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테스트 시나리오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9초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am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 climate stress test)

  • 김태형;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15-415
    • /
    • 2022
  • IPCC 제5차 보고서('14) 및 세계위험보고서('15) 등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상위 위험요소로 '수자원 위기'를 꼽았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사상의 변화로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 등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물 관리에서 기후변화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므로 물관리 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댐 취약성 평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현업에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수문자료 및 특정 기후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댐 인프라의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댐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진행된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댐 취약성 평가 연구사례 및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 및 수문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 체계 및 방법론을 정립한 뒤, 월 강우량을 4분위로 나누어 각 분위별 강우량과 기온을 변경하여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와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유출 및 저수지 모형을 결합하여 충주댐, 용담댐, 합천댐, 섬진강댐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후 스트레스에 따른 유출 취약성 평가는 20분위 수 갈수량을 이용해 연중 보장확률을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며, 온도의 영향보다는 강우의 변동이 댐 이수안전도 취약성 평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재난안전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그 활용의 효과분석 (Development of Scenario for Utilization in Educ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and Effective Analysis of its Application)

  • 강웅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60-1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화재, 붕괴, 특수사고, 산불 등의 4개의 재난·재해 중 화재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재난안전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로봇 활용 교육에 따른 효과분석을 목표로 한다. 시나리오는 현직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방향성, 현실성 및 합리성 내용을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또한 재난안전로봇의 활용 교육 및 훈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로봇 개발연구진, 현직소방대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로봇 조종 훈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로봇조종은 직접조정, 모니터조종, 시뮬레이터조종으로 구분하여 테스트를 5회 실시하여 하였다. 로봇조정 테스트분석결과 각 그룹별로 소요된 평균시간은 대학생이 28초로 가장 빨랐으며 연구개발팀(30초), 소방대원(38초)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분석결과를 보면 직접조정의 경우에는 소방대원이 (최대 35초), 모니터 조정에는 연구개발팀이 (최대 14초), 시뮬레이터 조종에서는 소방대원 (최대 22초)의 조종시간 단축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재난·재해 현장에서 로봇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로봇 조종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입증했다.

하천공간정보 웹 서비스에 관한 검증 테스트 방안 (Verification Test for Web service of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 홍성수;신형진;황의호;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48-548
    • /
    • 2015
  • 과거 1990년대에 인터넷 이용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World Wide Web를 이용하여 다양한 웹 서비스 기술의 구현 및 유통은 현재에도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서비스는 XML 및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비스로 구현한 응용프로그램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기술이다. 이는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 웹 서비스 기술 언어(WSDL), 전역 비즈니스 레지스트리(UDDI) 등의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 간의 분산 컴퓨팅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및 기술이다. 이러한 웹 서비스의 발전으로 웹 서비스의 성능이 웹 서비스 제공자의 성패를 좌우하게 되고, 제공하고 있는 웹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게 되었다. 웹 서비스에 대한 검증은 미국 Bloor NA(Bloor Research-North America)에서 웹 서비스 아키텍처의 단점을 발표하여 서비스의 품질과 신뢰성 및 개선점에 대하여 제시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사용자 관점에서 웹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고, 단순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검증 목적만이 아닌 서비스 제공자의 성능을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증 방법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하천공간정보에 대하여 웹 서비스 방식 중 통신 프로토콜인 HTTP 등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SOAP 및 WWW와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인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를 실행하여 이에 따른 검증 프로세스를 수립하였다. 하천공간정보 웹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는 응답시간, 임계성능, 이용가능성, 신뢰성 및 접근성에 대하여 검증하며 하나 이상의 웹 서비스들 간의 호환성 표준의 준수 여부와 상호 운용 가능 여부를 테스트 하는 상호운용성 테스트, 신뢰성 메시징 및 분산 환경에서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검증하는 웹 서비스 프로세스 품질 테스트를 실시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을 위한 소스코드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est Case Based on Source Code for Quality Improvement)

  • 손웅진;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86-1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소스코드의 API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Doxygen 오픈소스 툴을 이용한 소스코드 분석 과정, 분석된 결과를 이용한 API 사양 정의 과정, 테스트 디자인 생성 과정, Pairwise Test 기법을 적용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 과정 등의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Doxygen 오픈소스 툴을 이용한 소스코드 분석 과정은 소스코드의 API 정보인 API 명, 입력 파라미터, 리턴 파라미터 정보 등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한 API 사양 정의 과정은 추출한 API 정보를 바탕으로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 생성에 필요한 API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의하는 단계이다. 테스트 디자인 생성 과정은 정의된 API를 기반으로 입력 파라미터, 리턴 파라미터의 임계치 설정, 제약사항 설정 등을 통해 시나리오를 디자인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Pairwise Test 기법을 적용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 과정은 테스트 디자인 정보를 바탕으로 Pairwise 조합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제안된 기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명세서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생성 방법과 비교한 결과 비슷한 시간 내에 훨씬 더 많은 테스트 케이스가 생성되며, 명세 기반 기법으로는 불가능한 소스코드에 대한 기능 검증도 가능하여 소스코드내 결함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인력을 통한 수작업에 의존적으로 진행하였던 소프트웨어 개발 품질 향상 과정을 소스코드의 API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함으로써, 노동력 절감 및 제품 개발 시간 등을 단축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시나리오 테스트를 통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 평가 기법 (Ontology-based Knowledge Evaluation Method using Scenario Testing)

