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터파기 공사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1초

터파기 공사 사고가 공사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The Economic Impact of Excavation Work Failure on a Construction Project)

  • 고광노;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43-646
    • /
    • 2007
  • 도심지 지가가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의 공간 활용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게 되었고, 건축물은 더 크고, 더 깊고, 더 높게 지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공사의 첫 단계이자 전체 건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 공사는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단기간에 터파기 공사를 완료해야 하는 도심지 공사의 특성상 공사 관계자들은 지하 공사를 계획, 설계, 시공, 설계하는 과정에서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 공사 전번에 걸쳐 있는 불확실성과 위험 요소 때문에 공사 실패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사고가 어느 정도의 경제적 피해를 끼쳤는지에 대한 보고나 연구없이 사고 사례만 알려지기 때문에 지하 공사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한 것이 우리나라 건축의 현실이다. 이런 사고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터파기 공사 공법을 선정하고 지하 공사를 이행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지침이 되기를 바라면서 지하 공사 실패 사례가 과연 어느 정도의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키는지를 개산견적 기법을 도입하여 추정해 보았다.

  • PDF

터파기 공사 사고의 경제적 영향 사례분석 (A Case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n Accidents during Excavation)

  • 고광노;이강;최명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10
    • /
    • 2008
  • As the land price in the downtown area increases, buildings are becoming bigger, deeper and higher.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underground construction has increased. Although construction engineers make every effort to complete underground construction without any problem, construction failures like landslides and the collapse of a retaining wall occur because of the uncertainty of the soil conditions as well as the unexpected risks of excavation work. In order to prevent potential excavation accident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impacts of such accident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examples of construction failures, which show the economic impact on accidents during excavation because of the sensibility of the information. This paper presents two cases of excavation accidents, which were investigated by construction insurance company. The compensation for the accidents paid by the insurance company was compared with the estimated costs calculated based on the estimation method for excavation accidents proposed by our previous study.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e calculated by our method was much less than the actual compensation because the estimate solely focused on the construction costs whereas the compensation included other external factors.

  • PDF

상수관 파열 사고로 인한 흙막이 가시설 보강사례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of the Soil Blocking Facilities Due to Water Pipe Rupture Accident)

  • 우종태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3
    • /
    • 2023
  • 아파트 신축공사 흙막이 가시설 현장에 근접 매설된 상수관의 누수 및 파열 사고로 터파기 공사 현장에 토사 유실 및 지반 함몰이 발생되었으며,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이 파손되었다. 흙막이 가시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벽체구간은 레이커로 보강하고 사보강재는 1단과 2단을 묶어 힘을 분산시키고 종방향으로 보강 및 토류판 보강을 시행하였다.

  • PDF

지하공사 사례를 기반으로 한 터파기 공법 선정프로세스 분석 (Case Analyses of the Selection Process of an Excavation Method)

  • 박상현;이강;최명석;강현정;임홍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1-104
    • /
    • 2007
  • As the proportion of underground construction increases, the impact of inappropriate selection of a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for a construction size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bjective way of selecting an excavation method.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achieve the same goal using various data mining methods such a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support vector machine, and the case-based reasoning. However, they focused only on the selection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ut of six types of retaining walls. When we categorized an underground construction work into four groups and added more number of independent variables (i.e., more number of construction methods), the predictability decreased. As an alternative, we developed a decision tree by analyzing 25 earthwork cases with detailed information. We implemented the developed decision tree as a computer-supported program called Dr. underground and are still in the process of validating and revising the decision tree. This study is still in a preliminary stage and will be improv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ore cases.

  • PDF

무진동굴착공법의 일위대가방식과 작업조방식의 생산성 비교 분석 (Productivity Analysis on the Standard Quantity-Per-Unit Costing Method and Work Crew Combination Method : Focused on Non-Vibration Mass Excavation Method)

  • 이동욱;조홍준;이근조;김남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57-468
    • /
    • 2011
  • 최근 들어 제주도내 도심지에서 주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하수관거 정비공사 및 일부 도로공사 현장의 암 터파기 시공에서 무진동 굴착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단위 물량에 대한 공사비를 산정함에 있어서 적정한 단가가 제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 인근 현장에서 암터파기 작업에 활용되고 있는 무진동 굴착공법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일위대가방식과 작업조 방식의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5개 현장의 작업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30개 데이터를 통해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나머지 5개의 자료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작업조 방식의 1일 작업물량은 $16.43m^3$ 임을 도출하였다. 또한 작업조 방식의 공사비의 산정을 위해 현장여건을 고려한 장비의 조합과 작업인원에 차이를 둔 노무량의 조합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작업조의 1일 작업물량($16.43m^3$)에 근거한 공사비를 산출하였고, 이를 일위대가 방식의 공사비와 비교, 분석하였다.

