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풍 빈도와 강도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haracteristic of the Typhoon Iandfalling in the North Korean (북한에 상륙한 태풍의 특성)

  • Ahn, Suk-Hee;Kim, Baek-Jo;Park, So-Yeon;Park, Gil-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13.1-11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1951~2008년까지 58년 동안 북한에 상륙한 태풍의 빈도, 강도, 진로 및 피해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태풍 빈도는 감소하고 강도는 약해지는 추세였다. 이러한 강도 변화는 대부분의 태풍이 온대저기압 상태로 약화된 후에 북한에 상륙하여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태풍 진로는 중국과 남한을 경유하거나 서해안에 직접 상륙하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북태평양고기압과 태풍 진로와의 관련성 분석에서 북태평양고기압은 태풍이 중국을 경유하여 상륙할 경우 서쪽으로 확장하였고, 서해안에서 직접 상륙할 경우와 남한을 경유하여 상륙할 경우에는 북쪽으로 확장 발달하였다. 또한, 태풍 재해가 발생한 총 5건의 사례 중에서 2000년 프라피룬은 서해안에 직접 상륙하였으며 바람에 의하여 약 60억 달러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고, 2002년 루사는 남한을 경유한 후 상륙하였으며 강수에 의해 약 50만 달러의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by Track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영향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재해 특성)

  • Ahn, Suk-Hee;Kim, Baek-Jo;Lee, Seong-Lo;Kim, H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29-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associated with typhoon passed through the sea areas excluding the South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irst, Korean peninsula-affecting typhoons were divided into their track patterns of passing through the Korean West Sea and East Sea based on typhoon data from 1951 to 2006 provided by Regional Specialized Meteorological Center(RSMC)-Tokyo. Then, annual and monthly frequency and intensity of typhoon in each pattern was examined. In particular, typhoon related damages during the period of 1973 to 2006 were analyzed in each case. Results showed that since early 1970, in the West Sea case, typhoon becomes weaker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frequency, while in the East Sea case, it becomes stronger with an increasing trend. It is also found that the high amount of typhoon damage results from the submergence of houses and farmlands in the East Sea case, while it is due to the breakdown of houses, ships, roads and bridges in the West Sea case. In addition, it is revealed from the analysis of rainfall and maximum wind speed data associated with typhoon disasters that the main cause of occurring typhoon disasters seem to be qualitatively related to strong wind in the West Sea case and heavy rainfall in the East Sea case.

Typology of TC-induced Rainfall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n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한반도 태풍강우의 유형화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

  • Choi, Ji Hyeok;Kim, Jong Suk;Son, Chan Young;Moo,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4-154
    • /
    • 2015
  • 태풍은 남서부태평양 해상에서 생성되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강풍 및 폭우를 동반하여 상륙함에 따라 매년 수많은 인명 피해와 사회 경제학적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서북태평양지역의 기온상승 및 태풍 진로 해역의 열용량 증가로 인하여 태풍의 강도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한반도 역시 슈퍼 태풍에 대한 잠재적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태풍에 대한 효율적인 치수 및 방재대책을 위해서는 객관적인 태풍자료 구축 뿐 아니라 한반도에 미치는 지역별, 계절별 태풍활동 및 태풍강우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강우 분리기법을 적용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강우 및 비태풍강우를 분리를 하였으며, 호우 특성에 따른 공간적 특성을 유형화하고 태풍정보를 고려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에 대한 효율적인 치수 및 방재대책의 마련과 지역 내 사회기반시설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Rainfall Quantile of Typhoon Using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이변량 빈도해석을 이용한 태풍의 확률강우량 산정)

  • Um, Myoung-Jin;Joo, Kyung-Won;Kim, Su-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5-375
    • /
    • 2012
  • 우리나라는 연강우량의 여름철 집중현상이 뚜렷하며 많은 부분이 태풍에 기인한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최근 들어서 태풍이 수반하는 폭우나 국지성 호우로 인한 강우사상이 증가하고 있어 짧은 시간에 많은 강우량이 발생하여 단기강우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단기간에 예측하기 힘든 큰 강우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이와 같은 강우에 의한 홍수를 대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으로 인한 강우에 대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여 태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태풍은 여러 인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강우(1시간, 24시간, 총합), 풍속(최대, 순간최대), 중심최저기압, 중심최대풍속 등이 그것들이며, 강우와 동시에 그 이외의 인자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변량 빈도해석 모형인 copula 모형을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copula 모형이 구성되면, 조건부 copula의 개념을 이용하여 강우 이외의 인자가 주어졌을 경우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다.

