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물리적 특성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5초

본정 함금 폐광산 주변수계 내 Au와 중금속의 거동 및 지화학적 특성 (Behavior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u and Heavy Metals in the Water System at the Abandoned Bonjeong Gold Mine)

  • 조강희;김봉주;오스지;최낙철;박천영
    • 지질공학
    • /
    • 제23권4호
    • /
    • pp.363-3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폐광된 전남 광양 본정광산의 토양, 산성광산배수 및 수계에 형성된 하상퇴적물에 대해서 거리에 따른 Au 및 중금속의 분포 및 거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MD와 하상퇴적물로부터 Au의 화학적 존재형태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왕수분해, 연속추출, XRD 및 이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폐석적치장 토양과 하상퇴적물에 대한 XRD분석을 실시한 결과 토양에서는 석영, 고령석, 하상퇴적물에서는 석영, 침철석이 관찰되었다. 거리에 따른 산성광산배수의 물리화학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계의 pH와 Eh 범위는 각각 3.00에서 3.19, 396에서 450 mV를 나타나고 있다. 산성광산배수의 Au 함량은 0.68~0.97 mg/L 범위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하류에서는 불검출로 나타났다. 이는 수계의 Au 함량이 환경적 영향(pH, 산화환원전위, 침전, 흡착)을 받기 때문이다. 거리에 따른 하상퇴적물의 Au 함량은 13.76~22.85 mg/kg의 범위를 보인다. 연속추출을 통한 하상퇴적물의 Au 존재형태는 이온교환성 형태 10.84%, 탄산염 결합형태 11.09%, 철-망간 수산화물 형태 25.53%, 유기물-황 결합형태 26.62% 및 잔류성 형태 24.61%로 나타난다.

저수지 준설대상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edged Soils in Reservoirs)

  • 손재권;구자웅;최진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6-10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edged soils in reservoirs. Surveys and analyses of basic materials were made on 241 of 2,328 reservoirs in Chonbuk province through 2 years from December 1994 to November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Soils were classified as 15 types according to physical properties, and some soils contain comparatively high percentage of sand and gravel. Considering only soil textures, useful and economical soils as aggregate are approximately 25% in all, and the other soils are arable for farm planting. 2.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es of soils showed on the average 5.9 in pH, 1.lmmhos/cm in ECe, 14.6me/l00g in CEC, 460.0ppm in T-N, 119.0ppm in T-P, 264.9ppm in K, 134.2ppm in Na, l,335.0ppm in Ca, 575.9ppm in Mg, 486.Sppm in Fe, 57.7ppm in Mn, 3.3ppm in Cu, 21.9ppm in Zn, 0.49ppm in As, 0.34ppm in Cd, 0.O3ppm in Hg, 1.7% in OM, respectively. 3. General chemical components, heavy metals, organic matter contents were analyzed as similar to tlie mean values of common soil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o be no significant effects on crop growth in the chemical properties. 4. Accodingl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ought to be analyzed accurately before dredging for effective using of dredged soils.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dredged soils are used with proper balance among each content of components with considering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on soils.

  • PDF

산림토양(山林土壤) 특성(特性)이 집재차량(集材車輛)의 주행성(走行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Forest Soil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n the Trafficability of Logging Vehicles)

  • 김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55-265
    • /
    • 1999
  • 본 연구는 토양의 경도(硬度) 등 물리적 역학적 특성이 차량의 주행성(走行性)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광릉 시험림 38임반 '거'소반에 있는 20m 길이의 임지(林地)에 4m 간격으로 5개의 측점을 설치하여 트랙터로 하여금 하중(荷重)없이 1회 공주행(空走行), 통나무(중량 780-790kg)를 견인한 상태로 1회 왕복, 5회 왕복, 10회 왕복 주행토록 하였다. 각 주행 형태별로 SHM-1형, Lang Penetrometer, Clegg Impact Soil Tester 등 3개의 토양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점 당 5차례 토양경도(土壤硬度)를 측정하였으며, 지피식생(地被植生)의 훼손정도와 주행차량의 미끄러짐도 관찰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은 SC(점토질 모래)와 건성(乾性) 갈색(褐色) 산림토양(山林土壤)으로 판명되었다. 지피식생(地被植生)의 경우 3-5회 왕복 주행 후에는 초본류(草本類)는 짓이겨지고, 관목류(灌木類)도 잎떨어지고 수피(樹皮)도 벗겨지다가 11회 왕복 후에는 식생(植生)은 거의 사라졌다. 주행 차량이 전복(顚覆)되거나 미끄러지는 경우는 없었지만, 바퀴자국은 토양의 단위밀도가 높고 함수량이 낮은 1-3구간의 경우 불과 1-2cm의 깊이로 파인 반면 단위밀도가 낮고 함수량이 높은 4-5구간은 5-7cm 깊이로 나타났다. 주행(走行) 형태별(形態別)로 각 측점에서 조사한 토양경도(土壤硬度) 변화(變化)는 주행 횟수가 증가할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PNTM에 의한 경도 변화는 완만하고, SHM-1형에 의한 경도 변화는 가파르게 나타났다. 비중(比重)과 단위밀도(單位密度)가 높고, 함수량(含水量)이 낮으며, 액성한계(液性限界)와 소성지수(塑性指數)가 높은 구간에서는 토양경도(土壤硬度)가 높게 나타나서 집재차량의 주행성이 좋았다. 그렇지 않은 토질 역학적인 특성을 갖는 경도가 낮은 구간에서는 바퀴자국이 깊어 주행성이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CIST로 측정한 경우에는 4kg용 해머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2.5kg이나 0.5kg용 해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세가지 입상(粒狀) 용성인비(熔成燐肥) 제품간(製品間)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Properties among Three Products of Granular Fused Magnesium Phosphate)

