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풍해일특성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imation of Extreme Sea Levels Reflecting Tide-Surge Characteristics (조석-해일 특성을 반영한 극치해면고 산정)

  • Kang, Ju Whan;Kim, Yang-S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3
    • /
    • pp.103-113
    • /
    • 2018
  • Tide-surge characteristics of the West/South domestic coasts were analyzed with a tool of EST (empirical simulation technique). As a result, stations of Incheon, Gunsan, Mokpo and Busan are categorized as tide-dominant coasts, while Yeosu, Tongyoung and Busan are as surge-dominant coasts. In the tide-dominant coasts, extreme sea level of less than 50-yr frequency is formed without typhoon-surge, while only 10-yr extreme sea level is formed in the surge-dominant coasts. As the results of casual condition of extreme sea level formation considering the relative degree of surge on tid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detected also. Three methods for estimating the design tide level were compared. The AHHW method shows an unrealistic outcomes of the concern of over estimate design. Furthermor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method has been concerned as causing missing data if a huge typhoon occurs in a neap tide or a low tide. To cope with these drawbacks, the applicability of the EST method is proved to be suitable especially in tide-dominant coasts.

Tropical cyclone activities and extreme rainfall change detection (태풍활동과 극치강우의 변화탐지)

  • Kim, Jong-Suk;Yoon, Su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81-81
    • /
    • 2022
  • 서북태평양은 전세계적으로 태풍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해양 지역 중 하나이다. 태풍이 몰고 온 강풍과 폭우, 폭풍해일 등은 우리 사회경제와 환태평양 국가의 신변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특히 내륙으로 진입하는 수백킬로의 영향을 미치는 만큼 넓은 지역에 걸쳐 강우량이 발생하고, 집중강수 기간이 짧아 산사태 등 자연재해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태풍의 활동특성을 잘 파악하고 태풍에 의한 강수량 예측 연구가 재해예방과 재난저감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기술에서 태풍이 몰고 온 강수의 정확한 양적 예측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며, 해결해야 할 큰 도전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별 강수량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서북태평양의 역사적 태풍의 궤도와 강도를 고려해 태풍으로 인한 강수량을 예측하는 통계적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cet of 2010 Typhoon's DIANMU(1004) and KOMPASU(1007) at the Southwestern Coast (2010년 태풍 DIANMU(1004)와 KOMPASU(1007)에 대한 서남해안 영향분석)

  • Moon, Seung Rok;Kang, Ju Whan;Kim, Yang Seon;Park, Seon 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6-216
    • /
    • 2011
  • 목포는 지형 특성상 도시기반이 낮게 조성되어 있어 폭풍해일에 의한 영향이 그리 크지 않더라도 조위가 크게 상승하는 대조기에 해안 저지대에서는 침수범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다. 특히 1997년 8월 태풍 WINNIE(9713)와 2004년 7월 태풍 MINDULLE(0407)의 간접영향시기가 대조기 고조와 중첩됨에 따라 목포 내항 및 북항 일대에 해수범람 피해가 발생한 바 있으며, 이러한 피해에 대응하여 목포 해안시설물 표고는 1997년 이전의 D.L.(+)480~500cm(목포지방해양수산청, 1998)를 D.L.(+)550cm로 증고한 상태이다. 태풍이 발생하여 내습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2010년 7월~9월까지 목포지역 조석예보표(www.khoa.go.kr)에 따르면 거의 매달 500cm 이상의 조위가 예측(최고 511cm, 2010년 8월 11일)되었고, 2004년 범람이 발생한 7월과 8월에는 5.2m 이상의 조위가 3회 이상 예측된 바 있다. 또한 2000년 이후 목포지역의 태풍에 의한 해일고가 매년 50cm 내외로 기록(최고 59 cm, 태풍 RUSA(0215)됨을 고려할 때 D.L.(+)550cm의 목포 해안시설물 표고는 범람피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최근 2년 동안은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미친 태풍이 없었으나, 올해 8월 중순에는 대조기에 태풍 DIANMU(1004)가 내습하여 남해안 일대에 피해가 발생하였고, 올해 9월 초에 서해안으로 상륙한 태풍 KOMPASU(1007)는 강한 세력을 유지하면서 북상하여 서해안 일대 및 수도권에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만약 태풍 KOMPASU(1007)가 태풍 DIANMU(1004)가 내습했던 대조기 또는 9월 중순의 대조기에 내습했다고 가정한다면, 목포와 같은 서남해안의 저지대는 물론 많은 해안지역에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연구와 자료분석을 통해 목포해역의 침수범람 위험성을 파악하고, 올해 발생한 태풍의 수치모의 적용을 통해 위험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Regional Realtime Ocean Tide and Storm-surge Simulation for the South China Sea (남중국해 지역 실시간 해양 조석 및 폭풍해일 시뮬레이션)

