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양광 발전

검색결과 2,387건 처리시간 0.046초

철도분야 태양광 발전 적용 확대를 위한 설계 단계에서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 (A Study o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Forecast at Design Stage for Extended Application in the Field of Railways)

  • 유복종;이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82-189
    • /
    • 2017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저탄소 에너지화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철도분야 적용확대를 위한 설계 단계에서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로 실제 운영하고 있는 지평 태양광발전소를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량 상용 예측 프로그램인 PVsyst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기본 제공 NASA와 Meteonorm의 해외 기상정보를 이용한 연간 태양광 발전량 예측값과 기상청(KMA) 기상정보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값을 비교하고, 한국전력거래소(KPX) 실제 발전량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태양광발전소 구축비의 적정성을 확보하여 철도분야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확대적용과 나아가 신기후 체제에 대응한 저탄소 에너지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EMTP를 이용한 태앙광 발전의 계통 연계시 고조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rmonic Analysis in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using EMTP)

  • 고윤태;서훈철;여상민;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32-234
    • /
    • 2008
  • 태양광 발전은 영구적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투자와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이 계통에 연계되었을 때 전력품질, 보호 등 다양한 문제에 영향을 끼친다. 특히, 태양광의 출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의 스위칭으로 인하여 많은 고조파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의 계통 연계시 발생하는 고조파의 분석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의 계통 연계시 고조파 분석을 수행하였다. 태양광 발전은 EMTP를 이용하여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를 이용하여 계통에 연결되는 것으로 모델링 하였다. 태양광 발전의 용량 및 비선형 부하의 용량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모의 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 따라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THD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분산형 ESS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의 일정 출력 추종 알고리즘 (Constant Power Tracking Algorithm of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using dispersed ESS)

  • 류경;김준모;이정;엄태호;원충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18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외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태양광 발전의 간헐적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태양광 발전의 출력에 따라 태양광 발전과 연계된 ESS를 이용하여 야간에 저장된 에너지를 방전하여 태양광 발전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태양광 발전의 일정 출력 추종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태양광 발전의 간헐적 특성을 보완하였다.

  • PDF

비절연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wer Converter System of Non-Isolation Photovoltaic)

  • 황동현;이우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92-193
    • /
    • 2017
  • 최근 석유나 석탄 에너지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대고 있고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발전 등의 비중을 확대해 나가려는 정책을 밝히고 있으며 이중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가장 주목 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의 성장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 중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로 구성된 비절연형 태양광 인버터는 회로구성이 쉽고 효율이 높아 소용량 발전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kW 비절연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태양광 인버터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 PDF

태양광 발전 패널 각도 제어에 따른 발전량 변화 (Power Generation Change According to Angle Control of Solar Power Plant Panel)

  • 한명희;우제택;이재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85-692
    • /
    • 2019
  •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소의 최적 발전효율에 기여하는 패널 각도조절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설비구성이 동일한 2개의 발전단지를 대상으로 1개소는 정해진 각도로 분기별 각도변화를 주었고 1개소는 그대로 유지하여 8개월 간의 총발전량을 비교하여 고정형 태양광발전소 발전량과 고정가변형 태양광발전소의 발전효율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고정형 태양광발전소와 고정가변형 태양광발전소의 발전량 차이를 분석하여 발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운영 방법을 제안한다.

Solar Pro를 이용한 국내 MW규모 태양광발전 최적지 선정 (The highest spot selection of the domestic for MW class PV system which uses Solar pro adoption)

  • 황정희;안교상;임희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2-29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MW급 집중배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전 기상청 기상대 기후자료를 Solar Pro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최적의 발전 Site를 선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보여준다. 국내 지역별로 일사량 및 지역 기후 특성에 따라 태양광 발전의 발전량이 차이가 남에 따라 태양광발전 사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이다. 이를 토대로 MW급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시 각 지역별 경제성 차이도 알아 볼 수 있다.

  • PDF

ICT 융합형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 (Mini Solar Generator on the ICT convergence)

  • 황재옥;서범근;이성룡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5-466
    • /
    • 2016
  • 소규모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개인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는 250~500[W]규모의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다.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기존의 Boost Converter 사용으로 인한 효율저하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Multiplied Boost Conveter를 채택하였고,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CT 의 융합을 통해 각 가정에 설치되는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인버터 상태 및 고장 이력 등을 파악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웹기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단상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효전력 제어 (Reactive Power Control using Single Phase Grid-Connected PV Power System)

  • 김승탁;강병관;박정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509_510
    • /
    • 2009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그 특성에 따라 주로 주택, 빌딩 등 비선형 부하를 지니는 장소에 단상 계통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무효전력 제어는 전력품질 향상에 대해 의미를 지니게 된다. 본 논문은 3kW급 단상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해 간편한 무효 전력 제어 방식을 보여준다.

  • PDF

계통 연계 운전 보호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태양광 PCS 개발 (A Development of Photovoltaic PCS for a Protection Algorithm of Grid-Connected Operation)

  • 전진홍;김슬기;안종보;김응상;조창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93-9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계통연계 운전 보호 협조 알고리즘 적용 및 시험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용 PC의 설계 및 실험 결과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주는 태양 전지판과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계통에 연계하여 주는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version System)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PCS는 10kw 태양광 전지에서 발전된 전력을 상용 계통에 연계할 수 있도록 개발 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극성과 계통 연계 운전 결과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개발된 PCS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보호 협조 알고리즘 개발과 분산전원 시스템 관련 연구에 활용될 계획이다.

  • PDF

연합학습 기반 전력 중개용 태양광 발전 예측 (Predic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for power brokerage based on Federated Learning)

  • 이미리내;염성웅;김경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77-579
    • /
    • 2022
  • 최근 대두된 환경문제로 인해 다양한 재생 에너지의 실리적인 활용 방법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그린뉴딜', 'K-RE100' 등 정부 주도의 정책으로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소규모 발전 사업자의 태양광 발전 참여율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소규모 발전 사업자의 수익을 산정하는 전력 중개 시스템의 태양광 발전 예측은 에너지 시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었다. 하지만 전력 중개용 태양광 발전 예측에는 기후의 간헐성으로 인한 예측 정확도 감소, 소규모 발전 사업자의 개인정보 보호 등 제약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력 중개용 태양광 발전 예측의 제약을 해소하고, 전력 중개 활성화를 지원키 위한 CNN-LSTM 기반 연합학습 기법을 제안한다.