  • 임동규;김석철;이상규;최두회;강위금;박경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123
    • /
    • 1996
  • 국내산(國內産)과 수입(輸入) 중국산(中國産) 입상(粒狀) 용성인비(熔成燐肥)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H의 경시적 변화, 입도분포(粒度分布), 수중 및 토양중 붕괴도(崩壞度), 토양중 경도(硬度), 제품의 화학성분(化學成分) 함량(含量) 분석(分析), 수중 및 토양중 구용성(枸溶性) 인산(燐酸) 용출율(溶出率) 등(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pH의 경시적(傾時的) 변화(變化)는 중문통(中文統)(농암갈색(濃暗褐色) 토양(土壤))이 평대통(坪垈統)(흑색(黑色) 토양(土壤))보다, 수입(輸入) 중국산(中國産) 제품(製品)이 풍농비료 제품 보다, 중문통(中文統)에 용성인비(熔成燐肥)를 다량(多量) 시용(施用)한 것이 소량 시용한 것 보다 pH의 변화(變化)가 컸었다. 2. 국내산(國內産) 용성인비(熔成燐肥)는 수입 중국산 용성인비에 비하여 pH, 석회(石灰), 알카리분 및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낮았으나 인산(燐酸) 전량(全量), 구용성(枸溶性) 인산(燐酸), 고토(苦土)(가용성(可溶性) 구용성(枸溶性)) 및 구용성(枸溶性) 망간은 약간 높거나 서로 비슷하였다. 3. 입도(粒度)의 크기는 수입(輸入) 중국산(中國産) 제품(製品)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이 경기화학(京畿化學) 제품(製品)이며 풍농비료(豊農肥料)의 제품(製品)은 비교적 입자가 작았다. 4. 수중(水中) 및 토양중(土壤中) 붕괴도(崩壞度)는 초기(初期)에는 풍농비료 제품과 경기화학 제품이 낮았으나 후기(後期)에는 경기화학 제품>수입 중국산 제품>풍농비료 제품의 순으로 붕괴도가 낮았다. 5. 토양중(土壤中) 경도(硬度)는 경기화학(京畿化學) 제품(製品)이 가장 단단하였고 그 다음이 풍농비료(豊農肥料) 제품(製品)이며 수입(輸入) 중국산(中國産) 제품(製品)은 경도계로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하였다. 6. 구용성(枸溶性) 인산(燐酸) 용출율(溶出率)은 초기에는 경기화학(京畿化學) 제품(製品)이 가장 높았고 풍농비료(豊農肥料) 제품(製品)은 가장 낮았으며, 용출 50일에는 3제품(製品) 모두 90% 이상 용출되었고 용출 70일 이후는 제품간(製品間) 차이가 거의 없었다. 7. 토양중(土壤中) 구용성(枸溶性) 인산(燐酸) 용출율(溶出率)은 풍농비료(豊農肥料) 제품(製品)이 가장 높았고 수입(輸入) 중국산(中國産) 제품(製品)이 가장 낮았으며 용출일 100일에도 60%를 넘지 못하였다.