  • PDF

Examination of Typhoon scale rating with Hazard Magnitude (재해규모를 고려한 태풍분류방법 검토)

  • 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9-369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의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태풍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며, 강도 또한 강해지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도 매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나, 태풍피해의 빈도나 피해 규모는 일정하지 않으며, 이는 태풍 진로와 태풍 크기 및 강도와 관계있다. 태풍에 대한 분류는 태풍의 크기와 중심부로 불어오는 풍속에 따라 강도로 구분하며, 태풍의 크기에 따른 분류는 풍속 15m/sec 이상 되는 영역의 반경에 따라 소형(300km 미만), 중형(500km미만), 대형(800km미만), 초대형(800km이상) 등 4계급 구간으로 구분하고, 태풍의 강도는 17m/s~25m/s 범위내의 태풍은 강도를 정하지 않으며, 중(25m/s~33m/s), 강(33m/s~44m/s), 매우강(44m/s~54m/s), 초강력(54m/s 이상)으로 구분한다. 최근 10년간 자연재해 중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1조 6825억원으로 우리나라 자연재해 총피해액인 3조 6280억의 46%를 차지하며, 원인별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며, 또 태풍 루사, 매미는 단일 재해로는 최대규모로 알려져 있다. 태풍으로 인한 재해는 호우, 강풍, 풍랑으로 인한 피해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며, 재해에 대한 대비 활동도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해예방 측면에서 재해가 우려되는 기상 상황(호우, 강풍, 태풍 등)이 예측되고, 예측된 기상상황 하에서 피해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면 재해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대비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태풍은 적도부근 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이동하는데, 이동경로와 태풍강도는 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이 심하므로, 태풍으로 인한 재해를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대비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 태풍에 대한 기상특보는 태풍의 진로, 크기, 강도를 중심으로 강우량과 최대풍속이 예보되는데, 이것만으로 피해정도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태풍을 대상으로, 태풍시 발생한 호우와 풍속이 태풍으로 인한 피해 규모와 관련이 있는 지 여부를 평가하고, 이들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Cause of Typhoon Chaba Using XP-SWMM (XP-SWMM모형을 이용한 태풍 차바 침수원인 분석)

  • Park, Jun Hyoung;Ji, Moon Hwan;Cho, Ho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5-425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우리나라의 강수량과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태풍의 빈도는 낮아졌지만 태풍의 강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6년 태풍 '에위니아' 그리고 2016년 태풍 '차바' 등에 의해 울산지역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2016년 태풍 '차바' 당시 3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시간당 104.2mm의 강우가 발생했으며, 울산 시가지를 비롯한 전역에 막대한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도시유출모형인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2016년 태풍 '차바' 당시에 울산 시가지 중심인 우정혁신도시를 비롯한 침수가 발생한 태화 우정시장 일대에 대한 침수원인 분석을 하였다.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우수관거에 흐르는 홍수수문곡선을 산정하고 관거의 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한 유량은 2D 모델링을 통하여 침수분석을 하였다. 침수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실제 침수심 및 CCTV자료 분석을 통한 침수심과 비교하였다.

  • PDF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 and Methods of Making IDF Curve in each Data Period according to Causes of Rainfall Occurrence (호우발생 원인에 따른 자료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 및 방법별 IDF곡선 분석)

  • Moon, Young-Il;Moon, Jang-Won;Park, Min-Hyun;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1-301
    • /
    • 2011
  • 일반적으로 한반도에 발생하는 호우 피해의 발생원인은 태풍과 집중호우로 대표 할 수 있다. 그러나 수공구조물의 설계시에 호우의 발생원인 별로 치수대책을 마련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태풍에 의해서 발생하는 호우사상에 대한 분석은 종종 이루어졌으나, 집중호우로 인한 호우특성을 분석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발생 원인을 태풍과 집중호우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간에 발생한 강우자료로부터 년최대 시계열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루사의 발생 전과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료기간을 관측개시일부터 2001년까지와 2009년까지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빈도해석 결과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은 태풍의 영향을 크게 받고 서해안과 내륙은 집중호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태풍이 오기 전과 후의 영향이 크게 변화하진 않았으나 확률강우량 값의 증가와 약간의 분포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빈도해석 자료를 이용하여 호우의 발생 원인에 따른 강우강도를 산정하고 각각의 IDF 곡선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Spatio-Temporal Patterns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by Typhoons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태풍 내습 시 남한의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패턴)