  • Kim, Kyeong Ok;Choi, Byung Ho;Lee, Han Soo;Yuk, Ji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2
    • /
    • pp.69-83
    • /
    • 2018
  • The South China Sea (SCS) is a typical marginal sea characterized with the deep basin, shelf break, shallow shelf, many straits, and complex bathymet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idal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and reproduced typhoon-induced storm surge in this region using the regional real-time tide-surge model, which was based on the unstructured grid, resolving in detail the region of interest and forced by tide at the open boundary and by wind and air pressure at the surface. Typhoon Haiyan, which occurred in 2013 and caused great damage in the Philippines, was chosen as a case study to simulate typhoon's impact. Amplitudes and phases of four major constituents were reproduced reasonably in general, and the tidal distributions of four constituents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The modelled tide seemed to be within the acceptable levels, considering it was difficult to reproduce the tide in this reg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free oscillation experiment results described well the feature of tide that the diurnal tide is prevailing in the SCS. The tidal residual current and total energy dissipation we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tidal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The storm-surge caused by typhoon Haiyan was reasonably simulated using this modeling syst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regional real-time barotropic tide/water level prediction system for the South China Sea including the seas around the Philippines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model and the understanding of tidal characteristics.

Economic Analysis of Typhoon Surge Floodplain that Using GIS and MD-FDA from Masan Bay, South Korea (MD-FDA와 GIS를 이용한 마산만의 태풍해일 범람구역 경제성 분석)

  • Choi, Hyun;Ahn, Chang-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4
    • /
    • pp.724-729
    • /
    • 2008
  • In the case of 'MAEMI', the Typhoon which formed in September, 2003, the largest-scale damage of tidal wave was caused by the co-occurrence of Typhoon surge and full tide. Until now Korea has been focusing on the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 and its restoration to cope with these sea and harbor disaster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ome systematic counterplans to diminish such damages of large-scale tidal invasion on coastal lowlands considering the recent weather conditions of growing scale of typho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the counterplans for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fulfilled effectively based on the data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curacy between observation values and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greatest overflow area according to abnormal tidal levels centered on Masan area where there was the severest damage from tidal wave at that time. It's necessary utilize data lik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LiDAR(etc.) for correct analysis data consid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dangerous area from the storm surge. And we must make a solution to minimize the damage by making data of dangerous section of flood into GIS Database using those data (as stated above) and drawing correcter damage function.

