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사퇴적면적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Depositation Due to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토석류의 토사체적농도에 따른 퇴적 특성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 Choi, Youngdo;Kim, Sungduk;Lee, Ho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5 no.3
    • /
    • pp.15-2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dimenta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in the downstream when debris flow occurred on a mountain slope through an experimental performance. Super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cause large-scale debris flow disasters in the downstream areas of mountainous areas, mainly where sediments are deposited and flowed downstrea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 deposited downstream, the disposi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in the case of a straight channel and channel with berm, respectively. As experimental conditions, changes in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and channel slope, and channel with or without berm, reduction rates in sedimenta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were investigated. In the straight channel, the steeper the channel slope and the lower the sedimentation concentration, the sedimentation area and runout distnace were increased. In a channel with berm, the runout distance and sediment area increased as the slope became steeper and the sediment area decreased.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due to Damped Structures (감쇠 구조물에 의한 토석류 토사체적 농도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ungdo Choi;Sungduk Kim;Hojin L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4
    • /
    • pp.1-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ebris flow reduction structures when a debris flow disaster occurs on a steep slope. The control structure for debris flow took the form of baffle, and the soil deposition area and soil runout distance due to debris flow from the downstream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number of baffle and each specification. As the slope of the channel became steeper, the sediment deposi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increased, and as the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decreased, the sediment deposi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increased. When the sediment concentration was low, differences appeared depending on the slope of the channel because the debris flow had a high liquid content. Overall, the larger the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the greater the decrease in sediment deposition area and soil runout distance. As the number of baffles increases, the soil deposition area and runout decrease, showing that the baffles have the ability to control debris flow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good information when installing attenuation or control structures when sediment disasters occur in steep slopes.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Sediment Yield in the Forest Catchment - A Study of the Lake Shirarutoro Area in Northern Japan - (산림유역의 토지변형에 따른 수질과 토사생산량 변화 - 일본 시라루토로호수 지역의 연구 결과 -)

  • Ahn, Young-Sa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6
    • /
    • pp.569-576
    • /
    • 2009
  • Sediment and nutrient loading caused by the removal of forest cover and alteration of agricultural lands in catchments have led to the deterioration in Lake Shirarutoro. To examine the effects of deforestation and agricultural activities on water quality, I examined changes in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of lake water induced by land use change, and compared them with the various research data produced over the years. Our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level of TN and TP in the lake water decreased when forest cover increased but increased when farmland area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N and TP was high in Lake Shirarutoro despite that its catchment was surrounded by large forests and small farmlands. This result indicates that land uses near Lake Shirarutoro have affected the quality of the lake water. I have examined the changes of sediment yield in the lake's catchment over the last approximately 300 years. Eleven core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lake sediment and analyzed to establish a chronology after using two tephra layers (Ko-c2 in 1694 and Ta-a in 1739) and a $^{137}Cs$ peak (in 1963). The average sediment yield under the natural condition during the first two periods was 8.4 tons/$km^2$/year in 1694~1739 and 8.9 tons/$km^2$/year in 1739~1963 respectively. The conversion of the Shirarutoro catchment into agricultural lands and deforestation intensified, leading to an increased sediment yield of 21.1 tons/$km^2$/year during 1963~2007.

Vari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with Catchment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

  • Yu, Wan-Sik;Lee, Gi-Ha;Lee, Kun-Hyuk;Lee, Bok-Hw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5-299
    • /
    • 2011
  • 자연계에서 토양의 침식 및 퇴적 반복적 과정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발생하며, 호우로 인한 토사유출은 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과 수문기상학적 특성 등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토양 침식 및 퇴적은 유역의 형상, 토양종류, 토지 이용 및 피복상태, 강우사상 등에 따라 시 공간적 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형학적 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에 따른 유역내 수문학적 응답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Strahler 하천차수구분법에 의해 유역을 차수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지형학적 특성인자(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와 수문학적 특성인자(총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Study for influence by installing structures at lower the Han (한강하구지역의 구조물 설치에 의한 수리학적 영향)

  • Ahn, Kyung-Hoon;Choi, Gye-Woon;Jo, Hyeong-Geun;Jo,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8-862
    • /
    • 2009
  • 한강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해수가 만나 혼합되는 전이수역으로 유역면적이 $38,655km^2$이며, 한반도 17.4% 면적의 빗물이 모여 남한강, 북한강, 임진강, 예성강이 되어 하구에서 합류하고, 그 70%가 홍수기에 집중 방류되는 지역으로 매년 토사퇴적량이 증가하여 홍수위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강하구의 각종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지형 변화에 대한 한강하구의 침식 및 퇴적 등의 수리학적 영향 검토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한강하구 전체의 복학접인 상호작용으로 인한 유사의 이동과 침식 및 퇴적에 대한 수치적인 연구와 수공구조물 등과 관련된 국부적인 유사이동문제에 대해 평시와 홍수시의 수위 및 유속을 산정하고 한강 하구에 대한 유사 이동흐름을 분석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인근을 수로로 가정하여 한강하구의 하류경계를 연장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주변환경을 고려한 분석은 배재하였으며 수공구조물에 따른 조건을 변화하여 해석함으로써 수위 및 유속 등의 수치적 해석을 위해 MIKE 11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강하구와 서해 접경지역에 수공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강화도 인근의 수로에 유출면적이 감소하여 강화도 북부의 청주초 일대의 수위가 높아지며, 이는 김포, 임진강 상류, 신곡수중보 하류까지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수공구조물 설치에 의한 한강하구 지역의 침식원인 기작 및 침식유발 원인 규명을 위해 현장 조사, 실험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la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of Salix spp. on the Environment of Namgang Dam Reservoir (남강댐 수변구역 버드나무류 군락의 식생분석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 Park, Jae-Hyeon;Kim, Ki Heung;Lee, Seok 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2 no.2
    • /
    • pp.161-169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chemical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alix spp. communities based on growth characteristics by tree age and height of the tree species in around Namgang Dam reservoir area. Tree density in 4 survey areas was 5,284 trees/ha, but all areas need to control high tree density. Tree crown area in 4 survey areas was 9,786.4 $m^2/ha$ and crown area of Salix spp. was the most dominant among tree species in watershed of the Jinyang lake. Mean soil depth in 4 survey areas was 65.5 cm higher in the sedimental deposit soil (78 cm) than in forest soil (12.5 cm) near the watershed. Soil bulk density was also higher in the sedimental deposit soil than in forest soil because of poor porosity in the sandy sediment. Soil pH was higher in sedimental deposit soil (A, B horizon:pH 6.7) than in forest soil (A horizon:pH 5.3; B horizon:pH 5.2) because of originated from non-point source polution and detergent of domestic sewage. The results suggest that growth of Salix spp. could be poor because of low fertility with low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edimental deposit soil.

