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사이동경로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Analysis of Sediment Transport Pathway using the STA Method in Nakdong Estuary (STA 기법에 의한 낙동강 하구역의 토사이동경로 예측)

  • Yoon, Eun-Chan;Lee, Jong-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6
    • /
    • pp.540-552
    • /
    • 2008
  • We predicted to seasonal sediment transport pathway of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river using the STA method. The eCSedtrend model was used to flexible application of the previous STA methods. The analysis of the seasonal interpretation of sediment transport pathway showed that the most dominant trend in the Nakdong estuary was CB+ and CB-. In case of CB+, it was identified around the area where the mud sediment was distributed and formed transport vector toward the north. Also, in case of CB-, it was identified mostly around the sand bar where the sand sediment was distributed and generally showed transport vector toward the north even though there was seasonal difference.

Sediment Transport Paths of the East China Sea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토사이동경로(土砂移動經路))

  • Choi, Byung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 no.4
    • /
    • pp.83-93
    • /
    • 1983
  • A non-linear numerical tidal model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s used to derive the mean and maximum bed stress the mean and maximum transport potential on the continental shelf. It has provide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relation between sediment transport paths and the mean and maximum bed stress distribution determined from the numerical model.

  • PDF

A Random Walk Model for Estimating Debris Flow Damage Range (랜덤워크 모델을 이용한 토석류 산사태 피해범위 산정기법 제안)

  • Young-Suk Song;Min-Sun L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1
    • /
    • pp.201-21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mage range of the debris flow to predict the amount of collapsed soil in a landslide event. The height of the collapsed slope and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collapsed soil were used to predict the total trajectory distance using a random walk model. Debris flow trajectory probabilities were calculated through 10,000 Monte Carlo simulations and were used to calculate the damage range as measured from the landslide scar to its toe. Compiled information on debris flows that occurred in the Cheonwangbong area of Mt. Jirisan was used to tes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random walk model in estimating the damage range of debris flow. Results of the comparison reveal that the proposed model shows reasonable accuracy in estimating the damage range of debris flow and that using 10 m × 10 m cells allows the damage range to be reproduced with satisfactory precision.

Estimation of Trapping Efficiency Using VFSMOD: Application to Cheongmi Basin (VFSMOD를 이용한 토사저감효율 산정: 청미천 유역에서의 적용)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8-338
    • /
    • 2015
  •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야기하는 오염원은 오염 배출원이 명확하여 하나의 점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점오염원(Point Source)과 오염원이 명확치 않은 비점오염원(Non-point)으로 구분된다. 생활하수, 축산폐수와 같이 오염원이 명확한 점오염원은 하천 유입 이전에 처리장을 거쳐 정화작업이 가능한 반면, 비점오염원은 오염원이 명확치 않아 처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오염물의 양과 이동 경로가 예측이 불가능하고 강우시에는 특별한 처리 없이 하천으로 바로 유입된다. 비점 오염원의 종류는 토사, 영양물질, 유기물질, 농약, 바이러스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하는 질소와 인은 하천으로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특성이 있어 더욱 처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이 제시되어 있으며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중 하천변에 식물체를 설치하여 토양의 유실을 막는 식생대(Vegetative Filter Strip, VFS)가 있다. 식생 밀집 지역의 설치를 통해 표면 유출을 차단하고 토양 유실 감소와 수체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에 VFSMOD-w를 이용하여 강우시 식생대를 통한 토양 유실 감소 효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 비교적 수문 및 토양 자료가 풍부한 청미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대의 길이와 식생대 내 식물체의 파종간격이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다. 이때, 식물체의 종류는 식물체 파종으로 인해 변화되는 토양의 수정된 Manning의 조도계수로 구분한다. 모든 강우 및 식물체 조건이 동일할 때, 식생대 내 식물의 파종 간격이 좁고 식생대의 길이가 길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식물체의 높이, 식물체의 종류 및 식물의 파종간격이 입력 자료로 요구되나 이 중 식물체의 높이는 토사 저감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일한 강우 조건에서 식생대의 길이가 0.5 m에서 1.0 m로 2배 증가하였을 때 토사 저감 효율이 두 경우 모두 95% 이상의 효율을 보이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식생대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나 일정 길이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토사가 저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식생의 파종 간격이 좁을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더라도 식물체의 성장을 고려한 적절한 파종 간격을 선정하여야 한다. 즉, 식생대의 설치는 적절한 파종 간격 및 식생대 길이를 식생대 설치지역의 강우 특성에 따라 결정지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PDF

Methodology for Selecting Optimal Earthmoving Haul-Routes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토사운반 최적경로 탐색 방법론)

  • Gwak, Han-Seong;Yi, Chang-Yong;Lee, D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05a
    • /
    • pp.4-5
    • /
    • 2014
  • Planning earthmoving haul-route must be preceded for appropriate equipment fleet assignment. However, traditional haul-route planning methods have limitations relative to practical usage because multiple variables (e.g., grade/rolling resistance, length, equipment's weight etc.) should be considered at a time. Genetic algorithm(GA)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se traditional methods. However, GA based haul-route planning method still remains in inefficiency relative to computation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a new haul-route searching method that computes an optimal haul-route using GA. The system prototype is developed by using MATLAB(ver. 2008b). The system identifies an optimal haul-route by considering equipment type, soil type, and soil condition.