  • Lee, Seung-Wook;Choi, Gw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3
    • /
    • pp.384-400
    • /
    • 2013
  • In this study, spatio-temporal patterns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caused by typhoons are examined based on observational daily precipitation data at approximately 340 weather stations of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s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nd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networks for the recent 10 year period (2002~2011). Generally,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by typhoons exceeding 80mm of daily precipitation commonly appear in Jeju Island, Gyeongsangnam-do, and the eastern coastal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frequency, intensity and spatial extent of typhoon-driven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can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topography of major mountain ridges as well as the pathway of and proximity to typhoons accompanying the anti-clockwise circulation of low-level moisture with hundreds of kilometers of radius. Yellow Sea-passing type of typhoons in July cause more frequent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while East Sea-passing type or southern-region-landfall type of typhoons in August-early September do in the interior regions of Gyeongsangnam-do.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local governments develop optimal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 potential damages by typhoons, the pathway of and proximity to typhoons are key factors.

  • PDF

Dynamic Behavior of Caisson Type Breakwater Considering Typhoon-induced Wave Loading Before and After Earthquakes (태풍 파랑과 지진을 연계한 케이슨식 방파제의 동적거동)

  • Hyeonsu Yun;Byeongjin Roh;Seong-Kyu Yun;Gichun K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23 no.1
    • /
    • pp.49-60
    • /
    • 2024
  •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yphoon-induced wave loading are increasing due to changed marine environments such as climate change. In addition, frequent earthquakes are causing a lot of damage around the world, including in Japan, Chile, Haiti, China, and Indonesia. In Korea, damage from typhoons has also been increasing since the 2000s, an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arthquakes are also increasing. Korea is surrounded by sea on three sides, so typhoons can cause a lot of damage to coastal structures, and earthquakes also cause a lot of damage to coastal structures. As such,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yphoon-induced wave loading and earthquakes are increasing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there is no research linking typhoons and earthquakes. Therefore,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four cases by linking typhoon waves and earthquakes to the caisson breakwater.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wave loads in Case 1 and seismic wave in Case 2, seismic wave after wave loads in Case 3, and wave loads after seismic wave in Case 4.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 Case 3 and Case 4, which linked a typhoon and earthquakes, the damage caused by each load increased compared to Case 1 and Case 2 because the load was applied while the existing ground strength was reduc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atest damage occurred in Case 3, in which seismic wave were applied after the wave loads.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ative Factors of Typhoon Disasters in Korea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 이은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179-190
    • /
    • 1998
  • 한반도에 내습하는 태풍의 발생빈도와 강도는 큰 편은 아니나 우리는 거의 해마다 태풍으로 인한 재해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태풍에 의한 경제적 손실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과 도시화로 인한 인구과밀지역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풍재해의 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태풍재해를 유발하는 기상적 요인과 더불어 경제.사회적 조건이 재해의 규모 및 강도에 미치는 기여도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반도에 큰 피해를 남기는 태풍의 진로는 서해를 따라 북진하다가 반도부를 거쳐 동쪽으로 빠져나가는 E경로로서 한반도의 동쪽을 통과하는 진로를 취할 때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재해지역의 공간분포는 대체로 남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태풍재해는 일반적으로 태풍중심에서부터 피해지역가지의 최단거리, 강수량, 최대풍속 등의 기상적 요긴과 피해지역의 토지이용 및 그 지역의 산업구조를 포함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그리고 재해대책수준 및 태풍예보기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태풍의 피해의 정도가 결정됨을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의 분석결과 알 수 있었다. 침수로 인한 피해는 경남과 전남의 농촌지역에서 넓게 나타나고, 경제적 손실은 대규모의 도시와 공업이 발달된 경남해안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태풍재해의 규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기상예보기술의 향상을 도모해야 함은 물론 홍수예방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GIS 기법을 활용한 방재정보시스템에 기초하는 도시종합방재대책을 수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