이 크게 부화되었으며, 아울러 생성된 메탄과의 수소동위원소 교환반응에 의하여 물의 수소 동위원소 조성이 크게 부화되는 특징이 국내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