  • PDF

The selection of soil erosion source area of Dechung basin (대청호유역의 토사유실 원인지역 선정)

  • Lee, Geun-Sang;Hwang, Eui-Ho;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97-2002
    • /
    • 2007
  • This study selected soil erosion source area of Dechung basin by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and field survey for effective soil conserv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First, unit soil erosion amount of Dechung basin is analyzed using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odel based o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soil map, landcover map and rainfall data. Soil erosion model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racing route of soil particle an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ank condition and the types of crop, multidirectional field survey is necessary to choice the soil erosion source area.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modeling value and field survey, Mujunamde-, Wondang-, Geumpyong stream are selected in the soil erosion source area of Dechung basin. Especially, these areas show steep slope in river boundary and cultivation condition of crop is also weakness to soil erosion in the field survey.

  • PDF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Using Laboratory Experiment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토석류 거동특성 연구)

  • Lim, Hyuntaek;Lee, Seungjun;An, Hyunuk;Ji, Hanmi;Roh, Youngsin;Kim, Y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2-262
    • /
    • 2022
  • 토석류는 산지 사면에서 발생하여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홍수, 태풍 등 타 재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며, 사후대응이 어려우므로 사전대비가 필수적이다.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지질, 지형 그리고 강우에 따라 발생하는 토석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정밀현장조사를 통한 자료 구축과 이를 분석한 토석류의 발생원인, 이동경로와 침식 및 퇴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의 토석류 연구에서는 침식-퇴적 및 연행작용에 의한 효과를 반영한 수치모의 연구들이 있으나, 모형의 검증을 위한 침식-퇴적 거동에 대한 자료는 현재까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토석류 발생에 따른 침식-퇴적 거동특성은 그 자체로도 공학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며, 수치해석 모의에 필요한 매개변수 추정에도 필요한 항목이다. 토석류 모의의 검증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토석류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토석류의 확산 형태 및 확산 길이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으로 흐름수로에서의 침식 및 퇴적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에 따른 흐름부에서의 침식 및 퇴적에 대한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함수비, 흐름수로 경사, 상부 붕괴토조의 토사깊이, 흐름수로 침식가능 깊이 등 다양한 조건으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상부 토조의 토사 함수비가 30~80% 실험에서는 퇴적 현상이 탁월하였고, 100% 이상인 실험에서는 침식 현상이 확연하게 나타나 토사의 함수비가 높아지면 집중호우 등 선행강우로 인한 산지 지역에서 발생되는 토석류 현상과 유사하고, 함수비가 낮으면 토석류(Debris flow)가 아닌 입상유동(Granular flow)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 토조의 함수비를 100% 이상으로 변화하여 침식이 발생한 실험에서 상부 토조의 액화 된 토사는 빠른 속도로 흐름이 진행되면서 함수비와 붕괴 체적이 증가할수록 흐름수로 상류부에 침식이 크게 나타나고, 상류부의 토사를 중류부를 거쳐 하류부까지 연행(Entrainment)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Review and Comparison of Debris Flow Numerical Model Using High Precision DEM (고정밀도 DEM을 활용한 토석류 수치모형의 비교 및 적용성 검토)

  • Kim, YoungHwan;Jun, KyeWon;Jun, B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6-286
    • /
    • 2017
  • 자연재난은 전 세계적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하고, 근래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토면적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재해의 위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중 토석류 재해는 붕괴된 토사가 물과 함께 섞여 높은 농도로 하류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그 발생시점과 발생위치를 예측하기 어렵고, 토석류의 이동경로와 퇴적부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물 및 인명에 매우 큰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대상지역은 충북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 7월 시간최대강우량 64mm, 누적강우량 455m의 집중호우로 인해 토석류가 발생하였고, 하류부에 위치한 민가와 비닐하우스, 농경지등에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LiDAR를 활용하여 고정밀도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수치모형 중 미연방재난관리청(FEMA)에서 토석류 해석에 권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FLO-2D모형과 일본에서 개발된 Kanako-2D모형을 적용하여 실측된 토석류 확산범위와 유출토사량을 수치모형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