Analysis of Maximum Tsunami Heights on Uljin Nuclear Power Plant with Epicenters (발생위치별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최대 지진해일고 분석)

  • Byung-Ho Kim;Yong-Gook Lee;Yong-Si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5-505
    • /
    • 2023
  • 지진해일의 발생빈도는 태풍이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와 비교하여 발생빈도가 낮지만 발생 시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된 지진해일에 취약하며 특히 강원도 삼척시와 경상북도 울진군 부근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된 지진해일 에너지가 집중되는 위험지역으로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동해를 따라 먼 거리를 전파해오는 지진해일 파의 전파양상은 해저수심의 영향을 받아 변화될 뿐만 아니라 진원지의 발생위치와 각 매개변수의 특성에 따라 대상지역에서의 영향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서해안에서 과거 발생한 지진원(4건) 및 향후 발생 가능한 가상지진원(71건)을 대상 시나리오로 선정하였으며, 가상지진원자료는 한반도 에너지개발 기구(11건) 및 일본토목학회(60건)에서 제시한 총 71건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해안 해저수심 영향에 의한 지진해일 파 집중도를 확인할 수 있는 파향선추적 기법 수행을 통해 75건 중 집중도가 높은 41건의 지진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진원은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로직트리기법을 적용하여 총 1,107건으로 생성되었으며, 이에 대해 지진해일 수치해석이 수행되어졌다. 최대 지진해일고 비교 결과, 특정 발생위치에서의 지진원은 타 지진원보다 지진강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최대 지진해일고 결과는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stimation of extreme sea levels at tide-dominated coastal zone (조석이 지배적인 해역의 극치해면 산정)

  • Kang, Ju Whan;Kim, Yang-Seon;Cho, Hongyeon;Shim, Jae-S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6
    • /
    • pp.381-389
    • /
    • 2012
  • An EST-based method which is applicable for estimating extreme sea levels from short sea-level records in a tide dominated coastal zone was developed. Via the method, annual maximum tidal level is chosen from the simulated 1-yr tidal data which are constituted by the independent daily high water levels, short term and long term surge heights and typhoon-induced surge heights. The high water levels are generated considering not only spring/neap tides and annual tide but also 18.6-year lunar nodal cycle. Typhoon-induced surges are selected from the training set which is constructed by observed or simulated surge heights. This yearly simulation is repeated many hundred years to yield the extreme tidal levels, and the whole process is carried out many hundred times repeatedly to get robust statistics of the levels. In addition, validation of the method is also shown by comparing the result with other researches with the tidal data of Mokpo Harbor.

자연재해 위험관리(하)

  • Kim, Gwang-Seop
    • 방재와보험
    • /
    • s.114
    • /
    • pp.46-53
    • /
    • 2006
  • 한국화재보험협회에서는 효율적인 재난 대책과 지구 노력에 부응하고자 "자연재해 위험관리"를 발간, 이를 2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하며. 지난 호에 게제된 자연재해 피해현황 및 태풍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호우 및 홍수, 급경사지, 해일에 관한 특성과 대책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Analysis of Regional Tide Leve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yphoon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지역별 조위 특성과 태풍에 의한 영향 분석)

  • Hur, Sun-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9-5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천문 및 기상에 의해 발생하는 조위 변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이와 관련한 피해를 줄이고자 우리나라의 29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바탕으로 크게 서해안, 남해안(제주 지역 포함), 동해안 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조위의 특성과 태풍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조위 평균(표준편차)은 서해안은 628 cm(68 cm), 남해안은 270 cm, (35 cm), 동해안은 63 cm (15 cm)로 서해안이 가장 높고 동해안이 가장 낮은 편이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지역이 태풍의 영향권에(6월에서 10월 사이에 발생한 태풍의 진로 상 중심이 각 지역으로부터 10°반경 이내에 위치) 있을 때도 일관되게 나타난다.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에서 특히 조위가 높게 나타나는 지역은 평택, 완도, 마산으로 태풍 영향 시에 각각 최대 1030 cm, 444 cm, 265 cm를 기록하였다. 다만, 서해안은 태풍의 영향을 받은 날과 그렇지 않은 날의 최대 조위 차이가 16 cm로 남해안의 108 cm나 동해안의 49 cm에 비해 뚜렷하게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듯 지역별 조위 특성의 차이 및 태풍에 의한 조위 변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폭풍해일 특보 등 조위에 의한 피해 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