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관리

Search Result 1,75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Validation about SMOS Soil Moisture Retrieval Algorithm (SMOS 위성의 토양수분 복원알고리즘 검증)

  • Han, Seung-Jae;Hur, Yoo-Mi;Jung, Sung-Wo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2-115
    • /
    • 2012
  •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대두되는 가운데 그 양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물 부족 현상의 악화됨에 따라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효율적인 수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물 순환 과정인 수문현상의 이해가 필요하다. 수문현상은 증발산, 강우, 침투, 유출 등의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문 인자들의 정확한 관측이 필요하다. 특히 지표와 대기간의 에너지 및 물의 교환에 대한 중요한 요소인 토양수분은 수문현상의 해석을 위해 필수적인 인자이다. 따라서 수문현상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토양수분의 관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많은 관측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원격탐사의 기술의 발달로 토양수분의 관측에 대해 시공간적인 장점을 가지는 인공위성을 이용하고 있다. 토양수분관측에 있어서 많은 위성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경우 발사시점이 오래되었으며, 현재 2009년 ESA (European Space Agency) 의 지구관측 미션의 일환으로 발사된 SMOS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가 이용기간이 남아있다. 단, SMOS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유럽지역에 대해 RFI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의 전파방해로 우리나라의 경우 토양수분 Product의 직접적인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OS의 Product인 밝기온도를 이용하여 복원알고리즘을 통해 토양수분을 복원하였다. 또한 복원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반도의 지점관측된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s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for Drawing Management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Gangwon-do (강원도 폐탄광 산림복구지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산림복구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 화학적특성 분석)

  • Jung, Mun Ho;Ko, Ju In;Bak, Gwan In;Ji, Won Hyu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4
    • /
    • pp.457-464
    • /
    • 202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Gangwon-do. The study sites were 8 areas and th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11 times according to elapsed time. Soil characteristics were soil pH, TOC, Total-N, C/N ratio, and Av. P2O5. Soil pH and Av. P2O5 were decreased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forest rehabilitation, while TOC, Total-N, and C/N ratio increased. TOC and Total-N arrived at quality requirements of covering soil for forest rehabilitation in abandoned coal mine area passed 10 years after forest rehabilitation, while soil pH became lower than that. Therefore, it needs long-term monitoring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and to establish post management.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ntaminated Soils around Abandoned Mines using The Current Soil Quality Standards