  • PDF

고대 벽돌의 소성온도 해석을 위한 광물학적 연구: 송산리 고분군 벽돌을 중심으로 (Mineralogical Study on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of Ancient Bricks: Focused on the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 장성윤;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5-40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벽돌 재료인 토양이 온도별로 소성되면서 겪는 광물학적 변화와 이에 수반된 물리적 변화를 토대로 송산리 고분군 출토 벽돌의 소성온도를 해석하였다. 토양시료를 $500{\sim}1,200^{\circ}C$로 소성하였을 때, 구성광물의 상전이에 의해 광물조성과 미세조직이 변했고 이에 따라 색, 흡수율, 기공률 등의 물리적 특성도 달라졌다. 광물조성은 상안정범위에 따른 광물의 구조붕괴와 재결정으로 인해 온도별로 달라졌지만 색, 흡수율, 미세조직은 $1,000^{\circ}C$ 이하에서 변화 폭이 적었고 $1,000{\sim}1,200^{\circ}C$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송산리 고분군 벽돌시료의 소성온도를 해석한 결과,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1,200^{\circ}C$ 이상의 과소성품, $1,100{\sim}1,200^{\circ}C$의 고온소성품, $900{\sim}1,000^{\circ}C$의 소성품과 소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벽돌이 공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러한 광물학적 및 물리적 변화과정을 토대로 보다 정밀한 소성온도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붉가시나무의 간벌 강도에 따른 재질 특성 (Wood Properties of Quercus acuta due to Thinning Intensity)

  • 홍남의;원경록;정수영;이광수;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21-729
    • /
    • 2015
  • 목재의 재질특성은 토양, 기후, 임분특성 등의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처리에 의해서도 바뀌게 되므로 남부지역의 전라남도 완도 수목원에서 무간벌, 약도간벌, 강도간벌의 간벌강도에 따른 목재의 조직 물리 역학적 특성을 평가 분석한 결과 간벌 강도에 따라 여러 조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간벌강도는 연륜폭과 역학적 특성에서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붉가시나무의 간벌강도와 재질특성 사이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목재를 시업체계와 육림방법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골프장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Dehydrogenase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olf Course Soils in Kyonggi Province)

  • Lee, In-Sook;Kim, Ok-K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43-148
    • /
    • 1994
  • The relationships between microbial activity and physico-KDIC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were investigated in three golf courses of Kwanak, Gold and Korea Country Clubs, with different open years.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tee, fairway and rough. There were ranges of 4.80-5.55 in pH, $25.55-98.50{\mu}S$ / cm in conductivity, 10.96-16.73% in moisture content, 0.18-0.36g / g in water holding capacity, 3.68-5.39% in organic matter, and 0.10-0.25% in total nitrogen. Dehydrogenase activity(DHA) as an index of soil microbial activity was determined. DHA values of soil were $69.83-314.43{\mu}$g / g in three courses and showed the order of Kwanak>Gold>Korea Country Club with open year. This indicates that DHA was affected by several fertilizer treatments rather than herbicide and pesticide treatments. DH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golf clubs as well as golf course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holding capacity and total nitrogen.

  • PDF

서울 공원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Dehydrogenase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rk Soils in Seoul)

  • Kim, Ok K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191-198
    • /
    • 1993
  • The relationships between microbial activity and disturbance level of soil were investigated from 15 parks in Seoul and undisturbed area.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dehydrogenase activity(DHA) as an index of soil microbial activity were analysed. There were ranges of 3.84~7.37 in pH, 9.63~40.33% in moisture content, 3.41~21.49% in organic matter, 0.36~0.79g/g in water holding capacity and 0.03~0.53% in total nitrogen investigated sites. DHA values of soil were 8.64~$146.76{\mu}g/g$ in park soil and 545.14~$1, 198.80{\mu}g/g$ in undisurbed area. DHA of park soil with high traffic density and contamination source from human activitie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undisturbed area. DH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isture content, organic matter, water holding capacity and total nitrogen.

  • PDF

지하수에서 비소의 용해 및 분리(speciation): 리뷰 (Arsenic Dissolution and Speciation in Groundwater: review paper)

  • 김명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5호
    • /
    • pp.587-597
    • /
    • 2005
  • 본 논문은 지하수에서의 비소화학과 발생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비소종의 물리화학적 특성, As(III)의 산화, 비소의 거동과 관련된 지화학 과정, 토양으로부터 비소의 용해, 비소함유 광물로부터 비소용출 메커니즘을 주로 다루고 있다.

논토양 경반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Hardpan in Paddy Fields)

  • 이규승;박준걸;조성찬;노광모;장영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4호
    • /
    • pp.207-214
    • /
    • 2007
  • Based on the profiles of cone index with depth, physical properties of hardpan in selected rice fields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e study. An error correction algorithm removing a random measurement error from raw CI profile data was introduced in the study. The properties of hardpan included the shape, the thickness and the rice root growing layer. The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of hardpan in the rice fields showed that the type of hardpan could b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The thickness of hardpan ranged from 6 cm up to 41 cm and the average hardness of hardpan was analyzed to be from 1.1 MPa through 3.2 MPa in Cone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