  • 이건수;김민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C)
    • /
    • pp.376-379
    • /
    • 2007
  • 오늘날 컴퓨팅 기능의 급격한 발달은, 시스템의 효율뿐만 아니라 지능화에 대한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다. 지능화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공하려는 도메인에 대한 지식 처리 기능이 필수적이다. 시스템의 지능적인 행동은 그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의 질(質)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용되는 지식의 질적 우수성을 보장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문제는 지식의 질이 높아질수록, 지식 관리의 비용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품질과 비용 사이의 균형점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하려는 지식의 품질과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지식의 품질을 비교함으로써, 이 균형점을 맞추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이 제공하려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대상 지식으로 표현 및 처리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채택하려는 지식과 자신의 시스템 사이의 괴리를 손쉽게 판단 할 수 있고, 그 차이를 없애기 위해 지식의 확장 및 축소의 부분을 결정하고, 수정할 수 있다.

  • PDF

유니티 엔진 기반 가상 도로 설계를 위한 Asset개발 (Asset development for virtual road design based on Unity engine)

  • 임원섭;김대균;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7-61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유니티 엔진을 활용하여 도로교통 시뮬레이터 에셋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에셋은 유니티 좌표계 내에서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가상의 도로를 설계함으로서 도로교통 시뮬레이터의 진입장벽과 단순 작업비용을 낮추고, 가상의 도로에서 다양한 속성을 가진 차량과 신호등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차량과 교통신호, 도로설계 등이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화하여 관찰 할 수 있다. 제안한 에셋을 이용하여 도로를 보다 용이하게 설계하여 도로교통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으며, 간단한 시나리오를 제작하여, 도로정체의 원인을 설명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로설계 시의 작업량을 더 줄일 수 있도록 도로생성 부분에서 보다 다양한 기능 지원과 시뮬레이터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추가적인 시나리오 테스트 등이 향후 과제이다.

  • PDF

SIP 시뮬레이터 구현 (Implementation of SIP Simulator)

  • 최선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587-1590
    • /
    • 2002
  • 차세대 네트워크 및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가 각광을 받고 있다. SIP는 PC, PDA, IP Phone과 같은 VoIP (Voice over IP) 단말간에 호 설정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SIP는 기본적으로는 양 단말간 호설정 프로토콜이지만 응용, 인터넷 단말기, 네트워크 장치에 구성요소로 구성할 수 있어 쉽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응용의 호설정 프로토콜로서 넓게 채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SIP는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로서 구현은 쉬우나 실제 표준에 맞게 구현하였는지는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구현된 SIP 프로토콜이 표준에 맞게 구현하였는지를 시험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SIP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SIP 시뮬레이터는 구현된 SIP 제품을 인터넷상에서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고, 시험 과정을 그래픽하게 볼 수 있으며,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SIP 시뮬레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Testing User Agent와,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Test Server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Java를 사용하였으며, Test Server는 Linux 환경하에서 C++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위한 AI-Surrogate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I-Surrogate model for climate stress test)

  • 김태형;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23
  • 기후변화는 물 관리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므로 물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예측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는 수문학적 모델링이나 시뮬레이션이 동반되는데, 이 과정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지역이나 연구목적에 따른 정밀한 매개변수의 보정은 전문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업에서 연구결과를 의사결정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문학적 모델링의 입력 및 출력 결과를 딥러닝의 학습자료로 하여 수문모델을 사용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Surrogate 모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자원 분야에 접목된 사례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유역을 대상으로 Surrogate 모형을 구축한 뒤,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Surrogate 모형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과거 20년간의 강우 및 기온 자료를 수집한 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3,162개의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그 후 장기유출모형 IHACRES에 생성된 시나리오를 입력자료로 하여 유입량 결과를 도출하고, 이 결과를 Python코드 기반의 딥러닝 학습자료로 하여 최적 예측 결과를 도출해내는 Surrogate 모형을 생성한 뒤 기존 장기유출모형과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Surrogate 모형은 추가적인 데이터와 매개변수의 보정 과정이 없어도 장기유출모형과 같은 결과를 짧은 시간내에 상당히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네트워크 보안성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Network Security Measurement)

  • 성경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9-86
    • /
    • 2007
  •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정보보호 분야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제품 및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복잡한 네트워크 보안성과 보안성능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네트워크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 시스템들을 추출하고 이들 각각을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각 시스템들이 네트워크 보안성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보안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보안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모델과 테스트 시에 필요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기반 GPS 이상신호 생성기 설계

  • 한영훈;고재영;신미영;조득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5-107
    • /
    • 2013
  • 위성항법 기반 위치정보 서비스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위성신호의 이상 감시가 필수적이며, 특히 안전과 관련된 응용분야에서의 위성신호 이상은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으므로 위성신호 감시는 상시 안정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이상감시 기법 설계와 다양하고, 지속적인 시험평가를 위해서는 테스트베드 구축이 필요하며,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요소 중 특히, 다양한 시나리오의 신호 이상을 생성할 수 있는 이상신호 생성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상신호 생성 및 실신호 특성 반영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반 GPS 이상신호 생성기를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기반 GPS 이상신호 생성기는 높은 확장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적용 및 응용하기 쉬우며, 상용 신호생성 시뮬레이터와 비교하여 실신호 특성을 반영한 이상신호 생성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