  • Ahn, Joo-Sung;Kim, Kyoung-Wo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2 no.1
    • /
    • pp.87-105
    • /
    • 2003
  • 토양오염기준은 토지이용별 또는 오염노출경로별 오염토양의 조사, 평가 및 복구를 위한 유용한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의 토양오염기준을 특히 중금속에 주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일부 폐광산 지역의 환경오염 조사결과를 토양오염기준과 비교하며 평가하였다. 영국, 네덜란드, 독일, 캐나다,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복구우선순위 선정과 인체건강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오염토양의 선별수단으로 토양오염기준을 개발하여 왔다. 국내에서는 1996년 토양환경보전법(시행규칙)의 시행에 따라 토양 오염기준 설정과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의 관리, 정기적 토양오염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후 2001년 보완 개정되어 토양오염물질의 확대적용과 토양오염 조사, 관리 및 복원 방법의 보완이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중금속(Cd, Cu 및 Pb)의 오염기준을 적용할때 폐광산 지역의 폐기물과 이에 오염된 토양의 경우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지만 오염지역으로 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연구 결과, 0.1N 염산용출법은 중금속의 토양 내 화학적 형태 중 일부 교환성 및 환원성 형태만을 추출하며 황화물 형태를 충분히 용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인 환경조건 변화에 따른 토양 내 중금속의 용출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강산추출법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폐광산지 역의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의 타당한 환경평가 결정을 위해 현 분석기법 외에 총함량 분석방법의 병행적용과 이에 따른 새로운 오염기준 설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Traffic and Cultural Practice Interactions on the Leaf and Soil Nitrogen Contents of 'Pennccross'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Fairway Turf (답압조건의 크리핑 벤트그라스 훼어웨이에서 여러 가지 잔디관리방법이 엽조직 및 토양 질소함유량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 ;R.C.Shearman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2 no.2
    • /
    • pp.113-126
    • /
    • 1998
  • Wear simulator로 답압이 가해진 크리핑 벤트그라스 (Agrostis palustris Huds.) 훼어웨이에서 관수방법·예지물 순환 및 질소시비수준의 여러 가지 잔디관리 요인이 엽조직 및 토양질소 함유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포장은 'Penncross'크리핑 벤트그라스 반디밭으로 1988년에 sharpsburg silty-clay loam (Typic Argiudoll) 토양에 조성하였으며, 실험은 1989년부터 1991년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Split-split-plot 실험디자인을 사용하여 주구에 daily or biweekly irrigation, 세구에 clipping return or removal, 세세구에 low-N (5g), moderate-N (15g), high-N (25g N m-2 yr-1)처리를 난괴법 3 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생육기간중 잔디예초는 12mm 예고로 일주일에 4번 실시하였고, 기타 잔디관리는 high maintenance 수준으로 유지되는 한지형 양잔디 훼어웨이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엽조직 및 토양샘플은 1989년 2회, 1990년과 1991년에는 3회씩 채취하여, 네브라스카 주립대 토양식물분석실에서 분석하였다. 답압이 가해진 크리핑 벤트그라스 훼어웨이 잔디에서 엽조직 질소함유량은 여러 가지 잔디관리 방법간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1989년 나타난 질소시비수준과 관수방법간의 상호작용에서 daily irrigation 지역의 엽질소 함유량은 질소시비량이 low-N 수준에서 high-N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3.51%에서 3.94%로 quadratic pattern으로 증가하였다. High-N 처리지역에서 엽질소 함유량은 daily irrigation 관수방법이 biweekly irrigation 관수방법보다 약 4% 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질소 함유량은 특히 질소시비 수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질소시비량이 low-N 수준에서 high-N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3.50%에서 4.25%로 quadratic pattern으로 증가하였고, 1991년에는 4.20%에서 4.60%까지 linear pattern으로 증가하였다. High-N 처리구의 엽조직 질소함유량은 low-N 처리구와 비교시 1990년에는 21%, 1991년에는 1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조성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엽조직의 질소함유량도 증가하였다. Low-N 수준에서 1991년 엽질소 함유량은 1990년에 비해 20% 증가하였으며, high-N 수준에서는 1991년의 엽조직 질소함유량이 1990년 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잔디조성후 경과기간에 따라 연간 시비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새로 조성된 잔디밭과 조성된 지 어느 정도 지난 기존 잔디밭간에 차별화된 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관리에서 답압이 가중되는 정도에 따라 지역별로 장기간 차별화된 관리 접근을 해야하고, 정기적으로 토양 및 엽분석을 실시해서 시비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결과 나타난 잔디관리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는 잔디관리시 여러 가지 관리방법에 따른 효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해서 해당 골프장 현실에 적합한 통합적인 잔디관리(integrated turfgrass management)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으며, 또한 답압가중 정도에 따른 잔디관리요인간의 반응효과차이는 향후 무답압 지역에서 실시된 연구결과를 답압을 받고 있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의 잔디밭에 적용할 경우에는 주의깊게 데이터 활용을 해야 되리라고 사료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Land Pollution Area Using Land Category Information (지목정보를 이용한 토지오염지역 분석)

  • Min, Kwan Sik;Kim, Hong Jin;Kim, Jae M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1
    • /
    • pp.33-40
    • /
    • 2015
  • Recently, land pollution makes various environment problems according to existing land use.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anagement about these problems. This study categorize land pollution area using the land category information according to main land usage for reasonable analysis of land pollution area by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also there was able to collect land pollution sources information efficiently by analysing the land category information. The land use information that categorized important factor for management and land pollution survey will be utilized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And land use information will be used land use regulation, resonab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Development Basic Plan Considering complex Characteristics of Soil - Focused on the Bogeumjari housing supply plan and an urban management plan - (토양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한 개발기본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 보금자리주택계획 및 도시관리계획을 중심으로 -)

  • Yang, Jihoon;Park, Sun Hwan;Yoo, Keunje;Kim, Tae Heum;Hwang, Sang 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2
    • /
    • pp.155-164
    • /
    • 2016
  • Soil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resource due to its finitude and valuable functions. Therefore, many countries have adopted soil quality related indicators in Strategic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SEIA). However, Korean SEIA has used limited indicators such as soil contamination until now. In this study, the SEIA on "Development Basic Plan" was modified for considering complex characteristics of soil and applied to "Bogeumjari Housing Supply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performance of the SEIA considering soil characteristics was evaluated using a checklist for assessing consistency with upper plan, adequacy of alternatives, and feasibility of siting.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erosion were derived as main indicators for "Basic Development Plans". The proposed SEIA technique equipped with soil indicators is proved to contribute to the soil resource conservation.

A study on the impact on predicted soil moisture based on machine learning-based open-field environment variables (머신러닝 기반 노지 환경 변수에 따른 예측 토양 수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Gwang Hoon Jung;Meong-Hun Lee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10
    • /
    • pp.47-54
    • /
    • 2023
  • As understanding sudden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global warming, soil moisture prediction is emerging as a key topic in agriculture. Soil mois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rop growth and health, and proper management and accurate prediction are key factors in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resource management. For this reason, soil moisture prediction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in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fields. In this paper, we collected and analyzed open field environmental data using a pilot field through random forest,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btained the correlation between data characteristics and soil moisture, and compared the actual and predicted values of soil moistur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prediction rate was about 92%.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was . If soil moisture prediction is carried out by adding crop growth data variables through future research, key information such as crop growth speed and appropriate irrigation timing according to soil moisture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to increase crop quality and improve productivity and water management efficiency.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resource efficiency.

