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탯줄 혈액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줄기세포의 분화능의 기원에 따른 비교 - 견봉하 점액낭, 골수, 탯줄 혈액 - (Differential Potential of Stem Cells Following Their Origin - Subacromial Bursa, Bone Marrow, Umbilical Cord Blood -)

  • 심성우;문영래;강정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65-72
    • /
    • 2012
  • 목적: 세가지 기원의 줄기 세포 분화능과 면역표현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하 점액낭과 골수, 탯줄 혈액 세 개의 군에서 세포를 채취하였다. 견봉하 점액낭과 골수는 견관절 수술 환자군에게 임상적 동의 하에 수술중 채취하였다. 각각의 채취된 세포 및 탯줄 혈액에 대하여 계대 배양을 시행하여 신경 분화군, 지방 분화군, 골 분화군을 평가하였으며 세포 표면 항체를 밝히기 위해 유동세포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견봉하 점액낭 유래 세포에서는 신경분화와 지방 분화는 8예 모두 (100%)에서, 골분화는 8례 중 5예 (62.5%)에서 성공할 수 있었으며 골수 유래 세포의 경우 신경 및 지방 분화 유도한 6례 및 5예 모두 (100%) 분화에 성공하였으나 골분화 유도는 5예 중 4예 (80%)에서 얻을 수 있었다. 반면 탯줄 유래 세포 분화 연구의 경우 신경 분화 유도 67례 중 65예 (97%)에서 지방 분화 연구 54예 중 29예 (53.7%)에서 골 분화 연구 57예 중 39예 (68.4%)에서 성공할 수 있었다. 결론: 탯줄 유래 줄기세포의 분화능과 비교하였을 때 견봉하 점액낭 및 골수 유래 줄기세포의 분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세포 치료에 있어서 안정성 있는 치료 제공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생체 실험 연구의 참고 자료로서도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NEWS&TOPICS 국내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7호통권410호
    • /
    • pp.6-7
    • /
    • 2003
  •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작업 본격화/ '생명공학연구지원센터' 만든다/ 탯줄혈액서 줄기세포 배양/ 한국 기술혁신 세계 5위권/ 올해 국가지정연구실 54개 선정/ 한-러 과기협력방안 마련/ 간질 원인유전자 국내 첫 발견

  • PDF

산모 혈액과 탯줄 혈액의 연(鉛)함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Lead Concentration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 김동준;김명희;정애순;강신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1권2호
    • /
    • pp.63-66
    • /
    • 1977
  • Motor vehicles are the major source of environmental air pollution through the combustion of lead-containing gasolines. People who live in the areas with heavy traffic usually have the higher blood lead level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d level between the maternal blood and their infants cord blood. Immediatly after Placental delivary, the sampls of cord blood and maternal venous blood were obtained randomly from 14 infants whose mothers had spent their entire pregnancy in Seoul. Lead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the dithizone metho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emoglobin, Hct and RB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rd blood than in the maternal blood, by 36%, 54.9%, 36.9% respectively. 2. MCV in cord blood was higher than that in maternal blood by 13.8%. But MCH and MCHC were lower than those in maternal blood, by 9.7%, 3.3%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Lead concentration of cord blood $(23.93\;{\mu}g%)$ was higher than that in maternal blood $(21.93\;{\mu}%)$ by 9.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