USN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흙막이 안전관리 (Safety Management of the Retaining Wall Using USN Sonar Sensors)

  • 문성우;최은기;현지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22-30
    • /
    • 2011
  • 건설현장에서 구조물 시공시 흙막이는 터파기 기초보호와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흙막이 공사는 지반 굴착, 지하수 처리, 파일링, 버팀보 설치 등 복잡한 토공사 공정을 가진다. 토공사의 성격상 지반 여건 등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응력변화가 발생되고, 이러한 변화가 주어진 설계한도를 벗어나면 인명사고를 동반한 붕괴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구조물 기초공사에서 붕괴사고는 건설공사시 가장 주의해야 할 분야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흙막이 시공시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시한다. USN 기반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여 흙막이에 대한 변위를 분석하고, USN 기술이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흙막이 벽체의 안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시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지원한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센서와 USN 기술을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의 변위실험을 진행했으며, 검증결과 USN 기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변위 데이터를 측정하여 흙막이 시공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강재엘리베이터 피트 측압저항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Lateral Resistance in Steel Elevator Pit)

  • 홍성욱;김태수;백기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8
    • /
    • 2019
  • 일반 건축구조물에 적용된 엘리베이터 피트는 기초판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차부 벽체 및 피트 바닥 두께를 주변기초와 동일한 단면으로 구조설계 및 시공을 하였으나, 이러한 시공은 기초 단차로 인한 터파기 과다 및 콘크리트 등 재료의 물량이 증가하고, 특히 파일기초의 경우 파일두부정리 범위 과다 및 연약지반 노출 시 지반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단차로 인하여 기초부위의 골조공사를 2회 분할 시공함에 따른 공기지연과 지하수가 많은 지역에서의 골조공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시공성과 품질저하 및 누수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강재엘리베이터 피트는 기존 철근콘크리트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터파기의 최소화와 골조공사의 단순화 및 경제성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지하층의 집수정 및 엘리베이터 피트와 같은 지하구체는 통상 오픈 컷 터파기를 통한 재래식 RC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최근 지하집수정 및 엘리베이터 피트에 소요되는 별도의 공정을 단축시키고 철근과 콘크리트의 물량을 최소화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한 강재 집수정 및 강재엘리베이터 피트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강재엘리베이터 피트는 지하구체로서 용접부 및 구조체 방식의 성능이 중요하다. 데크만 있는 실험체보다 스터드 볼트 없이 강판과 콘크리트만 있는 실험체가 약 3배 이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스터드 볼트가 없더라도 데크(강판)의 골이 형성되어 있어 휨작용 시 강판과 콘크리트의 구속효과가 있어 어느 정도까지의 합성효과는 기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갑작스런 파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효과를 위해 스터드 볼트 배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스터드 볼트의 유무에 따라 약 15% 이상의 휨강도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도심지 터파기를 위한 응용발파 시공 사례 (A Case of Application-blasting in the Urban Blasting Works)

  • 김태현;박용원;조래훈;김홍율;정병호
    • 화약ㆍ발파
    • /
    • 제34권2호
    • /
    • pp.18-30
    • /
    • 2016
  • 도심지 암반터파기 작업시 암반을 파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폭약을 사용한 발파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발파방법은 발파에 따른 암반의 파쇄 시 진동 소음의 발생 및 비산 등 발파공해의 발생요인으로 인해 보안물건 주변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며, 폭약을 기폭 시켜 주는 뇌관의 종류 및 방법에 따라 일회 발파공수의 제한, 일회 굴착 깊이 제한 등으로 일일 생산량 감소에 따른 공사기간 증대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시공사례는 국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뇌관을 선정하여 응용발파방법이 가능하도록 층상장약방법에 의한 발파패턴을 설계하여 도심지 특수구간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기초 및 바닥층 동시타설 공사의 개선방안 연구 (An Improvement of Concurrent Placement of Footing and Slab Concrete)

  • 이동훈;최재휘;길종일;서덕석;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21-129
    • /
    • 2009
  • 중소규모 건축물의 시공 현장은 기초의 크기가 작고 터파기 깊이가 얕은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일반 거푸집을 이용하여 2회에 걸쳐 타설하는 기존의 재래식 공법보다 매립형 보조거푸집을 이용하여 기초 및 지중보와 바닥슬래브를 동시에 타설하는 공법을 사용하면 지하층 골조공기의 단축과 그에 따른 원가절감을 기대 할 수 있다. 기존의 매립형 보조거푸집은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서 자재와 인건비에 따른 원가, 품질상의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으로써 발포폴리스티렌을 매립형 보조거푸집으로 이용한 기초 및 지중보와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동시 타설공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공법들과 비교하며, 공법별 평가를 통하여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관 부설 및 접합공사 공사비산정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Cost Standards for Pipe Laying and Joining Work)

  • 오재훈;안방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75-684
    • /
    • 2020
  • 노후 인프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발생과 수질관리 등으로 인하여 상·하수도 관에 대한 공사가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공사비적용에 있어, 공사비기준의 개정내용을 분석하는 연구나 자료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 부설 및 접합공사의 공사비산정을 위한 기준현황과 현장조사내용, 개정사항을 분석하였다. 주요 개정요인으로는 시공범위의 불분명, 시설물유형에 따른 배관 재질 적용한계, 보통인부 중심의 인력구성, 인력부설의 한계, 공구손료 및 기계경비 계상기준 미비로 분석되었다.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관종별 특징을 정하여 구분하였고, 양중장비와 경장비의 투입현황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관부설과 병행되는 터파기 및 검측에 대한 작업내용, 기능공 투입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통사항의 신설을 통한 작업범위의 명확화, 관 재질별 편제구성, 기능공 중심의 인력비율 조정, 기계경비의 계상근거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관의 유지관리를 위한 관 세척 기준을 제정하였으며, 주기개정을 통한 곡관, 이형관의 계상기준을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개정결과로 인한 공사비영향성을 분석한 결과 사업별로 약 1.28%의 공사비 절감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