Best Management Practices Reducing Soil Loss in the Saprolite Piled Upland in Hongcheon Highland (고령지 석비레 성토 밭의 토양유실 저감을 위한 최적영농관리방안)

  • Park, Chol-Soo;Jung, Yeong-Sang;Joo, Jin-Ho;Lee, Jung-T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3
    • /
    • pp.119-126
    • /
    • 2005
  • Soil erosion at Jawoon-Ri in Hongcheon highland is one of serious problems since saprolite piling on farmland has been typically practiced at 2-3 year's intervals. The objective of the case study was to survey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tillage, application of saprolite, and cultivating crops and to propose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to reduce soil loss in Jawoon-Ri, Hongcheon-Gun. Jawoon-Ri is located in the upper stream of Naerinchun. Upland areas of Jawoon 2 and 4Ri were 206.9 and 142.3 hectare, respectively. Estimation of soil loss in this study was based on 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nual averaged soil losses were 15.6 MT per hectare in Jawoon-2Ri and 9.0 MT per hectare in Jawoon-4Ri, respectively. This case study tried to find methods to reduce soil erosion below tolerant soil loss level which is $11MT\;ha^{-1}\;yr^{-1}$. Estimated soil losses in more than 40% of uplands in Jawoon-2Ri and 4Ri were higher than tolerant soil loss level. Especially, edge of uplands undergone excessive soil erosion by concentrated runoff water. Therefore consolidation of upland edge was included as one of the proposed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The proposed BMP in this area were buffer strips, contour and mulching, diversion drain channel, grassed water-way, detour watet-way and cover crops and so on. Amounts for BMP requirements were 7,680 m for buffer strips, 123 ha (35%) for contour and mulching, 201 ha (57%) for diversion drain channel, 13,880 m for grassed water-way, 3,860 m for detour drainage, 8,365 m for sloping side consolidation and 3,492 ha for cover crops, respectively. Application of BMP are urgently needed in uplands which is direct conjunction with stream.

Bias Correction of AMSR2 Soil Moisture Data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ethod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AMSR2 토양수분의 정량적 개선)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4-514
    • /
    • 2015
  • 홍수 예측의 개선에 있어 정확한 공간 토양수분 정보는 필수적이다. 위성관측을 활용한 토양수분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적 토양수분 상태와 정량적 차이가 크므로 편이보정을 통한 정량적 개선과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에서 관측한 AMSR2 토양수분과 지상관측 토양수분자료 및 다중회귀모형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자료를 정량적로 개선하였다. 공간 해상도가 10 km인 AMSR2 토양수분을 1 km로 상세화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자료와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 제공하는 강우관측소 556개 지점에서 관측한 강우자료, 후처리한 MODIS LST 자료, 증발산량 및 식생지수를 사용하였다. 2012년 7월부터 2013년까지 기상청 농업기상관측관서에서 관측하는 지점 중 사용 가능한 6개 토양수분관측소 자료에 대해 토양군별회귀계수를 산정하였다. 토양군별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편이보정한 토양수분자료는 전반적으로 과소추정되는 AMSR2 토양수분의 단점을 개선하여 위성관측 토양수분자료의 활용성을 개선하였다(Fig. 1).

  • PDF

Development of Soil Management Technique in Organic Rice Cultivation (유기 논농업 토양관리 기술 개발)

  • Lee Yong-Hwan;Lee Sang-Min;Sung Jwa-Kyung;Choi Du-Hoi;Kim Han-Myeng;Ryu Gab-Hee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4 no.2
    • /
    • pp.205-217
    • /
    • 2006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me organic materials such as rice straw, compost, hairy vetch, phosphate rock, magnesium lime powder and ash in the organic paddy fields, and also to develope the new technique for better soil management using described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ight and tiller of rice plants were higher in chemical fertilizer than rice straw or compost, however, those of rice plants in hairy vetch-rice cropping system reached to chemical fertilizer. The Eh value of soil has decreased consecutively since on 30th, May because of the rising of soil temperature by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microbes. As a result of measuring yield and yield components, there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enriched th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orus, exchangible potassium and calcium in soil, and, also improved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ore space rates and bulk density. From the viewpoint of soil management technology in organic paddy fields, the application of rice straw or organic compost might cause the decrease of yield compared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 chemical fertilizer, however, the application of hairy vetch residues of soil compensated for growth and yield as well as improv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cultivation of hairy vetch for winter season can be one of the useful methods for organic farm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