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터보프롭 항공기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Gasturb를 이용한 터보프롭 항공기 추진시스템 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Turboprop Aircraft Propulsion System by using Gasturb)

  • 최원;정인면;유재호;김지홍;이일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71-377
    • /
    • 2009
  • 터보프롭 항공기는 감속장치로 인한 출력한계 및 프로펠러로 인한 최대속도 한계 등으로 대형항공기로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경제적, 환경적 요인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ratt & Whitney 사의 PW127F 터보프롭 엔진과 Hamilton Standard 사의 568F 프로펠러로 구성된 ATR72-500 중형 터보프롭 항공기의 추진시스템을 Gasturb1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성능해석 결과 추진시스템 모델이 성공적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터보프롭 항공기(C90GT)의 소음 분석 (Noise Analysis of Turbo Prop Aircraft(C90GT))

  • 류종현;김우진;김규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1-146
    • /
    • 2019
  • 여러 종류의 항공기가 운용되고 있는 훈련 비행장에서 항공기의 소음을 실제 측정하여 분석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실제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적절한 소음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 FAA에서 사용하는 INM 7.0(Integrated Noise Model Version 7.0)을 사용하여 소음 지도를 작성하였다. 터보프롭 항공기 (C90GT)가 이륙 경로, 착륙 경로 및 장주경로를 비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였고 법적으로 소음의 피해가 되는 70 WECPNL 이상인 지역을 조사하였다. 터보프롭 항공기가 운용되고 있는 모든 경로에서 70 WECPNL을 초과하는 지역은 발견되지 않았다.

항공기용 원동기의 연구개발 동향

  • 임달연
    • 기계저널
    • /
    • 제29권6호
    • /
    • pp.594-600
    • /
    • 1989
  • 항공기용 원동기는 항공기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장치이다. 항공기가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대량의 공기를 뒤로 가속시켜 그 반작용을 이용하는 방법과, 단순히 배기 가스를 뒤로 고속분사시켜 그 반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피스톤 엔진은 전자를, 터보 제트 엔진은 후자를 대표하고 있는데 두 가지 방법을 절충하여 터빈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터보 프롭엔진과, 헬리콥터의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터보 샤프트 엔진도 있다. 또 터보 제트 엔진과 터보 프롭 엔진의 증간성능을 꾀한 터보 팬 엔진이 있는데 효율이 아주 좋기 때문에 급속히 발 전되어 항공기용 원동기의 대명사격으로 현재 군용이나 민간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 근에는 터보팬 엔진과 터보 프롭 엔진을 절충한 새로운 터보 프롭 APT (advanced turbo prop) 엔진의 실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종류의 엔진 이외에도 항공기용 원동기에는 극히 제한된 용도에 쓰이는 램 제트와 펄스 제트 엔진 그리고 로켓 엔진 등이 있다. 원동기는 그 용 도에 따라 개발, 활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랜 역사를 지닌 피스톤 엔진은 아직까지도 경항공 기용 원동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고, 앞으로도 터보 프롭 엔진과 더불어 나름대로 계속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FAR25급 터보프롭 항공기 프로펠러 설계 및 공력특성 연구 (The Study of Propeller Design and Aerodynamics Characteristics for FAR25 Grade Turboprop Aircraft)

  • 최원;정인면;김지홍;이일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48-651
    • /
    • 2010
  • FAR25급 터보프롭 항공기에서 프로펠러는 고속으로 비행할 수 있는 추력을 얻기 위해 공기역학적으로 우수하며 높은 효율을 가져야 한다. 프로펠러 형상 설계를 위한 익형은 전형적인 터보프롭 항공기 프로펠러에 사용되는 Clark-Y를 적용하였다. 프로펠러 공력설계 및 해석에는 최소에너지손실을 위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하는 와류-깃요소 이론(Vortex-Blade element theory)에 근거한 Adkins의 방법을 이용한 Javaprop을 이용하였다. 시위길이와 피치각 분포를 변경해 가며 FAR25급 터보프롭 항공기의 설계점에 가장 효율적인 프로펠러 형상을 생성하였으며,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펠러 공력특성 분석을 통해 프로펠러 설계결과가 FAR25급 터보프롭 항공기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세계의 신형항공기(6)-헬기와 터보프롭기의 만남, V-22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통권94호
    • /
    • pp.34-37
    • /
    • 2007
  • 헬리콥터와 터보프롭기가 만나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 물론 애써 상상할 필요는 없다. 우리가 상상해야 할 수고를 덜어줄 기종이 이미 나와 있기 때문이다. 바로 V-22 오스프리(Osprey)이다.

  • PDF

선형 GPA 기법을 이웅한 터보프롭 엔진의 성능진단에 관한 연구

  • 공창덕;신현기;기자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3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26-26
    • /
    • 1999
  • 소·중형 산업용 항공기나 초등 훈련기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터보프롭 엔진의 성능진단을 위해 선형 GPA 기법을 적용하였다. 대기조건은 지상정지조건으로 하였으며 계측변수의 선정에 따른 오차율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손상을 가정하였다. 가스터빈 엔진에서 가장 쉽게 발견될 수 있는 성능저하 원인인 압축기 오염과 터빈 부식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였다. 다중 손상일 경우 선형 GPA 기법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압축기에만 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압축기와 압축기 터빈에 각각 오염과 부식이 발생하였을 경우, 압축기 터빈과 동력터빈에 동시에 부식이 발생하였을 경우, 압축기, 압축기 터빈, 동력터빈이 모두 오염과 부식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였다.

  • PDF

터보프롭 엔진의 온라인 상태감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On-line Condition Monitoring Program of a Turboprop Engine)

  • 공창덕;김건우;임세명;김지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5-299
    • /
    • 2010
  • 항공기 추진시스템에 있어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과 운용비용 절감을 위한 상태감시 및 진단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40,000ft 이상의 고고도에서 장시간 운용되는 무인항공기를 신뢰성 있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환경에서 작동되는 추진시스템의 손상이나 성능저하에 대한 사전 대처를 위한 상태감시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태감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입력 모듈에서 현 개발단계에서는 실제 엔진 계측신호가 유용하지 않아 이를 모사하였다. 제안된 온라인 상태감시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터보프롭 엔진에 적용하였다.

  • PDF

터보프롭 항공기용 흡입구 덕트 및 가변형 관성분리기 조립체 설계 및 시험 (Design and Test of an Assembly of Air Intake and Variable Geometry Inertial Separator for a Turboprop Aircraft)

  • 김원철;오성환;이상효;박종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714-719
    • /
    • 2013
  • 본 연구 대상 터보 프롭 항공기는 주어진 항공기 임무 수행을 위해 결빙 조건하에서도 운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동 연구에 적용된 터보 항공기의 공기 흡입구 계통은 정상 비행조건하에서 엔진 입구에 최대 전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검증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결빙조건하에서 생길 수 있는 얼음과 같은 입자가 엔진 흡입구 망으로 들어가서 엔진 화염꺼짐이나 엔진에 심각한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성분리기를 포함하도록 개발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결빙 조건하에서 형상이 변하는 가변형상의 공기흡입구 조립체를 설계하고 설계 결과 확인을 위해 조립체에 대한 전산 유동 및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35% 축소형 모델을 제작하여 풍동시험을 수행하였다. 동 논문에서는 흡입구 조립체 개발과정에서 요구되는 공기역학적 설계, 잔산 유동/구조 해석 및 풍동 시험평가 결과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