A Random Walk Model for Estimating Debris Flow Damage Range (랜덤워크 모델을 이용한 토석류 산사태 피해범위 산정기법 제안)

  • Young-Suk Song;Min-Sun L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1
    • /
    • pp.201-21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mage range of the debris flow to predict the amount of collapsed soil in a landslide event. The height of the collapsed slope and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collapsed soil were used to predict the total trajectory distance using a random walk model. Debris flow trajectory probabilities were calculated through 10,000 Monte Carlo simulations and were used to calculate the damage range as measured from the landslide scar to its toe. Compiled information on debris flows that occurred in the Cheonwangbong area of Mt. Jirisan was used to tes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random walk model in estimating the damage range of debris flow. Results of the comparison reveal that the proposed model shows reasonable accuracy in estimating the damage range of debris flow and that using 10 m × 10 m cells allows the damage range to be reproduced with satisfactory precision.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bris Flow Triggering Basin and Stream (토석류 발생유역 특성과 하천과의 상관관계 분석)

  • Won, Jun-Kye;Jun, Byong-Hee;Oh, Chae-Yeon;Jang, Cha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7-407
    • /
    • 2011
  • 강원도의 경우 대부분의 지형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2002년, 2003년과 2006년에 대규모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해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입었다. 특히 인제지역은 2006년 7월 태풍에 위니아와 빌리스로 인해 많은 산사태와 토사재해가 발생하였다. 피해원인을 분석해 보면 집중호우에 의해 산지 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으로 많은 양의 토사와 암설류등의 유입으로 인해 피해가 가중되었으며 이러한 토사재해의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유역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석류 발생 전후 영상을 토대로 재해 발생지역을 추출하여 디지타이징하고, GIS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지역의 DEM 생성 및 대상 유역을 추출하고 공간자료를 수집하여 토석류 발생영역별 수문학적, 지형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토석류 발생유역을 발생부, 유하부, 퇴적부로 분류하고 구간별 경사 분포와 토석류 및 산사태 발생지점과 하천의 거리, 면적 등을 고려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역의 경사와 하천과의 거리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in the Topography Considering Buildings (건물을 고려한 지형에서의 토석류 유동특성 분석)

  • Kang, Bae Dong;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8-228
    • /
    • 2022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단시간에 다량의 강우가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급경사면의 지반을 포화시켜 붕괴에 이르게 하여 유수와 붕괴된 토사가 계곡을 따라 흐르는 토석류 재해로 이어진다. 토석류는 빠른 속도로 유하하여 인명과 주거 및 도로 등의 시설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토석류를 해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에는 피해지역의 현장조사와 모형실험을 이용하는 방법, 수치모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장조사와 모형실험에는 고가의 장비와 많은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되어 수치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피해지역의 건물, 도로 등의 시설물을 고려한 지형을 제작하여 토석류 수치모형에 적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시간당 최대 110mm/hr, 누적강수량 487mm로 인해 토석류 재해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토석류 해석 시 침식과 퇴적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Hyper KANAKO 모형을 적용하였다. 토석류 수치모의 시 건물의 유무를 고려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Hyper KANAKO 모형을 적용하였다. 건물이 미고려된 지형에서는 실제 토석류가 이동한 거리와 피해면적에 비해 과다하게 모의 되는 특징이 나타났으나, 건물이 고려된 지형에서는 실제 피해와 유사한 이동거리, 유동심 및 피해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는 토석류 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모의 시 건물을 고려함으로써 피해범위와 규모를 건물 미고려시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토석류 저감계획 수립 및 피해지 분석시 활용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Review and Comparison of Debris Flow Numerical Model Using High Precision DEM (고정밀도 DEM을 활용한 토석류 수치모형의 비교 및 적용성 검토)

  • Kim, YoungHwan;Jun, KyeWon;Jun, B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6-286
    • /
    • 2017
  • 자연재난은 전 세계적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하고, 근래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토면적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재해의 위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중 토석류 재해는 붕괴된 토사가 물과 함께 섞여 높은 농도로 하류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그 발생시점과 발생위치를 예측하기 어렵고, 토석류의 이동경로와 퇴적부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물 및 인명에 매우 큰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대상지역은 충북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 7월 시간최대강우량 64mm, 누적강우량 455m의 집중호우로 인해 토석류가 발생하였고, 하류부에 위치한 민가와 비닐하우스, 농경지등에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LiDAR를 활용하여 고정밀도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수치모형 중 미연방재난관리청(FEMA)에서 토석류 해석에 권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FLO-2D모형과 일본에서 개발된 Kanako-2D모형을 적용하여 실측된 토석류 확산범위와 유출토사량을 수치모형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